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구려의 주몽은 이름이 주몽인가요? 주몽의 정확한 뜻이뭐죠?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의 역사는 고조선 이후 북부여로 이어지고 그 정통성을 이어받은 것은 고구려입니다. 고구려라는 명칭을 사용한 이유로 그를 고구려의 시조라고 하며, 추모 또는 주몽이라고 불리었습니다. 하지만 고구려는 사실 북부여의 연장이고 북부여는 멸망하지 않고 고구려로 국호만 변경하여 이어졌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 근거를 중국의 사서 에도 볼 수 있듯이 당의 시어사(侍御史) 가언충(賈言忠)이 요동에서 돌아와 전황을 보고하는 중에 “에 이르기를, 고구려는 9백 년을 넘지 못하고 팔십 먹은 당의 장수(이세적)에게 망한다고 하였습니다.” 라고 전한 것을 보아 중국에서도 고구려의 시초를 북부여 시대를 통틀어서 900년으로 보고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국정교과서에서는 고구려 700년이라고만 가르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아마도 북부여 180여년 의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이고 그것을 언급한 의 경우 아직도 논란이 많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우리가 잘 아는 광개토태왕비에 있는 비문을 볼 때 "대대로 왕위를 계승하여 17세를 내려와서 널리 영토를 넓히고 호태왕이 되었다."라고 되어있습니다. 이것은 만약에 추모 혹은 주몽을 1대로 본다면 13세가 되는 것인데 등에서 언급한 북부여의 시조인 해모수를 시조로 본다면 17세가 됩니다. 따라서 유추해보면 북부여에서 국호를 고구려로 변경하였고, 900년간 이어졌던 것이 맞으며 그 시조는 해모수이고 추모 혹은 주몽 때부터 고구려로 국호를 변경하여 이어져 왔으며, 장수왕 때 고려로 국호를 변경하였던 것입니다. 주몽은 부여 때 활을 잘 쏘는 사람을 그리 불렀다고 합니다. 추모는 주몽이 왕이 되고 난 후 개명한 것으로 유추됩니다. 주몽은 활 잘 쏘는 사람, 즉 우두머리, 왕이 될 만한 사람을 지칭하는 명칭이었다는 설과 붉은 주 / 덮을 몽을 써서 대지를 뒤덮는 밝은 빛을 뜻하는 말로 하늘의 자손임을 뜻하는 명칭이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고대 북방의 신 전욱을 현몽(어두운 새벽)이라고 하였고, 그가 다스리던 지역을 검은 땅 현토라고 하였습니다. 동이의 신 언황을 자몽(일출되기 직접의 새벽)이라고 하였고, 주몽은 해가 솟아 밝은 아침을 뜻하니 당시 태양을 숭상하던 북부여-고구려의 왕으로서 하늘의 자손임을 강조하는 말이었던 것이 아닌가 합니다. 추모는 추나라(노나라의 추읍) 추 / 소울음 모 를 쓰는데 추나라는 사실 공자, 맹자의 고향입니다. 그들이 동이족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소울음 모에 소는 고대 숭상의 대상이었습니다. 따라서 추모라는 이름 역시 우두머리라는 뜻이 아닌가 유추합니다. 석가모니의 한자 표기에도 소울음 모를 씁니다. 그리고 고구려 건국 시 주몽 혹은 추모왕을 신적으로 만들기 위해 과거 북부여의 고두막한 단군(동명성왕)의 이야기를 차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주몽이 동명왕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이러한 역사는 사실 교과서에서는 인정되지 않는 듯 하나 최근에는 많은 중국 등의 사서에 나와있는 사료로 보아 지금의 우리 삼국사와 그 시기의 지리적 위치, 영토 등에 대해 재조명 되고 있습니다. 역사는 사료가 밝혀지면 바뀌는 것이니까요.
Q. 시각, 청각 장애인들은 어떻게 예술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각 장애인의 경우 색을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은 말로 해설하거나 직접 만져보고 촉감으로 그 형태를 유추하는 방법을 활용합니다. 청각장애인은 소리 예술 즉 음악, 소리 미디어 등으로는 감상할 수 없기에 시각적인 설명으로만 할 수 있습니다. 얼마 전 미디어아트 듀오인 방&리 전시회에서는 시각 장애인분들을 초청하여 설치된 미술 작품의 공간, 분위기, 개요 등을 아나운서의 나래이션으로 사전 설명하고, 각각의 도우미들의 협조를 받아 직접 만져보고 경험해보는 전시를 진행하였습니다. 전체적인 미디어아트의 스케일이 크기 때문에 그 장면 중 주요한 장면을 미니어쳐로 제작하여 직접 시각장애인들이 그 공간과 대상들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일론 머스크가 개발하고 있는 뉴럴링크를 통해서 뇌와 연결하여 직접 볼 수 없어도, 들을 수 없어도 그 정보를 주입하고 뇌에서 시각화하고, 청각화하여 보고 들을 수 있는 기술도 활용할 수 있다고 하니 기대해 볼 만 합니다.
Q. 왜 우리나라는 설날을 2번 지내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 우리의 명절과 절기는 음력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우리의 설은 음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 맞습니다. 신라, 고려, 조선 모두 새해를 맞이하는 행사로 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사서에서도 삼국시대 신라에서는 음력 1월 1일에 백성들간에 인사를 하고, 임금이 신하를 불러 잔치를 베풀고, 일월신에게 제사를 올린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때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음력을 버리고 양력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은 양력 1월 1일에 새해행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새로운 설이라고 하여 신정이라고 칭하고, 우리 국민들에게도 신정을 지낼 것을 강요? 홍보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은 대부분 음력 1월 1일을 전통적인 설로 지내었습니다. 이에 이것을 구분하기 위해 예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설이라고 하여 옛 구 한자를 써서 구정이라고 구분하였습니다. 여전히 우리의 전통적인 설은 음력1월1일입니다. 신정을 태양력 상 새해의 시작이라 하루를 쉬고, 구정 즉, 음력설은 설날 당일 앞뒤로 휴일을 추가하여 3일을 쉽니다. 이것만 보아도 우리의 설이 언제인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