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아이에게 적합한 학습시간은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공부에 대한 능력치가 다르기 때문에 공부에 취미가 없다면 하루 30분도 하기 힙듭니다 숙제나 다하면 다행이죠 숙제는 공부에 포함 되냐 안되냐 말이 많죠 숙제는 오늘 배운것에 대한 최소한의 복습이라고 생각 하면 됩니다 고학년의 경우 하루 1시간 만이라도 꾸준히 한다면 아주 좋은 결과를 가져 올수 있어요 숙제를 제외하고 하루 한 시간 정도 이면 괜찮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5년 4월 15일 작성 됨
Q.
요새 한부모 많잖아요 초등 선생님 티를 내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한 부모 가정이라 아이가 학교 가서 친구들이나 선생님께 무시 당할까 걱정을 하고 계신 것 같네요한 부모 가정이 자랑 스럽다고 할수는 없으나 그렇다고 해서 부끄러운 가정인 것도 아닙니다 아이 엄마가 의심이 많고 걱정이 많다면 선생님께 한 부모 가정이라고 말할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담임 선생님은 알고 있어야 아이의 지도에서 좋습니다 선생님이 가정 환경을 모른다면 아이에게 말 실수도 할수 있고 문제점이 생길수도 있어요 대부분의 선생님은 티를 내지 않아요 내서도 안됩니다
양육·훈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나의 자녀에 대해 훈수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반응을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다른 사람이 나의 자녀에 대해 훈계를 하거나 지적하는 건 안되는 일이죠 당연히 나의 자녀에게 훈계를 할위치에 있다면 할수 있지만 다른 사람은 부모님의 동의 없이 함부로 하는 건 안될 일 입니다 당연히 불편하고 싫다고 상대방에게 이야기 하고 하지 말라고 하세요
유아교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학원 다녀오고, 집에서 해주면 좋은 과정이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 마다 다르겠지만 학교 공부 하고 학원 공부 하고 집에 와서 또 공부 하라고 하면 아무래도 아이들도 많이 지치고 힘이 듭니다 일반적인 부모님들은 본인들이 공부를 많이 하지 않아 직업도 변변하지 못하고 사는 것도 경제적으로 힘이 들다고 생각 하고 아이들에게는 공부만 하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공부를 열심히 하고 왔으면 집에 오면 휴식을 취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클수 있어요 집에 와서도 공부를 해야 한다면 아이들이 자라서 중 고등 학생이 되면 집에 일찍 들어 가지 않고 밖에서 놀다가 아니 휴식이라고 봐도 됩니다 늦게 귀가를 하게 됩니다 집에 와서는 숙제 정도만 하고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연산 선행학습은 되려 좋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선행 학습이 예습적은 형태로 공부를 했으면 실 수업 시간에 배우는 것이 이해도 빨라지고 머릿속에 들어 오는 것이 더 좋은 경우가 있어요 하지만 예습 했다는 생각 보다 먼저 다 배웠다는 생각을 강하게 하기 때문에 정작 학교 수업 시간에는 딴 생각을 하고 수업에 집중 하지 못하는 부작용이 생기곤 합니다 선행 학습보다는 예습의 개념을 익혀 미리 한번 보고 학교 수업을 한다고 생각 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학교 담임선생님들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목이 다른걸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학교 교과 과목은 어느 부분 없이 다 중요 합니다 한 과목만 망쳐도 평균 성적이 무척 떨어 집니다 상대적으로 국영수가 어렵다 보니 치중을 하는 것이지 중요 하지 않은 과목은 없다고 할수 있어요 국영수는 어느 정도 되는데 역사가 안되 역사 점수가 형편 없이 나오는 아이도 있어요
양육·훈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너는 이 부분이 부족하다. 못한다. 이 말을 반복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우선 아이의 자신감이나 자존감이 무척 떨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부모로 부터 인정을 받지 못한 아이이기 때문에 매사에 모든 일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이 생겨 납니다 안될거야 못할거야 같은 생각이 우선 하기 때문에 사회 생활에도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매사에 긴장감이 많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경우가 많아요상대방에 대한 거짓이나 비방으로 나타 날수도 있어요 안돼 나 부족 보다는 잘 할수 있을 거야 같은 긍정적인 말투나 생활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영어 교육은 유치원 지나서 해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영어의 경우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 입니다 한글이 잘 되지 않는 상태에서 영어를 함께 배우게 되면 언어의 정체성에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한글이나 영어 둘다 안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물런 영어를 어린 나이에 배워서 다른 친구들 보다 경쟁력이 있을 수도 있어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다면 한글 교육에 치중을 하고 나중에 영어 공부를 해도 늦지는 않습니다 어린 나이에 영어 공부는 본인이 원해서 하는 것 보다 부모님에 의해 반 강제로 공부 하는 것이라 지금 상태가 아이의 능력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중학생이 되는 시점에 본인이 공부에 대한 열의가 얼마큼 있는지가 아이의 성적을 좌우 합니다 아이가 영어의 관심이나 호기심이 있어 본인이 하고 싶다고 이야기 한다면 공부를 해보는 것도 괜찮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3학년 딸아이 동생 생일에 툴툴거리는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큰 아이가 샘이 많아 보입니다 남의 떡이 커보인다 라는 말이 있듯 부모님이 두 아이의 생일을 비슷하게 챙겨 주고 있는데 큰 아이가 동생 생일에 엄마 아빠가 더 신경 써 주는 것으로 보이는 것 같아 심술을 부리는 것같아요 큰 아이에게 동생보다 너를 더 챙겨 주고 있다고 말해 주세요 아이가 믿지 않는 눈치이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은 동생과 같고 어떤 부분은 동생보다 너를 더 잘 해 준다라고 이야기 해주세요
유아교육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5살 어린이집 유치원 어디가 나아보이시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아이들이 2명 있다니 내일 문 닫아도 이상 하지 않는 상태 입니다 정상 적인 운영이 불가능 하다고 보여 집니다 현 유치원은 매달 적자 상태에 있어 보입니다 오랜 못 갈 것 같습니다 5세 아이들은 화장실에 무섭다고 하여 선생님이 따라가지는 않습니다 다른 어떤 곳도 마찬가지로 보입니다 어린이집이 아이 엄마와 잘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것 같아요 별 선택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치원 다니다가 문 닫으면 어린이집에 보내거나 집에서 가정 보육을 하는 방법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