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인의 언어를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특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첫번째로 많은 좋은 작품들을 많이 읽고 아름다운 어휘력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후 적절한 대화 중에 흔히 우리들이 일상에서 많이 쓰는 속어, 은어, 인터넷언어를 쓰기보다 그렇게 배운 어휘들을 이용하여 대화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가끔 거울을 보고 자신에게 이야기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에게 이야기하듯 타인에게 이야기하면 나를 존중하듯 타인을 존중할 수 있고 보다 아름다운 단어들을 선택하여 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대시인 청노루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현대시 청노루는 박목월의 작품입니다. 시의 성격은 관조, 묘사, 서정, 낭만, 시각, 정지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면 이 시는 의미를 배제한 채 이미지만 제시하였으며, 감정과 관념의 개입을 절제하기 위해서 대상과 시적 화자 사이의 거리를 멀게 두었습니다. 시행이 간결하고 체언 종결을 사용하여 여백의 미를 강조하였으며, 시선의 이동을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배치하였습니다. 자음인 'ㄴ'을 사용함으로서 부드럽고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하게끔 하여 주제인 절대 순수의 환상적이고 이상적인 자연의 모습을 제시하면서 현실과 단절된 이상세계의 평화로운 분위기와 아름다움을 노래하였습니다. 1, 2연은 3음보를 사용하였고, 3연은 변조된 3음보, 4, 5연은 2음보의 율격을 사용하였습니다. 공간적 배경으로 '청운사'와 '자하산'을, 시간적 배경으로 '봄눈 녹으면'과 '속잎 피어나는' 시기를 제시하였고, 시적 화자의 대상인 '청노루', '눈매에 감도는 구름'은 이 이상향이 현실의 갈등과 고통스러운 역사로부터 벗어난 평화로운 곳임을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한 기본 요건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을 위해서는 상대방이 질문의 요지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명료하게 물어야 합니다. 따라서 질문의 배경, 그 배경 속에 궁금한 부분, 따라서 내가 답변을 듣고자 하는 것을 질문 자체에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질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질문의 내용이 여러가지일 경우에는 고려해야 할 부분이 두 질문의 연관성입니다. 완전 별개의 질문을 여러 개 한다는 것은 답변하는 사람에게도 혼동을 줄 수 있고, 답변자에 대한 질문자의 예의도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한꺼번에 여러 개의 질문을 할 경우에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 내용의 질문을 하는 것이 좋고, 연관성이 없는 질문을 여러 개 할 경우네는 질문 주제의 카테고리를 나누어 질문을 할 때 다른 질문이라는 것을 답변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질문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진달래꽃 작품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이별의 정한을 담고 있습니다.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받아들이며 슬프지만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며 상대방을 배려합니다.이 시는 3음보의 음율을 가지고 있고 반복적인 구조를 통해 감정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취합니다. 그로인해 노래처럼 아름답게 들립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연인일수도, 가족, 친구일수도 있기에 여러 독자에게 감동을 줄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조선 초기 용비어천가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입니다. 목판본이며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445년에 노래의 본문과 한시가 만들어졌고, 역사적 사실을 한문으로 기록한 글이 1447년에 완성되어 간행으로 이어졌습니다. 본문과 그것을 풀이한 한시는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1년 전에 만들어졌으므로, 이 노래는 훈민정음으로 적힌 글로서는 가장 최초입니다.내용은 조선왕조의 정당성과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위에 언급한 신하들이 이씨 왕조를 칭송했다고 하여, 권력을 찬양하는 사람들을 비꼬면서 하는 말이 "용비어천가 부른다"입니다.용비어천가라는 제목의 뜻은 용이 날아올라 하늘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조선왕조가 하늘을 뜻을 받은 왕조라는 것을 찬양하기 위해 지은 노래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서경별곡의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서경별곡은 고려가요로 총 14연으로 전 3연의 분연체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작자 미상입니다. 