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세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전문가입니다.

이세리 전문가
토월초등학교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꾸준히 하는 공부하는 아이들은, 학업 성취도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매일 많은 양이 아니더라도 꾸준히 공부하는 아이들은 학업 성취도에서 뚜렷한 강점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꾸준한 학습은 학습 내용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반복과 복습을 통해 이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됩니다. 반면, 단기간에 많은 양을 벼락치기로 공부하는 방식은 단기 기억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어버리기 쉽고 깊이 있는 이해나 응용력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꾸준한 학습 습관을 가진 학생들이 시험 성적,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학업 만족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더 높은 성취를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매일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이 장기적으로 더 좋은 학업 성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5살 아이에게 소중하다고 말해주는데 왜 소중하냐고 물어보면 어떻게 말해줄까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5살 아이가 “왜 소중해?”, “왜 귀해?”, “왜 하나밖에 없어?”라고 물어볼 때는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따뜻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예를 들어 “너는 엄마 아빠에게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특별한 아들이야. 네가 웃을 때 엄마 마음도 행복해지고 네가 힘들 때 엄마도 같이 걱정이 돼. 네가 우리 가족에게 와줘서 정말 고맙고 그래서 너는 엄마 아빠에게 세상에서 가장 소중하고 귀한 존재야. 세상에 너와 똑같은 사람은 아무도 없어서 너는 하나뿐인 우리 아들이란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아이는 자신이 특별하고 사랑받는 존재임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가 반복해서 물어보더라도 구체적인 예시(“네가 엄마를 꼭 안아줄 때, 네가 엄마랑 함께 놀 때 엄마는 정말 행복해”)를 들어 설명해주면 아이의 마음에 더 잘 와닿을 수 있습니다.물어보는 아이도 소중하다고 말해주는 엄마도 너무 사랑스럽네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 간호하다 보면, 왜 엄마가 아픈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를 간호하다 보면 엄마가 아프게 되는 현상은 단순히 우연이라기보다 여러 복합적인 이유에서 비롯됩니다. 아이가 아플 때 엄마는 신체적·정신적으로 극도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겪으며 밤잠을 설치거나 식사를 거르는 등 자신의 건강을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자연스럽게 체력이 저하되고 면역력도 약해져 아이의 병이 나아갈 무렵에는 엄마가 감염에 더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의 회복을 위해 심리적으로 온 마음을 쏟으며 불안, 걱정, 피로가 누적되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실제로 연구에서도 아이를 돌보는 어머니의 피로와 양육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엄마의 건강도 챙기면서 간호하세요.
놀이
놀이 이미지
Q.  6세 남아의 에너지 넘치는 행동,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6세 남아가 에너지가 넘치고 활동량이 많을 때는 아이의 특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충분한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일정 시간 바깥에서 달리기, 공놀이, 자전거 타기, 놀이터 놀이, 줄넘기 등 전신을 사용하는 활동을 하게 해주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서적으로도 안정될 수 있습니다. 과잉 행동이 나타날 때는 “지금은 뛰는 시간이 아니야, 이따가 놀이터에서 뛰자”처럼 규칙과 대안을 함께 제시하고 아이의 감정은 인정하되 행동에는 일관된 기준을 세워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정적인 활동(책읽기, 블록놀이, 퍼즐 맞추기 등)과 동적인 활동의 균형을 맞추고 아이가 노력하거나 규칙을 지켰을 때는 충분히 칭찬해 자존감을 키워주세요.
