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애착인형(오리)을 많이 아끼고, 항상 옆에 두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누구에게나 애착이 가는 장난감 등은 있기 마련입니다. 초등학교 4학년이어도 사랑하는 오리가 친구가 되어 자신의 비밀을 말하고, 누구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애착을 느끼는 오리는 아이에게 편안함, 위로, 안정된 감정을 줄 수 있습니다. 어질적 소중한 추억이 될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점점 자라면서 애착을 느끼는 대상은 변하게 됩니다. 좀 더 크며 또 다른 것을 소중히 여길 것입니다. 걱정 마시고 건강하게 감정이 풍부하게 자라는 아이를 기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Q. 짜증이 심한 아이 어떻게 키우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세살 버릇은 여든까지 간다고 합니다. 짜증도 습관이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부세요. - 아이가 짜증을 낼때 '00야, 짜증내지 말고 무슨 상황인지, 어떤 감정인지를 자세하게 말해줄래'처럼아이의 상황 또는 주변 맥락을 말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럴 경우 아이의 반응의 예로, '배가 고픈데 먹을 것이 없어서 짜증이 나...' 이런 식으로 대답을 할 것입니다. - 아이가 상황이나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짜증을 내기만 한다면 이렇게 말해주세요. ' 너가 자세하게 상황을 말하지 않고 짜증만 내면 엄마는 어떤 요구도 들어주지 않을 거야. 너의 상황과 감정을 말해야해, ~~해서 짜증이 난다거나 , ~~가 ~~해서 짜증이나' 처럼 답하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자신의 상황과 감정등을 말하면서 짜증을 낼 수 있습니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는 공감을 먼저 표현해 주세요. 예) 그랬구나. ~~해서 너가 짜증이 났구나. 라는 식으로- 그런 다음 솔루션을 주세요. 짜증을 부리기 전에 너의 감정과 행동과 요구를 표현해야 너의 짜증나는 원인이 다음에는 없을 것이고, 짜증이 아닌 해결책을 찾아서 부모가 또는 가족이 도와줄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세요. ** 아이의 짜증은 누군가에 의해 습관화 될 수 있습니다. 가족 중에 짜증을 많이 부리는 사람을 보고 배운다거나, 주변인 중에서 모델링 한다거나.. 가정내에서 보고 배운 것이라면 가족들 모두 짜증을 부리기 전에 말로 표현하는 행동으로 변경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연년생 자매 키우는데, 유독 첫째가 잘못을 더많이 해서 첫째를 더 자주 혼내게 되는데, 그러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연년생 아이들은 정말로 많이 싸우면서 자라는 것 같습니다. 자라면 누구보다 더 친하게 지내게 되니 나중에는 큰 의지가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어릴적 자라면서 자매간의 싸움에서 큰아이의 잘못이 많다고 하셨는데, 그것이 반드시 그렇다고 생각하시기 보다 일부만을 보고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의 싸움은 서로간에 이유가 있습니다. 해서 서로가 있는 자리에서 상황을 물어서 서로서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말로 큰아이가 대부분 잘못을 했다면 잘못한 것을 지적해 주시고 그렇지 않다면 또는 누구의 잘못이 아닌 서로의 잘못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같이 혼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