1연에서는 자신의 터전인 서경을 버리고서라도 사랑하는 이를 따라가겠다는 내용을 담았고2연에서는 구슬과 끈을 통해 변함없는 사랑과 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연에서는 임을 싣고 떠나는 뱃사공을 원망하고 멀어지면 변심할 우려에 대한 화자의 심경을 담고 있습니다. 시적 화자는 기존의 고전시가와는 달리 직설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상을 보여줍니다. 3음보의 민요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고, 동일한 구절을 반복하여 보여주고 있고 경쾌한 리듬감을 주는 후렴구를 두고 있습니다. 반복법, 비유법, 설의법 등을 이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서경별곡의 2연은 고려가요 [정석가]의 6연과 동일합니다. 이것은 구전되면서 섞인 것이 그대로 전달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제망매가의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제망매가는 신라의 승려였던 월명사가 지은 향가입니다. 월명이 죽은 누이를 위하여 부처에게 공양하는 재를 올리고 향가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라고 고서에도 기록되어있습니다. 말 그대로 죽은 누이를 그리워하며 추모하고 그 슬픔에의 극복과 종교적 승화를 이룬 작품입니다. 제망매가는 10구체 향가로 시조와 형식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내용상 4-4-2로 끊어지는 10구체 향가로 시조의 초장 중장 종장의 3단구조와 공통점이 있고, 향가의 마지막 낙구에 나오는 감탄사는 시조의 종장에도 나타나곤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문학의 갈래 중 자아의 개입 관련해서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학의 4갈래를 자아와 세계의 대립을 기준으로 구분한다면서정은 작품 외적 개입이 없는 세계의 자아화이고, 교술은 작품 외적 개입이 있는 자아의 세계화, 서사는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이 있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갈등), 극은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이 없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입니다.따라서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이 있는 것은 교술과 서사이고, 없는 것은 서정과 극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천문학자 였던 파우스트 라는 사람이 악마와 계약한 진짜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파우스트는 마법사이자 학문에 조예가 깊은 지식인이었으나 모든 지식을 알고자 하는 욕망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로 인해 자신이 사실 아는 것이 없다는 지식인으로서의 절망감에 빠지게 됩니다. 이에 자살까지 시도하게 됩니다. 이런 고결한 파우스트를 유혹할 수 있다는 것에 신과 악마 메피스토펠레스가 내기를 합니다. 파우스트에게 접근한 메피스토펠레스는 세속적인 욕망을 모두 충족시켜주지만 더이상 파우스트가 원하는 것이 없게 되면 영혼을 거두어가는 것으로 계약을 맺게 됩니다. 하지만 파우스트는 노년이 되어 죽음이 다가왔을 때에도 진리와 지식을 탐구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였고, 자신보다 우월한 절대적인 존재가 있다는 믿음을 잃지 않아 천상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파우스트가 악마와 계약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지식에의 욕망입니다. 그 욕망이 죽을 때까지 충족되지 못하였던 것이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대에서 문학이 더 발전되기 위한 노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화예술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회의 삶의 수준이 높아져야 합니다. 여기서 수준이라 함은 제반 조건이 경제적인 부분이 첫번째이고, 두번째로 구성원들의 관심입니다. 먹고 살기 힘든 사회에서는 문화 예술이 발달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간혹 과거 어려운 시기에 세계적인 문학작품이 나온 것은 어떻게 설명하느냐 하겠지만 그러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세계적인 문학작품의 경우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 경제적으로 안정된 문화부흥기에 발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이후 제도적으로 번역 등의 작품보다는 창작 작품에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작가를 전업으로 하여 살기에는 터무니 없는 수입으로 인해 창작에 전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좀더 폭넓은 지원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창작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 작품과 작가를 육성해낼 수 있는 길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한민국에 한강과 같은 큰 상을 받는 작가들이 다수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정책적으로 좀더 집중한다면 잠재력있는 좋은 작가들을 많이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