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에는 여러 문명이 있습니다. 흥망성쇄를 거듭하며 나아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문명의 대부분은 식량과 자원이 풍부한 강 주변의 비옥한 토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수메르,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이집트 등 주요 문명들이 그러했습니다. 이 당시 초기에는 대부분이 부족국가로 비옥한 토지에서 나오는 식량과 풍부한 물 등을 기반으로 점점 그 규모가 커져갔습니다. 이렇게 문명이 커지자 그 문명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의 형태가 생겨나게 되고 그 국가도 부족의 연합에서 시작하여 발전하여 중앙집권적인 국가로 성장하게 되고 국가의 경제력, 군사력, 문화영향력이 커지면서 점차 그 세력의 확장이 커지게 되었습니다.세계를 통치하는 패권국가의 시작은 페르시아로 볼 수 있고, 세계 제국을 건설한 로마, 유럽과 동양을 아우르는 징키스칸의 원나라, 자본주의 경제 제국의 네덜란드, 세계 최강의 해상 제국이었던 영국, 그리고 과학 기술로 극강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군사, 경제, 문화까지 아우르는 미국이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양의 고대국가 중 중국의 당나라, 그리고 대한민국의 뿌리인 고조선 or 고구려 등도 광활한 영토와 제국적인 성향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패권국가로 보기에는 그 사료 등이 동양에 한정적이라고 보여집니다. 초기 패권국가로의 확장은 자국 영토 내에서의 자원 및 발전의 한계 등으로 인한 영토 확장 확보를 위해 주변 지역 또는 신대륙을 군사력과 발전된 문명기술로 시작하였으나, 그렇게 확보된 속국 또는 식민지를 문제 없이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종, 종교, 민족, 언어 등에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이들 간에 차별없이 받아들이고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포용성, 즉 관용이 패권국가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권국가는 경제력, 군사력, 과학 기술력, 선진 문화 등을 바탕으로 하여 주변국 또는 민족을 차별없이 포용할 수 있는 관용의 다문화정책 등이 기반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미래에 저희는 식량으로 벌레를 정말 먹게될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곤충의 경우 개채수 확대가 쉽고, 생각보다 많은 영양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곤충의 경우 전통적으로 여러 국가에서 식재료로 사용했고, 지금도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밀웜, 귀뚜라미, 전갈, 매미, 메뚜기. 굼벵이. 누에 등이 그렇습니다. 굼벵이와 누에의 경우 여전히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서 주식은 아니지만 밀웜, 귀뚜라미, 전갈, 매미 등을 별미로 먹고 있습니다. 최근에 한국 아이돌팀에 있는 태국 멤버가 부모님이 해주신 밀웜과 귀뚜라미 요리를 먹는 장면을 방송에서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70년대 생인데 제가 군대에 있었던 90년대 초에도 군대에서 메뚜기를 잡아다가 소금간을 해서 후라이팬에 볶아 간식으로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말이죠. 그리고 제대 후 압구정동의 한 결혼식 뷔페에서도 메뚜기볶음(튀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먹고 있고 통조림으로 대형마트에서도 판매하고 있는 번데기도 있죠. 곤충은 단백질을 필두로 하여 많은 영양소가 있기 때문에 충분히 미래의 대체식량으로 손꼽히는 대상이긴 합니다. 식물 또는 열매로는 가장 일반적인 것이 콩입니다. 그리고 많은 글로벌 회사들이 대체육 개발에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것은 식물성 단백질에 여러 화학조미료 성분을 가미하여 고기와 비슷한 식감과 맛을 가진 식량을 만드는 것이죠. 우리가 잘 아는 콩고기 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진짜 고기의 맛을 대체하기 어렵다는 시장의 반응에 따라 배양육이라고 하여 도축하지 않고 세포만 체취하여 그것을 배양하여 고기를 얻는 방식도 연구되고 발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디스토피아적인 생각으로 이런 일들이 언젠가는 일어날 것이라 걱정하기는 하지만, 우리 인간들이 잘 연구하여 상생하며 환경도 보존하여 계속 맛있는 밥과 채소, 고기를 먹을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지 유비가 유씨인 게 중요했던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렇다고 하더라도 고대 중국의 경우 명분을 중요시 합니다. 한 왕조가 존재하나 탐관오리와 환관 조조와 같은 이가 나라를 좌지우지 하고 있으니 이들을 한 왕조를 무너뜨리는 역적으로 규정하고 군사를 일으켜 한 왕조를 재건하겠다는 명분을 가진 것입니다. 그런데 왕조가 그렇듯 대부분 친족 성씨 세습이므로, 한 왕조와 같은 성씨를 가진 유비에게는 군사를 일으킨 것이 역성 혁명이 아닌 한 왕조를 지키기 위함이라는 대의 명분을 가지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초등학교 5, 6학년 자녀들에겐 어떤 책들을 권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 생떽쥐베리의 어린왕자 / 미카엘엔데의 모모, 꼬마친구 짐크노프 / 조지오웰의 동물동장 같은 고전을 추천드립니다. 각 작품들은 어린이 청소년 용으로도 각색되어 나와있습니다. 위 작품들은 사회 속에서의 주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와 자존감을 향상시켜가는 주인공의 성장이야기, 그리고 동물농장에서 보여주는 권력에 의한 탐욕에 자신을 잃어가는 모습들, 계급 사회에 대한 고찰과 그에 대한 비판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고학년으로 가는 아이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고전이 최근 나오는 창작동화나 소설보다 더 내용이 깊다고 보여집니다. 이러한 책을 읽어가면 보다 높은 문해력과 창의력, 논술 등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구려의 이름에 대해 궁금한것이있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와 고려가 고조선과 조선처럼 예전과 요즘의 같은 국호를 구분하기 위함은 아니었습니다. '구려'라는 뜻은 위대하다 성스럽다의 뜻이었는데 여기에 높을 '고'를 써서 '고구려'라고 칭하였습니다. 고구려 20대 장수왕 (광개토태왕의 아들)부터 '고려'라고 국호를 변경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오랜 세월이 흘러 후고구려를 표방하였던 궁예를 따르던 왕건이 새롭게 삼국을 통일한 후에 과거 장수왕 때부터 사용하였던 국호인 '고려'를 그대로 사용한 것입니다. 두 나라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아닙니다.
1911921931941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