놀이
놀이 이미지
Q.  로블록스 게임의 주 연령층은 초등학생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로블록스는 여전히 13세 이하 초등학생 이용자가 많지만 최근 통계에 따르면 전체 이용자의 약 39%가 13세 이하이고 13세 이상 청소년과 성인 비율이 60%에 달합니다. 특히 17~24세 연령대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18세 이상 성인도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처럼 현질(유료 결제)도 청소년과 성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최근에는 17세 이상만 이용할 수 있는 성인 전용 콘텐츠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로블록스는 초등학생이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이지만 이제는 전 연령대가 함께 즐기는 게임 생태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3세 여아가 좋아하는 역할놀이,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3세 여자아이가 즐기는 역할놀이는 공주, 엄마놀이처럼 익숙한 상황에서 시작해 다양한 상상 세계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주도적으로 역할과 상황을 정하도록 격려하고 부모는 아이가 원하는 역할의 상대방이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세요. 예를 들어, 공주놀이에서 왕, 기사, 마법사, 동물 등 새로운 인물을 추가하거나 엄마놀이를 병원놀이, 요리사놀이, 가게놀이 등으로 변형해보는 식입니다. 집에 있는 소품이나 간단한 의상, 인형, 블록 등을 활용해 놀이 환경을 풍성하게 꾸며주고, “오늘은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공주님이 마법에 걸렸다면 어떻게 할까?”와 같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질문을 던져 주세요. 아이가 만든 이야기를 존중하고 칭찬하며 부모도 역할을 바꿔보거나 놀이 속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해주면 아이의 언어 능력과 창의적 사고가 함께 자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가 탱탱볼을 만든다고 하는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계란을 식초에 5일 정도 담가두면 껍질이 완전히 녹아 없어지고 남은 얇은 막(난막)만이 계란을 감싸게 됩니다. 이때 식초의 산(아세트산)과 계란 껍질의 칼슘 탄산염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탄소 기포가 발생하며 껍질이 점차 사라집니다. 껍질이 모두 녹고 나면 계란은 투명하고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의 계란은 조심스럽게 낮은 높이에서 떨어뜨리면 실제로 탱탱볼처럼 통통 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히 고무공처럼 단단하거나 오래 튕기는 것은 아니고 내부는 여전히 날계란이기 때문에 너무 세게 다루면 터질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가 아직 분리불안을 심하게 겪고 있는데 어떻게 안정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가 어린이집 등원 시 분리불안을 겪는다면 먼저 아이의 불안한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주고 “엄마(아빠)랑 떨어지는 게 힘들구나”와 같이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별할 때는 짧고 단호하게 인사하며 몰래 떠나는 행동은 피해야 합니다. 부모가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이면 아이에게도 안정감이 전해집니다. 애착 물건을 지참하게 하거나 등원 루틴을 일정하게 반복해 예측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잘 적응했을 때는 칭찬을 아끼지 마세요. 무엇보다 조급해하지 않고 아이의 속도에 맞춰주는 인내와 일관된 사랑이 아이의 안정적인 적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들은 좋은것은 받아들이기 어려워하고 안 좋은것은 금방 배우는데 하나의 성장 과정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들이 좋은 것보다는 안 좋은 것, 부정적인 상황이나 유행을 더 빨리 받아들이고 쉽게 이야기하는 현상은 청소년기의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또래 집단의 영향이 커지고 부정적인 감정이나 경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중학생은 자기중심적 사고와 감정 기복이 심해지며 사회적 경험이나 자극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 속에서도 부모의 긍정적인 관심과 따뜻한 지지가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큰 역할을 합니다. 부모가 옆에서 좋은 방향으로 대화하고 본보기를 보여주는 것은 자녀가 긍정적인 태도와 건강한 사회성을 기르는 데 중요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일상에서 꾸준히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6세 남아의 자존감을 높이는 칭찬과 격려 방법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6세 남아의 자존감을 높이려면 아이의 작은 노력과 행동을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고 실수해도 괜찮다는 긍정적인 격려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스로 신발을 신어서 멋지다", "색을 예쁘게 골랐네"처럼 행동을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실수해도 괜찮아, 다시 해볼 수 있어"와 같이 도전 자체를 응원해 주세요. 결과보다 과정과 노력을 인정하며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따뜻하게 반응해 주는 것이 자존감과 자신감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