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세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세영 전문가입니다.

장세영 전문가
강원대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발해는 공식 국호는 발해가 아니라 고려 였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조영이 처음 나라를 세웠을 때 이름은 "진국"이었습니다. 이는 당나라에서 대조영 무리가 거병했을 때 그들을 회유하고자 대조영의 아버지 걸걸중상을 진국공에 책봉했기 때문입니다.시간이 지나 당과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대조영은 "발해군왕"에 책봉되었고 이것에서 국호를 발해로 공식화하였습니다.발해의 고려 국호 사용도 있었던 듯 한데, 이는 «속일본기» 보구 3년 2월 기묘 기사에서 확인됩니다. 여기서 일본은 문왕에게 "고려국왕"이라고 부릅니다.그러나 이는 발해 문왕 시기의 일시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같은 기록에서 무왕은 발해왕으로 서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평소궁금한건데 광해군은 무엇때문에 인조한테 축출당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이 임진왜란 때 분조를 이끌며 활약했으나 그것과 군주로서의 통치는 다른 것입니다.왜란 때 의병을 주도했던 북인들은 전쟁이 끝나고 정권을 차지하였습니다. 광해군은 이들의 지지 아래 정치를 운영하였습니다.그러나 광해군은 자신의 정통성을 지나치게 의식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생모 공빈 김씨를 공성왕후로 추존하고, 계축옥사로 이복동생 영창대군을 살해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선조의 왕비이자 대비였던 인목왕후 김씨를 경운궁에 가두었죠. 이는 유교 질서를 무너뜨린 패륜 행위였습니다.또 광해군은 미신을 신봉하여 피폐한 재정에도 불구하고 궁궐을 마구 짓거나 수리하였습니다. 전국에 궁궐 건축을 위한 재정을 확보하려 "조도사"들을 파견하였고 이들은 각종 폐단을 일으켰습니다.정치적으로 북인 중 대북 세력이 우세한 가운데 있었습니다. 이들은 붕당이 다원화되는 시세에 역행하여 자신들의 학통을 높이기 위해 서인ᆞ남인 계열의 학통 계보를 무시하였습니다(회퇴변척).이들은 계축옥사를 이끌며 조정 내의 서인ᆞ남인을 축출하였고 정권을 독단하였습니다. 이러한 면모는 자신들의 정치 기반을 축소시키는 자살행위나 다름 없습니다.아울러 광해군은 명나라의 후금 정벌 당시 파병 요청에 미지근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는 대명사대에 입각한 조선의 대외 방침을 어그러뜨리는 것입니다. 심지어 북인마저도 파병해야 한다며 광해군에 반대할 정도였으니까요.따라서 폐모살제, 무리한 궁궐 축조, 대북의 전횡, 명나라를 배반했다는 명목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방원과 정몽주의 사이가 나빠진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흔히 드라마에서 나오는 것처럼 이방원이 정몽주와 각별한 사이였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와 같은 기록은 없습니다. 모 드라마에선 정몽주를 이방원의 스승으로 묘사했지만, 실제 이방원의 스승은 원천석입니다.아무튼 이방원이 정몽주를 죽인 까닭은 정몽주가 이성계 일파의 일망타진을 꾀했기 때문입니다.당시 이성계는 낙마하여 부상을 입고 집에 머물러있었습니다. 정몽주는 이를 기회삼아 이성계의 수족들을 죄다 유배보냅니다. 그리고 이들의 처형을 공양왕에게 건의합니다.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방원은 이성계를 개경으로 모셔오고 결단을 촉구합니다. 그러나 이성계는 나서지 않습니다. 이에 방원이 판전객시사 조영규와 함께 이성계의 병문안을 온 정몽주를 때려 죽였습니다.이성계는 크게 분노하였고, 정몽주와 그 일당을 역적으로 몰아 사태를 수습합니다. 그리고 이 사건을 계기로 이성계가 그의 후계자로 이방원을 선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짙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최초의 여왕은 누구였나요? 우리나라에서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록 상으로 우리나라 역사 최초의 여왕은 신라 제27대왕인 선덕여왕입니다.선덕여왕의 이름은 덕만으로 신라 진평왕의 장녀였습니다. 여성인데도 덕만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까닭은 진평왕의 사전 작업(?) 때문으로 보입니다.진평왕은 진흥왕에 이어 왕실을 불교 사상에 따라 신성화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진평왕, 그의 왕비인 마야부인, 동생 국반 갈문왕, 장녀 덕만의 이름 모두가 석가모니불의 가족이며 불교에서 따온 것입니다. 특히 덕만은 불교의 덕만우바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중생의 구제를 위해 여성으로 태어난 존재를 말합니다.이러한 작업으로 진평왕은 자신의 가계를 잇는 자를 "성골"이란 특수한 신분으로 격상시켰고, 이에 성골 남성이 없다는 이유로 덕만이 왕위에 오른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예송논쟁에 대해서 서인과 남인은 각각 어떤 입장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란으로 조선의 체제, 질서는 무너졌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바로 "예"입니다. ​유교에서 예는 신분간의 질서, 이웃간의 교제, 일상에서 지켜야 할 규범이나 생활방식입니다. 예를 강조하면 무너진 질서가 회복되리라 여겼고, 자연스레 예를 연구하는 예학이 깊어집니다. ​따라서 예송논쟁은 이러한 배경 아래 집권층 사이에서 발생한 정치적 갈등입니다. ​예송은 효종과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가 죽은 뒤, 그들의 어머니격인 자의대비 조씨가 얼마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를 논의한 겁니다. 총 2차례(기해ㆍ갑인예송)에 걸쳐 있었고, 그때마다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습니다.