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8월 2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가난한 노인네입니다 우리나라의 소설 수필 시 자서전 이런 것들이 있는데요 소설과 수필 이것은 비슷한 건가요 아니면 다른 건가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과 수필(에세이)의 차이점은 장르의 차이입니다. 소설이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구조를 갖춘 꾸며낸 이야기라고 하면, 수필(에세이)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대로 쓴 글을 말합니다.
문학
2024년 8월 21일 작성 됨
Q.
현대 문학에서 비극적 결말을 사용하는 작가들은 어떤 부분을 전달하고 싶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어떠한 비극적인 결말을 남기는 지에 따라 다릅니다만 어떠한 문제를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이 아니라 암울하고 비극적인 결말의 경우에 작가가 의도하는 바는 현실 또는 그 문제에 대한 강한 경고를 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디스토피아적 소설이나 드라마가 있다고 한다면 그 주제의 심각성을 부각시켜 비극적인 결말을 보여줌으로써 현실에서 그러한 결과가 나오지 않도록 해야한다는 경고라고 판단됩니다.
문학
2024년 8월 20일 작성 됨
Q.
소설가 이광수는 어째서 친일파가 되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가 이광수는 상하이에서도, 국내에서도 독립운동을 했었습니다.그러다가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반년 간 투옥된 이후 친일 성향으로 기울어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 회장이 되어 전쟁 중인 일본 병사들에게 위문대·위문문 보내기를 주도하였다고 합니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며 황민화운동을 지지하고 창씨 개명을 사람들에게 종용하며 자신의 이름을 가야마 미쓰로로 바꾸었고 그 이유도 설명하였다고 합니다. 또다시 1941년 9월 매일신보에 반도미중의 애국운동을 쓰며 일본의 대동아공영권을 지지하고 영미를 타도 격멸하라는 주제로 강연도 하였다고 합니다. 특히 일본제국의 징병제를 선전하고 긍정하는 글도 올리고 청년들에게 군대에 입대하여 전쟁에 참여하라고 독려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이 최남선과 함께 일본 주재 한국인 유학생에게 입대를 권유했던 선배 격려대입니다.왜 갑자기 명확하지는 않지만 투옥된 기간에 생명을 위협을 느끼고 살기 위해서 일제에 협조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문학의 발전에 기여한 이광수이지만 마지막은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게 되어 안타깝습니다.
문학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브런치스토리 작가 되는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브런치에서는 일관된 주제로 글을 쓰는 것이 작가로서 인정받기 용이합니다. 저처럼 시나 에세이 같이 순수 문학적 컨텐츠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정 주제를 가지고 시리즈 형태로 쓰는 것이 더 많은 관심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나의 이탈리아 여행기', '쌍둥이 엄마의 프랑스에서의 육아일기'처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글을 연재할 수 있는 작가를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문학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소설에서 내적갈등과 외적갈등은 어느 때 자주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에서의 갈등 중 내적갈등의 경우 어떠한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선택에 따른 득과 실이 있어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 지 고민할 때 발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외적갈등의 경우는 등장인물 간에, 주인공과 사회체제 간에 극적 긴장감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할 때 발생합니다.
문학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소설에서 갈등은 꼭 있어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에서의 갈등은 사건을 고조시키는 하나의 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인공과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 구조도 있고, 주인공과 사회체계의 갈등 구조도 있고, 주인공 내면에서의 갈등 구조도 있습니다. 이것은 이야기를 전개해가는데 있어서 필연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신소설로 불리는 소설은 어떤 소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신소설이라 함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생겨나서 성장한 소설로 개화기소설이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시대적 명칭인 동시에 이 명칭은 문학용어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신소설의 명칭이 가장 먼저 쓰인 것은 1906년 2월 1일자 대한매일신보의 중앙신보 발간광고문에서 을 소개하면서 한운 선생이 저작한 현대걸작의 신소설이라 한 것이라고 합니다.실제로 이 용어가 가장 먼저 쓰인 것은 일본이었는데 이것은 잡지의 이름으로만 사용되었고, 중국에서도 월간지의 이름으로만 쓰였었다고 합니다. 소설의 시대적 명칭으로 쓰인 우리 문학사에서 신소설이란 개화기소설들 중 새로운 시대의 이념이나 사상을 다룬 소설에 적용되는 명칭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문학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사랑손님과 어머니는 왜 옥희의 눈으로 어른들의 사랑을 관찰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습니다. 옥희의 눈으로 이야기를 전개해가며 당시 여성들의 재혼에 대해 좋지 않은 시선을 상쇄하려는지 여성의 딸인 옥희를 사랑의 전달자로 두어 이 사랑을 원하는 이가 당사자들이 아닌 자녀인 옥희인 것처럼 장치를 둔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문학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친구와의 다툼 이게 제가 비꼰거고 제 잘못일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비꼬았다고 하기 보다는 그것이 실수던 잘못이던 당사자가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인정하고 사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황을 마무리하다 보니 상대방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되려 문제제기한 님에 대해 비아냥거리듯 말하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욕을 하고 실수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잘못했으면 제대로 사과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사과를 받고 안받고는 상대방의 마음입니다. 받으면 관계가 유지되는 것이고 받지 않으면 관계가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서로 잘 이해하시고 진지하게 당시 문제에 대해 마무리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문학
2024년 8월 18일 작성 됨
Q.
수어는 전세계 공통언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수어는 각 나라마다 자신들의 언어를 수어로 만들어 쓰는 국가수어 혐태입니라. 그리고 국제수화가 따로 있는데 이것을 배운 사람들간에는 국가와 상관없이 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이 국제수화는 국제회의, 스포츠행사, 문화교류 등 농인들의 모임에서 사용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WFD (세계농아인연맹)에서 만든 국제수화보다 미국수화를 더 많이 쓴다고합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