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내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복부 CT 촬영 시 주의사항이 있을까요?
CT 는 엑스레이를 반복적으로 찍어서 복부 장기를 슬라이스 형태로 이어 붙여서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로 CT 는 결국 방사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방사선노출이 되지만 한번 촬영하는 정도로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CT 전에 8시간 이상 금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중 CT 가 가장 정확하며 이 보다 정확한 방법은 직접 장기를 열어서 확인하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내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역류성 식도염은 무엇때문에 발생하고 어떻게 치료를 하나요?
맵고 짠 음식을 먹거나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과식을 하는 경우, 위산 분비가 증가하고 위가 과 팽창을 하면서 식도 쪽으로 음식이나 위산이 넘어오게 되는데 반복되는 경우, 위식도경계부위가 염증으로 인해 헐거워 지면서 이후에는 수시로 위산이 역류하면서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2주 이상 체한 것 같은 증상이 지속됩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위 내시경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급성 위염이나 위미란, 역류성 식도염 등 질병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간혹 위궤양이 관찰될 수 있어서 약만 변경하는 것 보다는 검사를 받는 것이 좋으며 맵고 짠 음식은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샤워하고 한 시간 뒤 밥 먹으면 배가 아파요
명확한 이유가 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샤워 보다는 누워 있다가 식사를 하는 것 때문에 위산 분비량이 증가하면서 복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샤워 후 누워 있기 보다는 앉아 있거나 일상 생활을 한 후 식사를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샤워중에 귀에 물이 들어갔는데 꿈쩍도 안합니다.
네 대부분은 해당 방향으로 누워서 자는 경우, 물은 중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빠져 나오게 됩니다. 억지로 면봉으로 빼지 않아도 되며 간혹 겉에 면봉을 대고 있어도 물은 점성이 있어서 면봉에 흡수되어서 빠져 나오기도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환절기에 피부 알레르기가 유독 심한 이유
온도 변화나 꽃가루일 가능성이 높은데 단순하게 환절기에만 알레르기가 나타나면 무슨 알레르기 이런 단답형의 답이 있지는 않습니다. MAST 혹은 피부 반응 검사 등을 통해 어떤 것에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더 정확한 검사들도 많지만 정밀 검사는 대부분 대학 병원에서 검사가 가능한 것이 사실입니다. 보통 이런 경우, 콜린성 두드러기 등 온도 변화를 의심할 수는 있습니다.
내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빈맥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반드시 위험 신호는 아니지만 빈맥 자체의 원인이 심장 문제가 있을 때에는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유 없이 빈맥만 있는 경우, 운동 부족이나 근력 부족이 있을 때에도 빈맥이 있을 수 있어서 조깅, 걷기 등 유산소 운동을 통해 심폐 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내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요소질소BUN(NPN포함) 크레아티닌
많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신장 수치가 약간 증가한 상태로 Creatinine : 1.5 이상인 경우, 신장 기능이 75% 로 감소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신장 기능은 유동적이어서 물을 자주 마시고 맵고 짠 음식을 피하는 경우 회복할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구강매독일까요 구내염일까요 도와주세요
매독은 최근에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질병으로 구내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전과 달리 매독의 경우, 기본 항생제로도 치료가 잘 되어서 거의 관찰되기 어려운 질병으로 구내염은 피곤하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구내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감전? 전기 통했는데 두통이 와요. 병원 가서 검사 받아야할까요?
보통 이 경우, 응급실 진료를 받게 되는데 심하지 않은 경우, 신경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증상의 위치에 따라서 과가 다를 것으로 보이며 내과 혹은 두통이 있어서 신경과 진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