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밀랑코비치 사이클(Milankovitch Cycles) 이 빙하기와 간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밀란코비치에 따르면 세차운동, 지구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 지구 공전궤도 이심률의 변화 등 천문학적 요인 3가지로 인해 일어나는 기후 변화-빙하기와 간빙기-는 약 10만 년을 주기로 나타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남극이나 북극의 빙하 코어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확인되었습니다. 빙하 코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약 50만 년 전까지 입니다. 3가지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기후 변화는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도 있지만,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반대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차 운동에 의한 변화는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반대로 나타납니다. 현재는 근일점에 있을 때, 북반구는 겨울, 남반구는 여름입니다. 그러나 세차 운동이 일어남에 따라 북반구의 겨울은 근일점의 위치에서 벗어나 원일점으로 가는 상황이므로 기온의 연교차가 증가하고, 남반구는 반대로 감소합니다. 지구 자전축 경사각이 커지면 북반구와 남반구 모두 기온의 연교차가 증가하고,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는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반대로 나타납니다. 이심률이 작아지면 근일점 거리는 증가하고 원일점 거리는 감소하므로 기온의 연교차가 북반구에서는 증가하고, 남반구에서는 감소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들과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천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천체의 거리를 나타내는 방법은 광년(ly), 파섹(pc) 등이 있습니다. 1광년은 빛이 1년간 진행하는 거리입니다. 파섹은 다음에 말할 연주 시차를 이용한 거리 단위인데, 1pc은 연주 시차가 1"(각도 1도의 1/3600)인 별까지의 거리이며, 약 3.26광년에 해당합니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는 연주 시차를 이용합니다. 연주 시차는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먼 별을 배경으로 한 가까운 별의 겉보기 위치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별의 위치를 6개월 간격으로 관측하여 겉보기 이동한 거리(시차)를 절반으로 나눈 값이 연주 시차입니다. 연주 시차는 거리와 반비례하므로 연주 시차를 측정하면 별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연주 시차를 이용하면 약 100pc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외부 은하에 있는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 변화 주기는 절대 등급과 관련있으므로, 변광성의 변광 주기와 겉보기 등급을 이용하면 별 또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는 2000만pc까지 가능합니다.세 번째는 허블의 법칙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허블 법칙에 따르면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빠른 속도로 후퇴하며, 후퇴 속도는 거리에 비례합니다. 이 방법으로는 약 40억pc까지 측정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폭발할 때의 밝기가 알려진 1a형 초신성을 이용하여 우주의 가장 먼 곳까지 측정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리온자리에서 베텔기우스가 차지하는 위치와 좌표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오리온 자리는 삼태성(오리온의 허리띠)이라고 불리는 별을 중심으로 10여 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 자리를 이루는 별 중 가장 밝은 별(알파별)이며, 일반적으로 볼 때 삼태성 왼쪽 위에 위치합니다. 오리논 자리에는 1등성이 2개 있는데, 베텔게우스는 붉은색, 리겔(삼태성의 오른쪽 아래, 베텔게우스와 대각선 방향)은 흰색이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베텔게우스의 적도 좌표는 적경은 05h 55m 10.3053s, 적위는 +07° 24′ 25.426″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전체도 자전을 하고 있다고 보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우주 전체라는 개념은 광대하지만 우리은하로 국한한다면 우리은하는 공전하고 있습니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별인 태양은 우리은하의 여러 팔 중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과 페르세우스자리 팔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계가 속한 부분은 은하 중심을 중심으로 약 2억 3000만 년의 주기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공전 속도는 초속 200~250km로 알려져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2025년에 지구를 지나는 혜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2025년에 관측할 수 있는 혜성은 5개입니다.먼저 9월 말~10월 초에 지구 근처를 지나가는 C/2025 K1(ATLAS)입니다. 그러나 이 혜성은 남반구에서만 관측이 가능합니다.두 번째는 10월 말~11월 초에 지나가는 C/2025 A6(레몬)입니다. 지구와의 최근접 거리는 0.6AU이며, 북반구에서는 저녁에 관측할 수 있습니다.세 번째는 11월 말에 지나가는 210P(크리스틴슨)입니다. 북반구에서 새벽 동쪽 하늘 지평선 부근에서 관측할 수 있습니다.네 번째는 11월 말~12월에 지나가는 3I(ATLAS)입니다. 새벽에 관측이 가능합니다.다섯 번째는 11월~2026년 2월에 지나가는 C/2024 E1(Wierzchos)입니다. 북반구에서는 근일점 이전에 관측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