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챗GPT 논문도 인정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떤 논문을 챗GPT가 작성하였다면, 어떤 문제에 대한 AI의 의견으로 Publish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을 운용한 사람을 저자로 하여 논문으로 인정받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근에 이 문제가 대두되자 국내 어떤 학교에서는 챗GPT로 작성하여 제출한 과제에 대해서 모두 0점 처리를 하는 등 견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체 논문을 챗GPT로 썼다면 한 개인의 논문으로 인정받기는 어려울 것 같고, 논문 내용에 있어서 일부 data를 수집하는 것에 있어서 도움을 받았다면, 출처 및 Reference를 밝힌다면 지금이라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제는 어떻게 챗GPT로 썼는지를 검증하는 부분인데, AI가 작성을 했다면, 반대로 AI가 어떻게 작성되었는지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챗GPT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이렇게 사람이 생각해야 하는 부분까지 대신 생각하고, 더욱 진화해서 사람들이 더이상 생각할 일이 많이 없어진다면, 인류가 더 퇴보할 수도 있다는 걱정이 듭니다. 이러한 좋은 기술이 위협이 되지 않도록 지켜야 하는 사람의 영역까지는 침범할 수 없도록 설계 당시 규제하는 법도 필요하다 보입니다.
Q. 우리나라에서 가장 제작비가 많이들어간 영화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영화 중에서 가장 제작비가 많이 들어간 영화는 2007년 심형래 감독의 입니다. 당시로서는 엄청난 CG 비용 등으로 인해 총 제작비용 약 700억원이 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손익분기점이 1,000만 명 이상(1,500만명이라는 자료도 있다고 함) 되었었으나, 실 관객수는 840만명 정도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여 망한 영화가 되었습니다. 발전된 CG, 미국 시장 진출, 국내 애국심을 자극하는 마케팅 등으로 어느 정도 시장에서 관심은 받았었으나, 지나친 애국 마케팅과 배우들의 수준 떨어지는 연기력, 이야기 전개 미약 등으로 국내외 평론가들의 혹평을 받으며, 최악의 평점을 받았습니다. 결국 미국 시장에서의 실패로 큰 적자를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