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구름에 의해 기후가 변할수 있다는데 무엇때문인가요?!!
구름을 위성사진으로 보면 하얗게 보입니다. 이것은 구름이 태양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구름이 태양빛을 반사하면 구름 아래의 지표면은 그만큼 태양빛을 덜 받게 됩니다. 태양빛이 지면에 도달하는 정도에 따라 지표의 기온이 결정되므로 구름이 있으면 없는 것보다 지표면의 기온이 내려갑니다.실제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는 기술 중에 대기권에 구름을 만들 수 있는 응결핵이나 작은 액체방울을 뿌려 태양빛을 반사시키는 것도 있습니다. 구름이 있고 없고에 따라 지표면의 기온이 달라지므로 구름이 어떤 지역의 기후를 바꿀 수도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급궁금한건데 자동차가 갑자기 출발하면 왜 몸이 뒤로 쏠릴까요?
물어보신 내용은 뉴턴의 운동법칙 중 제1법칙인 관성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물체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물체는 처음의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데 이것을 관성이라고 합니다. 정지해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 하고, 운동하던 물체는 운동하던 방향과 속력을 유지하므로 등속직선운동하게 됩니다. 버스에 탔을 때 갑자기 출발하면 몸은 정지해 있는데 발은 차와 함께 앞으로 운동하므로 상대적으로 뒤로 밀리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넘어지지 않기 위해 중심을 잡아야 하므로 발을 몸이 움직이는 방향인 뒤쪽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반대로 차가 멈출 때에는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몸은 자동차와 함께 움직이던 속도를 유지하려고 하지만 발이 차와 함께 멈추는 바람에 몸이 앞으로 나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은하에서만 1년에 1개의 태양이 새로 생겨는다는데 이렇게 많은 태양이 생겨도 지구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나요?
은하수를 보면 별이 아주 많은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실제 우주 공간에서는 별은 매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가 빛의 속도로 4.3년 가야 하는 거리입니다. 따라서 별이 새로 탄생해도 지구에는 특별한 영향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는 지구같은 별이 없나요
먼저 지구는 별이 아닙니다. 별(star)은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에 의해 스스로 에너지를 내는 천체를 말합니다. 한자로는 항성이라고 합니다. 지구는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로 행성(planet)이라고 합니다. 지구를 별이라고 할 때는 항성이 아니라 천체라는 개념을 사용한 것입니다. 중력은 지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천체에 다 있습니다. 태양의 중력은 매우 커서 태양으로부터 1억 5천만 km 떨어져 있는 지구가 도망가지 않도록 붙잡고 있습니다.유주에는 지구와 같은 행성이 무지하게 많습니다. 태양은 항성 중에서 작은 편임에도 왜소행성이나 소행성 제외하고도 8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우리은하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1000억개 정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행성의 수는 적어도 그것의 10배 이상은 되겠지요? 우주에는 우리은하와 같은 은하가 1000억개 정도 있다고 추정되니 행성의 수는.계산이 불가능합니다.다만 행성 중에서 지구와 비슷한 조건을 가진 것들이 얼마나 되는가를 찾고 있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 대기는 어떤성분으로 구성 되어 있나요?
대기권은 약 1000km까지이며 높이에 따른 온도변화에 따라 지표로부터 약 10km까지의 대류권, 10~50km의 성층권, 50~80km의 중간권, 그 이상의 열권으로 구분합니다. 구성성분은 질소가 78%로 가장 많고 산소가 21%를 차지합니다. 나머지 기체 중 가장 많은 것은 아르곤이고 지구온난화와 관계가 깊은 이산화탄소는 약 0.04%입니다. 공기분자도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력의 영향으로 지표 가까이에 몰려 있습니다. 고도 5.5km 상승할 때마다 기압은 1/2씩 감소합니다. 지상에서 100km까지를 균질권이라고 하는데 공기의 밀도는 다르지만 질소가 78%, 산소가 21%라는 비율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그 이상은 고도에 따라 대기 구성 성분이 달라지는 비균질권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