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해드립니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해드립니다.
이현영 전문가
중소벤처기업부 비즈니스지원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4년 10월 1일 작성 됨
Q.
퇴직금 계산 기간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마지막 근무일, 즉 7월 24일까지로 계산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해고·징계
2024년 10월 1일 작성 됨
Q.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비정규직 근로자 보호를 위한 법률로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있으며, 해당 법률에서 비정규직의 사용기간 2년 제한 및 정규직과의 차별적 처우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직장내괴롭힘
2024년 10월 1일 작성 됨
Q.
직장생활하다보면 아무이유없이 실어하면서 왕따시키는 사람들이 있잔아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괴롭힘 가해자들의 심리는 우월의식이나 낮은 자존감 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직장내괴롭힘
2024년 10월 1일 작성 됨
Q.
왕따시키고 괴롭히는사람들 신고하면 처벌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직장 내 괴롭힘으로 피해를 받고 있는 경우 권리구제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내부 기관을 통한 대응: 즉, 회사에 괴롭힘 신고를 하여 행위자에 대해 간접적으로 징계 조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외부 기관을 통한 대응: 행위자에 대해 직접적으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의 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른 근로계약서상 필수 기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임금: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ㆍ지급방법 2. 소정근로시간 3. 휴일 4. 연차 유급휴가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근로 계약서를 쓰지 않고 일을 하면 법적인 효력이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고 하여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의 권리의 보호받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해고나 임금체불 등 노동분쟁이 생겼을 경우 근로조건의 입증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작성하여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회사에 들아갈때 근로계약서를 꼭 쓰고들어가야 하는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는 1일만 근무하더라도 작성하여야 하며, 미작성 시 사용자에게 1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임금체불이나 해고 등 노동분쟁이 생길 경우 근로조건에 대한 입증이 어려워 근로자에게 불이익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으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는 1일만 근무하더라도 작성하여야 하며, 미작성시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사업주에게 부과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사업주에게 빠른 시일 내 작성을 요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시정될 경우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근로계약서 미작성으로 인한 진정을 넣을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해고·징계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아르바이트 생을 내일부터 나오지 말라고 하는것은 정당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아르바이트생이라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회사원과 마찬가지로 근로자로서 근로기준법상 권리의 보호를 받습니다.따라서 상시 5인 이상 사업장에 재직 중일 경우 정당한 이유 없이 회사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할 수 없으며,3개월 이상 재직한 근로자일 경우 해고일로부터 30일 전에 해고예고를 하여야 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해고·징계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권고사직과 해고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해고는 근로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사용자가 근로관계를 일방적으로 종료하는 것인 반면,권고사직은 사용자가 퇴사를 권유하고 근로자가 이를 받아들여 합의 하에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입니다.따라서 권고사직의 경우 해고를 전제로 지급하는 해고예고수당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