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로켓엔진의 원리에 대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로켓에 들어가는 물질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연료로 사용되는 캐로신(고순도 등유.... 맞다. 등불을 켤 때 사용하는 등유. 가정용 보일러 연료로 사용되는 등유), 액화 산소, 그리고 헬륨 가스이다.먼저 캐로신은 그야말로 연료이다. 참고로 예전에는 항공유로 휘발성이 강한 제트유를 많이 썼는데 휘발성이 강할 경우 폭발위험이 높아 최근에는 일반항공기에도 캐로신을 많이 쓴다고 한다. 그래서 공항내에서 사용하는 차량들은 대부분 항공기 등에서 남은 캐로신을 연료로 사용한다고 한다. 공항에서 나는 매연 냄새는 이 냄새그리고 산화제가 들어가는 이유는 우주 발사체의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중 산소 비중이 확 줄어들게 되고, 대기권을 통과하면 산소가 없어지기 때문에 산소를 따로 공급해주지 않으면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우주 발사체를 볼 때 발사체 표면에 하얀 연기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액화산소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대기중 공기과 만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차가운 얼음을 실온에 두면 연기가 나는 원리).로켓의 연료가 사용되면 연료탱크의 연료양이 줄어들어 압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압력이 떨어지면 엔진의 추진력이 떨어질 수 있이다. 헬륨가스는 이때 연료탱크 등의 빈공간을 채워줌으로써 연료탱크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로켓의 연료탱크에 있는 캐로신과 산소는 액체인데, 이를 기체로 만들어서 주 연소실로 보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보조 연소실에서 연소를 시켜 연료를 기화시켜주는 터보펌프의 터빈을 돌리게 된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연소실에서 폭발이 일어나는데 액체상태인 캐로신을 기화시켜 분사시켜 준다. 참고로 이 터보펌프의 rpm은 부당 1만500에서 2만7000에 달한다고 한다. 그래서 우주 발사체 로켓에는 연소실이 두개가 필요하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어제 누리호가 발사성공했는데 위성의 역할은?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누리호의 주탑재 위성은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 입니다. 2년간 이뤄질 위성의 임무는 크게 중점기술국산화, 우주과학연구, 핵심기술검증 등 세가지 인데요. 영상레이다(SAR)의 국산화와 우주검증 및 지구관측을 수행하고 근지구 궤도 우주방사선도 관측합니다. △상변환 물질을 이용한 열제어장치 △X-대역 GaN기반 전력증폭기 △GPS·갈릴레오 복합항법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 등 산학연에서 국산화한 4종의 위성핵심기술의 우주검증도 진행합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관측한 지구 영상으로는 한파와 장마 같이 한반도 이상기후에 직접 영향을 주는 북극 해빙 변화를 탐지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고지대 침엽수 고사 증상이나 산림지역 탄소 흡수량 측정치 도출 등 산림보호지역 생태변화 탐지·측정하기도 합니다. 기름 유출, 해양오염 모니터링, 연안 상황인식 등에도 관측 레이다영상이 활용될 예정입니다. 부탑재 위성으로는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4기의 도요샛 위성과 루미르의 LUMIR-T1, 져스텍의 JAC,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 등 총 7개가 실립니다. 천문연의 도요샛 위성들은 앞으로 1년 동안 편대비행을 통한 우주날씨를 관측합니다. 편대비행은 2기 이상의 위성 간 상대거리와 궤도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로, 최근들어 군집위성을 이용한 관측 임무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 오로라 발생입자와 전리권 플라즈마 버블 관측도 수행합니다. LUMIR-T1은 우주방사능량 측정과 우주방사능에 대한 오류 극복 기능의 우주 시연을 담당합니다. 6개월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몸에 침은 왜 지속적으로 분비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침은 하루에 최대 2L까지 만들어 집니다. 침은 세 쌍의 침샘 설하선, 이하선, 악하선에서 0.5~2.0L 정도 분비 되는 액체입니다. 그 효과로 탄수화물 소화, 전분 분해, 윤활제 역활, 충치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침분비도 심장박동, 호흡, 눈의 깜빡거림등의 모두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몸의 활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