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식탐이 좀 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식탐이 있는 아이가 걱정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우선, 가정에서의 식탐을 먼저 바로잡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요즘은 반찬은 공유하고 주요 반찬은 개인 식판(트레이)으로 따로 준비하시는 가정도 많이 있습니다. 모든 가족의 식사를 개인 식판으로 준비하시기 번거롭다면 아이들 식판만이라도 따로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 그런 후 식판에 놓인 음식을 다 먹으면 보상으로 좋아하는 음식(생선, 고기)을 더 준다는 규칙을 정하는 겁니다. - 만약 공동 식탁에서 하나의 반찬그릇으로만 식사를 해야 한다면 주요 반찬(고기, 생선 등)은 가족수대로 등분을 해두시면 좋겠습니다. 모두가 같은 수 만큼 먹을 수 있도록 구분을 하는 것입니다. - 이때도 아이가 규칙을 잘지켜서 다른 가족의 몫을 먹지 않는다면 보상(여분의 맛있는 음식 더주기 등)을 해줍니다. ** 가정에서 다른 가족을 배려하는 식사문화를 습득하고 실천하게 되면 또래간의 식탐도 서서히 이해하게 되서 나눠먹는 문화를 실천하게 될 수 있습니다.
Q. 아이가 밥 먹기 싫어할때 억지로 먹여야 할까요 아니면 배 고플때까지 놔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밥을 먹지 않는 아이때문에 고민이 있으신가 봅니다. 아이가 밥을 먹지 않는 이유가 말씀하신 것처럼 과자를 먹는 것이라면 생활습관을 바꿔주시는 것이 먼저인것 같습니다. - 밥을 먹지 않아도 과자 등 군것질이 풍부하다면 아이들은 당연히 단것을 선택하게 됩니다. - 집에 과자가 항상 비치되어 있다거나, 과자를 잘 사주시거나, 사먹을 수 있도록 용돈을 주신다면 제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아이들의 음식 섭취는 영양소를 채우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과자보다는 건강에 좋은 우유, 과일 등을 간식으로 주시면 좋겠습니다. ** 밥을 먹지 않는 이유가 만약 과자가 아니고 식욕 자체가 높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 소식좌라고 하는... 이런 경우는 아버님 말씀처럼 배고프면 챙겨먹을 수 있도록 식사 시간을 조절해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