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증여시 필요 서류는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진석 세무사입니다.알고계신 것 처럼 직계 존속(부모님, 조부모님)으로 부터 미성년자가 증여받는 경우에는 10년간 2천만원까지 증여공제가 적용됩니다.신고를 안하셔도 납부하실 세액이 없으므로 가산세는 없으나,개인적으로는 추후 명확한 자금의 출처를 위해 증여세 신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증여세 신고는 증여를 받으시는 분이 하시는 것이며,준비하실 서류는 신분증, 증여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조부와 손주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이체내역 정도 있으면 신고 가능합니다~
Q. 차용증을 쓰고 부모님께 빌린 현금도 부모님께서 증여세를 내야하는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윤진석 세무사입니다.원칙적으로 직계존속으로부터 금전을 빌리는 경우에는 증여로 볼 가능성이 큽니다.다만 실제로 금전을 차용하신경우로 금전을 차용했다는 내용에 대한 증빙을 만드실 수 있는 경우라면 증여세는 과세되지 않습니다.차용증의 경우에는 사실상 소급해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가 큰편이며, 차용증을 작성하실 당시에 공증 등을 받으신 후 이자명목의 금액을 입금하신 내용을 통해 돈을 빌리신 내용을 소명할 수 있다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이자지급의 경우에는 이자를 지급하실 당시 25%(+지방세 2.5%)의 세금은 원천징수하여 세무서에 신고/납부하시는 방법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실제로 상환하실 예정 이시라면, 원천세 기한후 신고를 진행하셔서 금전차용에 대한 증빙을 만드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고,(추후 금전 상환 내역 필요)상환하실 예정이 없고, 실제로 증여를 하신 경우라면 증여세 신고를 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추후 금전 상환 내역 불필요)금전을 차용이 아닌 증여로보아 증여세가 과세되는 경우에는증여재산가액 2.6억 - 증여공제 0.5억 = 2.1억에 대해서 증여세가 과세되며세액은 3200만원 정도 됩니다.마지막으로 증여세의 경우에는 납세담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최대 5년까지 분할하여 납부가 가능하며매회 1천만원 이상의 납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3200만원의 세액이 발생시 총 3회에 걸쳐서 3년간 분납 가능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