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들 스마트폰 조금만 할수 있게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1인 1스마트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개인 모바일사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 흔하게 있는 스마트폰에 아이들이 쉽게 반응하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런 반응이라 여겨집니다. 하지만 시간을 조절해서 게임을 하는 어른들과 달리 아이들은 시간 가는줄 모르고 게임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걱정이 아닐수 없습니다. 이렇게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이와 약속한 규칙지키기를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하루중 게임을 최대 00시간 하기, 1시간 게임하면 1시간 바깥놀이(책읽기, 과제하기... 등)하기 등으로 아이가 게임하는 시간을 확보하고 싶으면 다른 활동(과제)을 하고나서 해야 한다는 규칙을 만드는 것입니다. 2. 규칙을 잘 지키면 보상하기. 약속한 규칙을 지키면 보상(교육학 용어로 강화라고 합니다. 칭찬을 하거나, 먹을 것을 주거나, 스티커를 주거나...) 아이의 입장에서 자신이 약속을 지킨 것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입니다. 이때의 보상은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 좋아하는 물건 등을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3. 규칙과 보상 정하기는 아이와 함께 상의해서 결정하시는 것이 더 효과가 있습니다. 4. 하루에 지켜야 하는 규칙과 약속을 모두 완료한 날은 맘대로 게임을 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강화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이에게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하기 싫은 것도 해야한다는 의무감과 권리를 모두 알고 실천하도록 하는 인지를 심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Q. 아들인데 취향이 여자아이네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들 아이가 딸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들에 더 관심을 보여 걱정스러우시겠습니다. 하지만, 최근은 남아다움, 여아다움이란 개념보다는 아이의 고유한 성향을 존중하는 패러다임이 더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남자아이는 로보트를 좋아하고 파랑색, 칼, 싸움놀이 등을 좋아해야 하고여자아이는 인형을 좋아하고, 분홍, 소꼽놀이, 요리하기 등을 좋아해야 한다는 식의 말은 성인지 감수성(성인지성)에 반하는 말들입니다. 과거의 어른들께서 '남자녀석이 핑크색 입으면 쓰겠니 ' 등으로 말씀하셨지만 지금시대는 이런 말은 개인의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일상생활 속에서 젠더(성)에 대한 차별이 있음을 인지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아들 아이에게 '왜 여자아이처럼 그러니, 그러면 안돼...' 등으로 말씀하시는 것은 적절한 대응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남자, 여자의 정의는 생식기의 차이만 다를 뿐 좋아하는 색, 놀이, 감정, 정서 등은 모두 개인의 차이로 존중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아이가 자기가 좋아하는 것들을 충분히 표현하도록 해주시는 것이 정서발달에도 도움이 되니 전혀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일예로, 여자아이가 파랑색을 좋아하고 씩씩하다고 해서 걱정할 것이 아닌 것과 같습니다. 그냥 아이의 개인적인 취향인 것입니다. 나쁘다 좋다 또는 옳다 옳지않다고 판단하는 것과는 다른 것입니다.
Q. 아이 소근육 발달을 위한 놀이?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소근육은 몸통, 가슴, 다리에서 이어지는 대근육의 움직임을 미세하게 강화해주는 손, 손가락, 발, 발가락 등을 활용하는 근육을 말합니다. 따라서 좀더 섬세한 활동이 소근육 놀이에 해당합니다. 아이와 함께 하기 좋은 소근육 놀이는 아주 많습니다. 손가락, 발가락 등에 물감(밀가루)를 적셔서 그림을 그리고 반죽을 만들어서 만드는 활동, 퍼즐을 맞추기, 실뜨기, 피아노/멜로디언 연주하기, 요리하기 등 가정에서 부모님과 하면 좋은 활동들이 있습니다. 남자 아이라면 레고조립, 구슬치기, 딱지치기 등도 안과 바깥에서 하기 좋은 놀이입니다. 다양한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은 모두 소근육 활동을 돕는 행복한 놀이에 해당합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가 같이 하게되면 아이들이 정서적으로도 더 감성이 풍부해지고 안정적으로 편안해져서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칭찬도 많이 해주시고요.
Q. 요즘엔 ADHD인 아이들이 예전보다 많은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의뢰인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요즘은 ADHD라고 불리는 아이들이 많아졌습니다.우리가 어릴때는 없었는데 많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학적, 교육적인 접근이 많아진 것도 한 몪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ADHD라는 것을 잘 몰라도 사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는 직업환경이 많았습니다. 농사를 짓고, 장사를 하고,,,하지만 요즘은 전문성을 요하는 직업도 많아지고 의학적인 상식, 교육적인 관심이 높아지다 보니 아이들이 또래와 조금이라도 다르다 싶으면 병원, 복지관 등으로 달려가서 검사를 하게 됩니다. 조금 산만하고 행동이 과한 아이라면 10중 8, 9는 ADHD라고 불립니다. 아이를 ADHD라고 부르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말하기 힘들다고 보입니다. 아이마다 특성, 성향이 다른데, 검사 결과만을 가지고 판정을 하게됩니다. 이런 이유로 ADHD 아이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습니다.
Q. 아기의 소근육 대근육에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아이들이 매일매일 발달하는 모습을 보는 것은 부모의 큰 기쁨인 것 같습니다. 대근육과 소근육은 신체적인 발달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대근육에는 대표적으로 하체, 등, 가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부위를 통한 대근육 운동은 고개 가누기,뒤집기, 앉기, 붙잡기, 기기, 걷기, 뛰기 등이 대표적입니다. 소근육에는 어깨, 팔, 복근 등이 있습니다. 이들 부위를 통한 운동은 물건 쥐기, 연필 잡기, 단추 누르기, 퍼즐 맞추기 등입니다. 소근육은 보통 대근육의 움직임에 관여를 하기 때문에 큰 힘을 내는 대신 대근육의 움직임을 조금 더 부드럽게 해줍니다.대근육과 소근육은 따로 따로 작용을 하지 않습니다. 같이 움직이게 됩니다. 해서 어떤 부위를 더 먼저 발달시켜야 하는 가 보다는 다양한 놀이를 하면서 큰근육과 작은 근육이 함께 쓰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근육 운동 능력에 관심이 있는 아기는 해당 능력들을 빠르게 습득하는 데 열심일 것이며, 소근육 운동에 더 관심있는 아기는 이런 범주에 속한 능력을 빠르게 습득하려고 할 것이다. 뭔가 유심히 관찰하는 아이들이 소근육 운동 기술에 관심있을 때가 많다.따라서, 아이들은 바깥놀이를 통해 공이나 놀이기구를 타는 것도 중요하고 실내에서 퍼즐맞추고, 딱지를 접고 손가락을 꼼지락거리는 놀이도 중요합니다. 어는 하나의 활동이 아닌 다양한 장소, 다양한 놀이감을 활용하도록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