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서 가장 사회복지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 지역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지자체마다 행정지원은 물론이고 위기가구 발굴하여 민관이 잘 협력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 중에 보건복지부 평가에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등 우수하다는 선정되었으며 특히 서울 성동구, 부산 수영구, 부산 연제구(한부모 가정), 경기 성남시, 경기 오산시(은둔형 외톨이 청년 발굴), 경기 하남시, 충북 진천군, 경남 창녕군 등 지역이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사회복지가 필요한 상황에 민관이 협력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Q. 아파트나 빌라 필로티 구조는 화재에 취약한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필로티구조는 외부환경과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지진에는 매우 위험합니다. 1층 필로티에 화재가 발생한다면 1층이 개방되어 있어 공기흐름이 좋아 아궁이 역할을 하게되어 큰 불로 번지게 되고 매연이 상부층으로 벽을 타고 올라가 화재피해를 더 키울 수 있습니다. 만약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났다면 가연성 물질로 인해 화염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초에 필로티 구조가 도입되어 이명박 정부때 건축법상 높이 제한 규정을 피할 수 있고 층수에서 제외할 수 있으며 도심 내 녹지 및 공공공간 조성을 위해 필로티 구조양식이 본격적으로 확장되기 시작했습니다. 필로티 구조는 주차장 확보, 치안, 보안, 홍수방지, 보행자통로, 공공 공간 등으로 사용하고 있어 용도에 유리하고 가성비가 높아 공간활용성과 도시 미관측면에서 장점이 있어 현재 아파트, 빌라, 빌딩, ,오피스텔, 원룸, 학교, 관공서 등의 많은 건축물에 많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필로티구조는 내화성 재료를 사용하고 스프링쿨러 설치와 자동화재탐지 관리를 철저히 하고 대형화재로 번지지 않도록 방화벽 설치 등 보완하여 화재로부터 안전한 건축물이 되길 바래봅니다.
Q. 보강토 옹벽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보통 지반 고저차가 많이 나는 도로나 도심 등에 석축, 보강토, 개비온, 콘크리트 옹벽을 공사하고 있으나 현장여건에 따라 보강토옹벽을 설치하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보강토옹벽은 기성품으로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비용이 저렴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조적 설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하중에 잘 견뎌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자갈로 뒷채움으로 배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강토옹벽은 환경에 따라 위치와 각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뒷채움이 미비하면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즉, 보강토옹벽을 잘못 시공할 경우 배수처리에 문제가 발생하여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강재의 부식과 손상이 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강토옹벽은 구조설계를 통해 정확한 설계와 유지관리가 중요합니다. 높이에 맞게 그리드를 설치하고 옹벽이 앞으로 밀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력식 계단 쌓기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뒷채움을 충분히 해줘 배수처리가 잘되게 된다면 옹벽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