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정소영 전문가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거부의 의사를 표현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말문이 트이는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말에 집중을 하게 됩니다. 현재 아이에게 호기심을 집중시키는 단어가 싫어, 아니야 인 것 같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는 말씀 먼저 드립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은 쉽게 변하게 되어 금새 다른 단어로 변경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부정적인 단어 사용이 신경이 쓰이신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 아이가 싫어, 아니야라는 답을 하게 되는 질문을 선택형 답변이 가능한 질문으로 대체해주세요. 예) 00야 우유 먹을래? 쥬스 먹을래? 처럼 어느 것 하나를 고르는 답을 이이가 좋아하는 것들을 넣어서 물어주세요. 예) 이제 자야해라는 말 대신에 '00야 잠잘 시간이네. 더 놀고 싶으니까 조금더 블럭놀이하자' 라고 긍정의 말을 전달해주시면 같은 의미의 자야한다는 말도 아이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어떤 놀이가 아이에 뇌 자극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블록과 퍼즐을 좋아하는 것을 보니 호기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뇌발달에 도움이 되는 놀이는 다양한 자극을 경험할 수 있는 놀이들입니다. - 여러가지 색깔을 포함하는 교재교구를 활용하거나 여러가지 색깔을 만지고 볼 수 있는 놀이가 좋습니다. 예) 알록달록 퍼즐맞추기, 물감놀이- 다양한 감각을 활용할 수 있는 놀이가 우뇌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보고/만지고/냄새맡고/느끼고... 예) 야채를 썰어서 간식만들어서 먹기, 밀가루 반죽해서 머핀만들기- 다양한 근육을 활용할 수 있는 놀이가 도움이 됩니다. 큰근육과 작은근육을 골고루 사용하는 놀이들입니다. 예) 폭신폭신 축구공놀이, 이불접어서 기차놀이하기- 호기심과 창의력을 유도하는 놀이가 도움이 됩니다. 예) 말씀하신 퍼즐맞추기, 노래퀴즈 맞추기, 그림그리기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4개월 영아... 영아 어린이집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둘째 아이가 4개월이 지났다면 좀 이른감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을 공동체교육 기관에 보내기 적합한 시기는 아이가 언어/신체/성격 등 발달이 또래와의 관계형성이 가능할 때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 아이가 자신의 요구를 2단어 이상을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는 경우(2돌 전후 나이)- 보호자 보다는 친구에게 관심을 갖고 사귈 수 있는 나이, 최소한 대상영속성이라고 하는 눈에 보이지 않아도 보호자가 존재한다는, 즉 낯가림이 없는 시기(빠르면 6개월, 보통은 돌경)- 보호자가 아닌 다른 사람, 낯선 사람에게도 편안하게 다가가는 나이** 피치못할 사정에 의해 공동체교육기관에 보내야 한다면 어쩔 수 없지만 조금 기다릴 수 있다면 6개월은 넘어 보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3세 아이 혼잣말 괜찮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3세가 되었다면 한창 말문이 트이는 언어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라고 하는 나이입니다. 말씀하신 혼잣말의 기준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걱정될 만큼의 혼잣말 횟수가 많은 경우가 아니라면 호기심에 아이가 말을 중얼중얼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아이에게 혼잣말을 한다고 혼내시거나 핀잔을 주게되면 아이의 언어발달에 악영향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아이에게 대화를 시도하셔서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닌 주고받는 대화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남자 아이 성교육은 몇살부터 하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요즘은 공동체교육을 받게되면 성인지 감수성이라고 하는 성교육을 경험하게 됩니다. 공동체교육은 어린이집, 유치원 등을 말합니다. 이는 어릴 적부터 성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다만,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을 하게 됩니다. - 남자아이 여자아이 관계없이 어린 아이들은 자신의 몸은 소중하고, 자신의 허락없이 내몸을 만지면 안되고, 누군가가 억지로 내몸에 손을 대면 거부해야하고... 등의 눈높이를 맞춘 성교육이 필요합니다. - 성인지 감수성 측면에서의 교육은 과거 남자는 강하고/칼을 가지고 놀고, 여자는 순하고/인형을 가지고 놀고/핑크색을 입고.. 의 개념이 아닌 자신다움을 만들어 가는 자신만의 개성을 갖는 것과 다른 친구들의 성향도 존중하는 것을 교육하는 것입니다. - 남자아이에게 너는 남자녀석이 핑크를 좋아하니, 그러면 안된다라거나 여자아이에게 너는 여자인데 칼싸움을 좋아하니 그러면 안되고 치마를 입어야 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은 아이다움, 아이만의 개성을 존중해주는 것과 반대되는 감수성입니다. - 아이가 성별에 관계없이 자신의 색깔을 찾아서 자기다움을 찾도록 교육부탁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머리숱이 적고 머리카락이 가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어릴적 우리 딸아이를 보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20대 성인이 되어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습니다. 