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싫어,안해 라는 말을 많이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어느 시점이 되면 부정을 표현하는 단어(싫어, 안해 등)에 집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고 싶지 않은 행동을 부모나 가족이 요구할 경우 깊이 듣지 않고 싫어, 안해라고 표현합니다. 이런 경우는 아이가 부정적인 답이 아닌 자신을 표현하는 답을 하도록 질문을 바꿔서 물어봐주세요 - ㅇㅇ야 밥먹자 --> ㅇㅇ야, 밥먹을 준비할건데, 고기 반찬에 먹을거야? 아니면 생선반찬에 먹을거야? 위처럼 아이가 자신의 요구사항을(이때 모두 좋아하는 것들을 포함해서 물어주시면 더 좋습니다) 선택해서 표현하도록 질문을 변경해주세요.
Q. 화나면 깨무는 아이 고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자신의 화를 다스리거나 자신의 요구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이 서툽니다. 아직 자신만의 정체감이 형성되지 못하기도 했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언어발달이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화가 나거나 불만이 있을때 적절한 언어적 표현이 서툴러서 부적절하게 행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녀분처럼 깨물거나, 울거나, 소리지르거나, 고집부리거나... 이런 경우 아이들이 자신의 마음, 감정, 생각 등을 표현하도록 지도해주세요. - 나는 ~~ 때문에 화가난다. 나는 ~~해서 싫다... 등 그렇게 행동하는 원인을 말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 하면 이해해주시고 부적절한 행동(깨물기 등)으로 표현하는 것은 좋은 해결 방법이 아니므로 말로 표현하도록 하라고 해주시고. 말로 표현하면 엄마/아빠가 이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믿음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Q. 학생 주도의 수업이 오히려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리드하는 수업이 학습효과가 떨어진다????? 학습효과의 목표를 어떤 것에 두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학습효과가 성적, 점수라고 한다면(보통의 학교에서 보는 시험같은) 이때 효과는 떨어질 것입니다. -> 암기해서 익힌 문제를 푸는 것에 익숙하지 않으니까요.다만, 저는 반대의견입니다. 우리나라 교육은 위의 성적을 학습효과로 보는 경우가 많아 암기를 시키고 학원에서 인강을 모두 획일적으로 보게하고,, 그렇게 출제한 문제를 잘 맞으면 점수가 높게 나오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성장한 우리 아이들은 창의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무방비 상태가 됩니다. - 책을 많이 읽어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정립하고- 친구들과 토론을 통해서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고 자신의 논리를 만들고... 하는 식의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 아이들이 졸업하고 사회에 나아가면 주어진 정답이 있는 삶은 많지 않습니다. 그날 그날 발생하는 문제들을 동료와 함께 또는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삶이 보통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교육이 학습효과라고 해야 할까요?
Q. 아이에게 한글과 영어를 같이 가르쳐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우리 아이가 영어도 잘하고, 한글도 잘하기를 바라는 것은 모든 부모의 바람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아이들은 언어적 발달적기라는 것이 있어서 5~6세 정도까지 언어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가장 큽니다. 한글이든 영어든 재미있게 놀면서, 놀이로 하는 교육은 아이가 흥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다만, 가르치는 개념으로 접근하신다면 아이에게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영어를 공부하는 것을 싫어하거나 흥미를 갖지 않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고 향후 관심을 갖는 때에 접근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부모의 과한 교육욕심을 아이에게 거부감으로 작용하게 되지 않도록 조심스런 접근을 부탁드립니다.
Q. 또래에 비해평균키가 작은아이 어떻게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것을 보니 7세 정도인 것 같습니다. 또래보다 키가 작아서 걱정될 수 있으나 아이들의 성장은 사춘기까지 지속되므로 아직은 작은 키가 확정적인 것은 아님을 먼저 기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럼에도 건강한 발육과 성장을 촉진하는 것들을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 성장 발육을 돕는 운동을 시켜주세요. 뼈를 길게 자라도록 돕는 줄넘기, 트렘폴린, 쭉쭉 늘이는 스트레칭 등- 뼈성장에 도움이 되는 음식물을 제공해주세요. 우유, 생선, 달걀 등 칼슘과 단백질 음식-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중학교 가야할 시점에도 키성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시면 성장판검사를 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은 한방병원이나 큰 병원에서 성장 전반을 체크하는 검사들이 있으니 향후 더 지켜보시고 걱정되시면 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Q. 아이 틱장애 증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틱장애 증상이 궁굼하신 모양입니다. 틱으로 많이 나타나는 행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머리 흔들기, 좌우로 앞뒤로.... 머리가 앞으로 또는 뒤로 잠깐씩 떨어지기- 손떨기, 손흔들기, 양손 또는 한손- 몸의 중심이 잠깐씩 흔들리기- 눈썹이 찌릿하듯 떨리기, 얼굴의 어느 한 부위가 잠깐씩 떨리거나 찌릿하기..틱증상은 아주 다양합니다. 미세하게 나타나서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우리 아이가 다른 아이들은 없는 특이한 증상, 행동을 수시로 보일 경우 틱을 의심하시고 관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