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 망원경들이 똑같은 천체를 찍어도 왜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우주 망원경의 성능도 다르고, 또 부착된 카메라의 성능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허블 망원경은 가시광선 영역을 중심으로 근적외선과 자외선 영역도 포함합니다. 제임스웹은 근적외선 관측이 주목적이며, 중적외선과 파장인 긴 가시광선인 주황색과 빨간색까지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관측 파장에 따라 색 보정이 달라지며, 카메라의 픽셀도 사진의 품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허블의 경우 CCD가 0.64메가 픽셀임에 비해 제임스웹의 경우는 4메가 픽셀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안녕하세요 배고픈 독거노인입니다 하늘에 보면 별이 빛을 내는데요 왜 빛을내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금의 반짝거림은 아주 오래전에 것이라고 하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대부분 항성으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입니다. 항성은 성간 물질들이 중력 수축에 의해 뭉쳐져 만들어지며, 중력 수축으로 응축되는 과정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 도 이상이 되어 수소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비로소 별이 됩니다. 이 때 중심핵에서 일어나는 수소핵융합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가 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별이 내는 빛입니다. 별이 내는 빛은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데, 표면온도가 높은 것부터 푸른색-청백색-백색-황백색-노란색-주황색-적색이 됩니다.별의 중심으로부터 전달되어 표면으로 방출된 빛은 빛의 속도로 공간을 이동합니다. 항성 등 천체까지의 거리는 매우 멀어서 광년(빛이 1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이나 파섹(연주시차가 1초인 거리, 3.26광년)을 사용합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태양으로 1억 5천만km 떨어져 있으며, 빛의 속도로는 500초 걸립니다.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가까운 별은 4.3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약 200만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은 적어도 수 년 전에 방출된 빛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