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

역류성 식도염은 무엇때문에 발생하고 어떻게 치료를 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8

이번에 병원에서 진찰을 받았는데 역류성 식도염이 조금 있다고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무엇때문에 발생하고 어떻게 치료를 받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식도-위 사이 괄약근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위산 역류로 인하여 역류성 식도염이 생기는데 흔한 유발 원인으로는 음주, 흡연, 카페인과 탄산음료, 기름진 식이 섭취, 식사 후 바로 자리에 눕는 습관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습관이 있다면 고치고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심하다면 약물치료를 병행하실 것을 권합니다.

  • 맵고 짠 음식을 먹거나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과식을 하는 경우, 위산 분비가 증가하고 위가 과 팽창을 하면서 식도 쪽으로

    음식이나 위산이 넘어오게 되는데 반복되는 경우, 위식도경계부위가 염증으로

    인해 헐거워 지면서 이후에는 수시로 위산이 역류하면서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하부식도괄약근이 약해지면서 위산이 역류할 수 있습니다. 담배 카페인등이 예가 되겠습니다

    위장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위산이 역류할 수 있습니다. 식후 바로 눕는 경우 장내 가스등이 예가 되겠습니다.

    치료는 이들 원인을 피하면 됩니다.

  • 위식도 역류성 질환(GERD)은 흔히 역류성 식도염으로도 불립니다. 이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에 손상을 일으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위와 식도 사이의 괄약근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위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지 못해 생깁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발생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위 내용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식사 후나 유문 협착, 위 내용물의 정체, 위액 과다 분비 등으로 인해 위 내용물이 증가하면, 이것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식도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눕거나 구부리는 자세는 이러한 역류를 더 쉽게 일으킵니다.

    위 내부 압력 및 복압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비만, 임신, 복수 등으로 인해 위 내부 압력이 증가하거나, 복대 착용, 잦은 기침 등으로 복압이 높아지면 역류가 더 잘 일어납니다.

    또한 괄약근 압력 감소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괄약근의 압력이 줄어들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이 압력은 기름진 음식, 음주, 흡연으로 인해 감소하며, 칼슘 길항제, 항콜린제, 안정제, 테오필린 등의 약물도 영향을 줍니다. 커피, 초콜릿, 박하, 오렌지 주스 등의 음식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위 내용물이 식도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위산, 음식물, 소화 효소 등이 식도를 자극하여 통증과 기침을 유발하고, 염증을 일으킵니다. 그 결과로 통증, 출혈,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 쓰림과 위산 역류입니다. 가슴 쓰림은 명치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듯한 타는 느낌의 통증으로, 환자들은 이를 '가슴이 쓰리다', '화끈거린다', '따갑다', '뜨겁다' 등으로 표현합니다. 이 통증은 견갑골 사이, 목, 팔 쪽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위산 역류는 위액이나 위 내용물이 인두로 역류하는 현상으로, 환자들은 시고 쓴맛을 느낍니다. 이는 많은 음식을 먹은 후나 누운 자세에서 쉽게 발생합니다. 일부 환자들은 협심증으로 오인할 정도의 심한 흉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소화기 증상(삼킴 곤란, 삼킴통, 오심 등), 이비인후과 증상(만성적인 후두 증상, 인후 이물감, 기침, 쉰 목소리, 후두염, 만성 부비동염 등), 호흡기 증상(만성 기침, 천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성 기침 환자 중 5~7%가 역류성 식도염이 원인인 경우이며, 천식과 역류성 식도염이 동시에 있는 환자에게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를 투여하면 천식 증상이 함께 호전되는 경우도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충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의 기본 원칙은 생활 습관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과식이나 야식을 피하고, 식사 후 바로 눕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홍차, 박하, 초콜릿 등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신 과일 주스, 토마토, 탄산음료 등을 삼가고, 비만인 경우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 복압을 증가시키는 행동을 피하고, 야간 역류가 심한 경우 침대의 상체 부분을 올려서 자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 치료로는 제산제, 위산분비 억제제, 장운동 촉진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 치료는 보통 수개월간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 환자의 80%는 약물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며, 심한 미란성 식도염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러나 심한 역류성 식도염은 증상이 자주 재발하여 만성적인 경과를 보일 수 있으며, 궤양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이 장기간 반복되면 식도 협착이 발생할 수 있고, 식도 협착이 심해져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경우 내시경적 식도 확장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과식을 피하고, 탄산음료를 삼가야 합니다. 또한, 하부 식도 괄약근의 힘을 약하게 하는 흡연, 지방이 많은 음식, 커피, 초콜릿, 술, 오렌지 주스 등의 음식물과 일부 약물을 피해야 합니다. 체중을 줄이고,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