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세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전문가입니다.
이세리 전문가
토월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17일 전 작성 됨
Q.
자존감을 상실한 중2 딸아이에게 아빠가 해 줄 수 있는 좋은 말이 어떤 말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자존감이 낮아진 딸아이에게 아빠가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말은 아이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고 사랑과 신뢰, 소속감을 전하는 따뜻한 진심입니다.“네가 나의 딸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아빠는 정말 자랑스럽고 고마워.”“무엇을 하든지 아빠는 언제나 네 편이야.”“실수해도 괜찮아. 네 인생은 앞으로 더 소중하게 빛날 거야.”“네가 우리 가족이라는 게 아빠에겐 큰 행복이야.”“너의 속마음을 이야기해줘서 고맙고, 너는 사랑받기에 충분한 사람이야.”아이와 진솔하게 대화하고 스스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자주 알려주세요. 판단이나 조언보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해주고 무엇이든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가족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자존감 회복에 큰 힘이 됩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13개월 아기 안아달라고 너무 울어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13개월 아기라면 아직 정서적으로 부모나 보호자의 신체적 접촉과 애착을 강하게 필요로 하는 시기입니다. 안아달라고 우는 것은 사랑받고 안정감을 얻고 싶은 자연스러운 욕구에서 비롯된 행동이며 특히 새로운 환경인 어린이집에서는 낯선 사람들과 낯설은 상황에서 불안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집에서도 마찬가지로 안아주는 순간 우는 것이 멈춘다면 아이가 원하는 것은 단순히 안기며 느끼는 위로와 안전함일 확률이 높습니다. 어린이집 선생님 말씀처럼 "너무 많이 안아줘서 버릇드는 것"이 아니라, 아직 아이가 충분히 정서적으로 성장 중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무조건 안아주지 말기보단 점차 안아주는 시간을 줄이고 아이가 울지 않고 혼자서도 잘 지낼 때 많이 칭찬해주며 적응을 도와주는 방법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지금 아이가 엄마, 선생님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 향후 정서 발달에 오히려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해주고 조금씩 독립심을 길러주는 연습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건방지고무개념하고이기적인딸과의관계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마음이 참 많이 힘드시겠어요. 가족 안에서 기대와 다르게 행동하는 딸, 그리고 그로 인해 온 가족이 겪는 스트레스와 실망감은 말로 다 하지 못할 만큼 크실 겁니다. 부모 입장에서 자녀가 무책임하게 보이고 반려견까지 제대로 돌보지 않으며 본인이 하고 싶은 것만 한다면 속이 상하고 인내심이 바닥나기도 하지요. 다른 가족들마저 함께 힘들어하고 일상생활까지 영향을 받을 정도라면 지치고 관계를 놓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너무나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그만큼 오랫동안 참아오셨고 최선을 다해 애써오셨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누구라도 이런 상황이라면 지금 느끼시는 상처와 분노, 그리고 답답함에 충분히 공감합니다. 너무 힘들 땐 잠시 거리 두고 스스로를 먼저 보살펴 주시는 것도 괜찮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스스로를 탓하지 마시고 그동안 정말 충분히 버티고 잘 해내셨다는 것에 위로와 격려를 보내드립니다.
18일 전 작성 됨
Q.
신생아 33일차 체중증가가 더딥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걱정 많이 되시겠지만 현재 아기 대소변도 잘 보고 수유 횟수도 충분해서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체중이 평균보단 조금 적은 편이지만 아기가 잘 먹고 잘 자고 활기차다면 당장 분유를 많이 늘리기보다는 아기가 필요로 할 때마다 충분히 젖을 물릴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앞으로 1~2주간 체중 증가를 조금 더 지켜보시고 혹시 불안하거나 이상 징후가 느껴지면 소아과에 상담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충분히 잘해내고 계시니 너무 자책하지 마시고 힘내세요.
18일 전 작성 됨
Q.
보통 유치원 아이들 낮잠은 얼마정도나 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유치원생의 낮잠 시간은 보통 1~2시간 정도가 적당합니다. 실제로 많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점심 식사 후 오후 1시부터 3시 사이에 낮잠 시간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이의 컨디션이나 개별적인 차이에 따라 더 짧거나 아예 낮잠을 자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긴 낮잠은 밤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2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