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언제나 최선을 다하는 이승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최선을 다하는 이승호 전문가입니다.
이승호 전문가
월드노무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3년 1월 4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서를 다시 작성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이나 소정근로시간, 휴일, 연차휴가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근로계약서를 다시 작성하여야합니다. 최저임금이 인상되어 임금이 변동되었으므로 다시 작성하여야 하며, 최저임금 미만으로 지급할 경우에는 먼저 사업주에게 차액분 지급을 요구하고 시정하지않으면 노동청에 신고하시기바랍니다.
휴일·휴가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일용직도 주휴수당을 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1주 15시간 이상 근무를 할 경우 지급되며, 귀하의 경우 일용직임을 김안할 때, 소정근로일이 1주 4일 15시간 이상을 근무하고 바로 퇴사하면 주휴수당은 해당되지 않으나 일요일 쉬고 월요일 근무후 퇴사하면 받을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주 15시간도 충족되어야 하지만 최소한 주휴 다음날 근무가 예정되야 지급이됩니다.
직장내괴롭힘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동료 때문에 자해한 경우, 동료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직장내괴롭힘이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나이 많고 경력이 오래된 선배 근로자가 지위나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범위를 벗어나 업무상 적정범위를 벗어나 업무능력을 비하하고 인신공격을 하여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고통을주어 근무환경이 악화되었다면 직장내괴롭힘에 해당되고, 그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 우울증등 질병은 업무상재해에 해당될수도 있습니다. 직장내괴롭힘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신고할수 있고 노동청에 신고할수도 있습니다.
근로계약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2021.10.8자 처음 입사후 동년 12월 말일까지 근무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연차유급휴가 발생일수는 2021.10.8-2022.10.7.까지 1년 미만근무로 발생한 연차 11개와 1년 이상80% 근무로 2022.10.8.발생한 15개를 합하면 총26개가 발생하였고 이미 사용한 5.5개를 빼면 20.5개가 남아있으며 20.5개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휴일·휴가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타지역으로 이사를 해야해서 자발적 퇴사시 실업급여는 받을수 있는 조건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사업장 이전이나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으로의 전근, 배우자나 부양해야할 친족과의 동거를 위한 거소 이전, 부모나 동거친족의 질병등으로 부득이하게 이사를 가는 경우등은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하나 단순히 다른지역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도 통상의 교통수단으로 왕복출퇴근시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여야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2023년 주휴수당은 변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경우 지급되며 2023년에도 지급조건은 변함이 없습니다.
휴일·휴가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1월31일 까지 근무 후 퇴사 예정입니다. 연차휴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2021.9.23-2022.9.22.까지 기간중에 매월 개근을 하였다면 입사후 1년 미만자에게는 총11개의 유급휴가가 발생하며, 입사후 1년간 80%이상 출근하였다면. 2022.9.23.에 15일의 유급휴가가 추가로 발생하므로 11개를 미사용하였다면 총 26개가 발생합니다.2022.9.23-2023.1.31.일까지는 1년 미만이라 연차가 발생되지않 습니다.
임금·급여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경력에 따라 연차 개수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연차는 근속기간에 따라 1년간 80%이상 출근시 15일이 발생되며 3년이상 계속근로시 15일에 최초1년을 초과하는 계속근로년수 2년마다 1일씩 추가하여 최대 25일까지 연차유급휴가가 발생됩니다.
임금체불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주휴수당 증거가 없으면 못 받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근무 자료가 없어 실제 발생한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것은 아닙니다. 일단 귀하는 주급으로 임금을 받았으니까 받은 주급을 일당으로 나눠보면 주 만근여부를 쉽게 알수있고 주휴수당 산정도 가능할것으로보입니다. 그리고 임금은 근로자의 경력이나 업무 숙련도 자격증 유무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를수가 있으므로 단순히 주급과 월급에 차이가 있다고 하여 문제가되는 것은 아닙니다.
임금·급여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실업급여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실업급여 신청은 12월 급여수령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실업급여 신청은 귀하가 마지막 근무일 다음날부터 바로 집 근처 가까운 고용센터에 가서 하시면됩니다. 실업급여 신청후 2주후에 센터에 가서 교육을 받고 다음날 실업급여가 입금이됩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