저희 딸도 3살되도록 남자아이로 오해받았습니다. 머리숱도 없고 두상이 커서 남자아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였습니다. 여자 아이라 계속 머리를 밀어줄수도 없어서 머리띠, 모자 등을 계속 해줬던 기억이 납니다. 다른 방법이 없어서 저희 부부는 기다렸습니다. 조금 더 나이를 먹으면 괜찮겠지하고요. 어린이집에 갈 나이가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고유의 머리카락이 자랍니다. ** 부모님의 몫일 것 같습니다. 기다려주고 믿어주는.... 지금처럼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곧 건강한 모발이 자라게 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어린이들의 상장 호르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아이들은 8~9시간 이상 숙면을 해야 쑥쑥 큽니다. 늦게 잠들더라도 아침에 늦게 일어날 수 있다면 숙면 시간을 확보해주시면 좋습니다. 다만, 아이들 특성상 아침에는 눈을 일찍 뜨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서, 눈뜨는 시간을 역으로 계산해서 9시간 이상을 잘 수 있게 숙면시간을 확보해주시기 바랍니다. - 아이들이 충분한 잠을 자지 못하면 키성장에 무리가 됩니다. - 늦도록 잠들지 못하면 먹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잘때 소화기에 부담을 주고 비만의 원인을 만듭니다. - 잘못된 식사(간식)시간은 다음날 일과 중의 식사시간에도 영향을 미쳐서 아침에는 입맛이 없고 간식등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 충분한 숙면을 하지 못하면 정서발달, 성격발달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잘 자라는 아이를 위해서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만들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가 같이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힘들어 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만1세라면 2세 이하라고 보여집니다. 귀여운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아직은 어린 나이라서 누군가와 공유하는 것에 대한 인지발달이 어려운 시기입니다. 자기 물건을 빼앗아가면 떼를 쓰기도 할 것이고요. 대신 아이들은 관심사 또는 호기심을 갖는 시간이 짧고 쉽게 변합니다. 이런 시기의 특성을 이용해서 지금 놀고 있는 장난감 대신 다른 장난감(놀이감)을 보여주거나 옆에서 관심을 유발하면 금새 새로운 장난감에 꽂힙니다. 이른 이용해서 새로운 장난감을 주고 기존에 놀던 장난감을 다른 아이에게 주시면 됩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모양과 색깔이 모두 똑같은 놀이감을 복수로 준비하시면 친구와 같이 놀수 있습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가 스마트폰 게임을 너무좋아하는데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요즘 사회는 스마트폰을 쉽게 접하는 시대로 통제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스마트폰을 어린 나이에 너무 오래하게되면 발달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시간을 조절하거나 대체행동을 만들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먼저,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못하게 하거나 혼내는 것을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못하게 하면 아이들은 숨어서 하거나 몰래하는 등 더 좋지 않은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 대신 스마트폰을 할 수 있는 칭찬시간을 벌어주세요. 아이가 해야하는 행동, 과제 등을 완료하면 상으로 스마트폰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 예) 그림책 읽기 1시간 - (완료하면)스마트폰 30분 하기, 방청소하기-동생과 놀아주기 - (완료하면) 스마트폰 1시간 하기..- 이런 방법으로 아이가 스마트폰을 하는 칭찬거리를 만들어 주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사회성은 어떻게 길러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사회성은 나와 나 이외의 상대방(복수 가능)과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의 사회성은 공동체생활을 통해 증가합니다. 부모님께서 돕는 것이 어렵다면 형제자매, 또래친구를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형누나와 함께 공동체 놀이하기. (예) 형과 협동해서 블럭성 쌓기, 누나와 함께 심부름가기- 아이와 친한 친구와의 관계를 많이 만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예) 친구와 심부름하기, 친구와 숨은물건 찾기, 돌림노래부르기..** 초등학교에 가기 전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내는 이유도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성을 키워주기 위한 큰 이유중의 하나입니다. 이를 응용해서 주변에 있는 또래아이 부모와의 모임을 하는 것도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