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윤지은 전문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정책
6일 전 작성 됨
Q.
고3이 운전면허를 취득 할 수 있는 자격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고3이면 나이로는 이미 만 18세 가까이 되니까 운전면허 취득 자격은 맞습니다. 면허시험장 기준이 만 18세 이상부터라서요. 그래서 고3 학생들 중에서도 생일 지난 친구들은 바로 응시할 수 있는 거죠. 다만 학사일정이랑 겹치면 준비하기가 쉽지 않고, 학교 입장에서는 안전사고나 학업 분산 때문에 신경이 많이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비용을 지원한다고 하면 학생들이 대거 몰릴 수도 있는데 그러면 행정처리나 관리 부담은 선생님들 몫이 되겠죠. 제도 취지는 좋지만 현장에서는 걱정거리가 늘어나는 부분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예금·적금
6일 전 작성 됨
Q.
은행 업무는 보통 몇시까지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 영업시간이 딱 정해져 있긴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오전 9시에 문 열고 오후 4시에 문 닫습니다. 그래서 창구에서 입출금이나 상담 같은 건 그 시간 안에만 가능합니다. 근데 문 닫는다고 해서 바로 불 꺼지고 직원이 퇴근하는 건 아니고 내부적으로 마감 정리나 전산 마무리를 좀 더 하긴 합니다. 본점은 그냥 은행 이름에 본점 붙여서 검색하면 나오고요. 예를 들어 국민은행 본점 이런 식으로 치면 주소나 영업시간 다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산관리
6일 전 작성 됨
Q.
60 이후에 은태 자금만 얼마 정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거 참 많이들 궁금해하는 부분인데 딱 잘라서 얼마라고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왜냐면 사는 스타일이랑 어디서 지내느냐에 따라 확 달라지거든요. 대략 통계로 보면 부부 기준으로 60 이후 평균 생활비가 월 250만 원 안팎이라고 합니다. 물론 기본만 쓰는 경우고 외식 좀 하고 여행 다니고 손주 챙기고 이러면 350에서 400까지도 금방 올라갑니다. 은퇴 자금으로는 최소 3억에서 5억은 있어야 불안하지 않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근데 또 요즘 물가 생각하면 그 이상이 필요하다는 얘기도 자주 나옵니다.
주식·가상화폐
6일 전 작성 됨
Q.
주식 투자할 때 가장 직관적인 보조 지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하다 보면 진짜 감으로만 들어갔다가 흔들려서 손절하는 경우 많습니다. 그래서 다들 보조지표 하나쯤 붙잡고 가는데 제일 단순하게 쓰는 게 이동평균선이에요. 그냥 선이 주가 위에 있나 밑에 있나 그거만 봐도 지금 기세가 어떤지 얼추 알 수 있습니다. 거래량도 무시 못하고 갑자기 평소보다 확 튀면 그때 뭔가 터지려는 신호처럼 느껴집니다. RSI 같은 것도 많이 보는데 이건 과매수 과매도 구간만 딱 체크하면 돼서 생각보다 직관적입니다.
자산관리
6일 전 작성 됨
Q.
금가격 같은 경우에는 현재 전쟁도 거의 막바지인데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금값이란 게 늘 단순하게 경기 안 좋을 때만 오르고 좋은 때만 떨어지는 게 아니더군요. 요즘 상황을 보면 주식시장은 활황인데도 금이 안 빠지는 이유가 몇 가지 섞여 있습니다. 일단 미국이 금리 인하를 예고하고 있다는 점이 큽니다. 금리는 내려가는데 달러 가치가 확 꺾이지는 않으니 금 수요가 여전히 받쳐주죠. 또 전쟁이 소강이라 해도 지정학적 불안 자체가 사라진 건 아니라서 안전자산 심리가 완전히 꺼지지 않았습니다.
예금·적금
6일 전 작성 됨
Q.
저축은행의 부실도 가끔씩 나오는데요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은 어떻게 평가를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저축은행 얘기 나오면 다들 좀 불안해하죠. 뉴스에서 부실 터졌다 이런 얘기 종종 들리니까요. 근데 실제로 재무 건전성은 몇 가지 지표로 체크할 수 있습니다. 제일 많이 보는 게 BIS 자기자본비율인데 이게 은행이 얼마나 버틸 체력이 있는지 보여주는 숫자라 보면 됩니다. 또 연체율이 얼마나 되는지도 중요합니다. 돈 빌려간 사람이 제때 갚고 있는지 그 비율이니까요. 건전성이 좋은 은행은 연체율이 낮고 자본비율이 높습니다. 그리고 금융감독원 사이트 들어가면 저축은행별 공시가 다 올라와 있어서 거기서 자산건전성 비율이나 수익성 지표 같은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금·적금
6일 전 작성 됨
Q.
요즘 저축은행의 파킹 통장 금리는 어느정도 주는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시중은행은 사실 거의 의미 없는 수준이라서 관심도 잘 안 가는데 저축은행은 그래도 좀 챙겨볼 만합니다. 최근에 나온 거 보면 보통 3퍼센트 전후로 주는 데가 많고 조건 살짝 붙으면 3.3에서 3.5 정도까지 올라가는 곳도 있습니다. 다만 한도가 있어서 보통 1천만 원이나 2천만 원까지만 그 금리를 주고 그 이상은 확 떨어지는 구조라 조금 아쉽습니다. 그래도 시중은행에서 1퍼센트대 받는 것보단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주식·가상화폐
6일 전 작성 됨
Q.
어제밤에 빗썸거래소가 막혔는데 무슨이유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어제 빗썸이 갑자기 먹통이 된 건 해킹이나 그런 게 아니라 내부 전산 문제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밤 11시 반쯤부터 1시간 반 정도 거래가 완전히 멈췄고 새벽 1시 넘어서야 정상화가 됐습니다. 네트워크 장비 오류랑 웹 방화벽이 괜히 막아버린 거, 그리고 접속자가 몰린 게 겹쳤다고 해요. 빗썸은 불편 끼쳐서 죄송하다면서 전액 보상도 하겠다고 했습니다.https://feed.bithumb.com/notice/1649790
경제정책
6일 전 작성 됨
Q.
한국 정부가 일을 잘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잘하고 있냐고 물으면 누구든 바로 대답하기가 애매합니다. 보는 위치에 따라 체감이 달라서요. 외교 쪽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하듯 버티고 있는 게 눈에 띄고. 경제는 수출 회복세가 보이긴 하는데 물가나 고용 쪽은 여전히 불안하다는 얘기도 많습니다. 또 민생 정책은 체감도가 낮아서 국민들은 답답하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한쪽에서는 그래도 위기 속에 균형을 잡고 있다고 평가하고. 다른 쪽에서는 변화가 더딘 거 아니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결국 정부가 잘하고 있는지보다 지금 상황에서 무엇을 더 개선할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한 질문처럼 느껴집니다.
자산관리
6일 전 작성 됨
Q.
고물가 시대, 월급 250만 원 직장인의 생존 전략은?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월급 250에 고정비 빼고 나면 손에 남는 게 별로 없는 상황에서 무슨 투자니 포트폴리오니 얘기 듣기만 해도 막막할 수밖에 없습니다. 제 입장에서는 너무 거창하게 접근하지 말고 생활 패턴에 딱 맞는 소소한 구조조정부터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적금이나 ETF 같은 건 큰돈이 아니라도 매달 자동이체로 조금씩 넣어두면 티 안 나게 쌓입니다. 이게 몇 년 지나면 생각보다 꽤 커집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