​1) 기해예송(1659, 현종 즉위년) - 원인: 효종의 사망, 자의대비 상복 문제 * 어머니가 아들을 위해 얼마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 - 전개: 서인(1년복) / 남인(3년복) * 서인: 효종은 둘째이므로 1년복! * 남인: 둘째이지만 왕이므로 적장자, 3년복! - 결과: 서인의 주장대로 1년복 결정2) 갑인예송(1674, 현종 15년) - 원인: 효종 왕비 인선왕후 사망 *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위해 상복을 얼마동안 입어야 하는가? - 전개: 서인(9개월) / 남인(1년복) * 서인: 인선왕후는 둘째 며느리이므로 9개월 * 남인: 서인의 주장은 효종이 장자임을 부정! - 결과: 분노한 현종이 1년복으로 결정(남인 승)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 왕조에서 장희빈을 제외하고 후궁으로 입궁하여 중전이 된 사람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살아서 후궁이었다가 왕비가 된 사람은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와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 뿐입니다.폐비 윤씨는 성종의 후궁으로서 숙의였습니다. 그는 성종의 첫 왕비인 공혜왕후 한씨가 사망하자 뒤를 이어 왕비로 책봉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들을 낳았는데 바로 연산군입니다.숙종은 희빈 장씨를 처형한 뒤 다시는 후궁 출신이 왕비가 되지 못하게 법으로 정했습니다. 따라서 이후로 후궁 출신 왕비는 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성경은 누가 번역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성서번역과 보급을 맡고 있는 대한성서공회에 따르면 최초의 한글 성경은 1887년의 «예수셩교젼셔»입니다.이 성경은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소속의 존 로스(John Ross, 1842~1915) 선교사가 주축이 되어 한국인 이응찬, 백홍준, 서상륜, 이성하 등과 함께 번역하였습니다. 존 로스는 1882년부터 신약성경의 복음서들을 한글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는 오랜 시간에 걸쳐 성서 전부를 한글로 완전히 번역하여 스코틀랜드ᆞ영국성서공회의 경비를 지원받아 «예수셩교젼서»로 출간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치과 치료가 존재하였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조선시대에도 충치 질환을 치료하였습니다.《향약집성방》과 《동의보감》을 보면 치아에 통증이 있을 때 치료하는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1. 치아가 삭아 구멍난 곳을 약으로 메꿈- 오늘날의 아말감과 유사2. 치통이 있는 곳에 약물을 붙이는 경우3. 치아를 닦는 경우4. 잇몸을 지지는 경우5. 뜨거운 것을 입에 머금고 있다 식으면 뱉는 경우등의 치료법이 있었습니다.위의 치료방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시기가 지날수록 치아 질환의 치료에서, 치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나아간다는 점이 주목할 만 합니다.[참고]- 장영희, 2010, 《과 의 치료질환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역사
역사 이미지
Q.  예수의 탄생일이 12월 25일 이라는 기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니요, 성경에 예수의 탄생일은 나오지 않습니다. 크리스마스가 12월 25일로 제정된 데 대하여 여러 논의가 있습니다.1. 이교의 기념일을 기독교화 했다는 주장본래 12월 25일은 로마의 달력상 동지(冬至)였습니다. 이 날을 기점으로 다시 태양이 뜨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이 때를 무적의 태양신 솔 인빅투스를 기리는 축제일로 삼았습니다.그러나 로마가 기독교를 받아들인 뒤로 이런 이교의 풍습을 고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어두움을 물리치고 세상의 빛되신 예수의 탄생을 기리는 날로 변모하여 흡수한 것입니다.2. 유대 전승에 따라 제정되었다는 주장유대인들은 창조, 구원과 관련된 중요한 일들이 1년의 같은 시기에 발생했다고 보았습니다.이 견해를 받아들인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탄생일을 계산하였습니다. 곧 예수는 유대력으로 니산월 14일에 사망하였습니다. 이를 로마력으로 바꾸면 3월 25일이 됩니다.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잉태일과 사망일이 동일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예수의 출생은 잉태일로부터 9개월이 지난 12월 25일이 되는 것이지요.따라서 예수의 탄생일을 12월 25일로 보는 데에는 이교의 문화를 흡수한 결과 또는 유대교의 전승을 받아들인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성황후의 시해사건의 배경은먼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있기 전, 조선은 일본의 간섭 아래 갑오개혁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이때 일본은 청나라와의 전쟁에 승리하였고 조약으로 요동반도를 얻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지나친 중국 진출에 러시아, 프랑스, 독일 등 세 나라가 함께 문제를 삼았습니다. 이를 삼국간섭이라고 합니다.이 일로 일본의 활동에 브레이크가 걸렸고, 조선에서도 그 영향력이 흔들렸습니다. 그러자 조선은 러시아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습니다. 왕후 민씨는 러시아 공사 베베르를 만났으며, 내각도 모두 친러 세력으로 교체되었습니다.일본은 상황을 반전시켜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계획한 것이 친러정책의 중심 역할을 하는 왕비를 제거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렇게 을미사변이 발생하였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