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정소영 전문가
Q.  6세아이 표현법 어떻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사랑이 많고 사람을 좋아하는 아이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요즘은 성교육 또는 성인지교육이 강조되면서 허락없이 누군가를 만지거나 포옹하는 것이 금지되는 사회입니다. 이렇게 지도해주세요 - 다른 친구가 좋아서 만지고 싶고, 손잡고 싶고 안고 싶다고 해서 그냥 행동으로 하면 안된다고... 친구에게 허락을 받고 행동을 해야 한다고(친구에게 양해를 먼저 구해야 한다고) 훈육해주세요. 예) ㅇㅇ야, 친구가 너무 좋아서 손을 잡거나 안고싶으면 먼저 허락을 받아야해. "(친구이름)ㅇㅇ야, 나 너가 좋아. 손잡아도 되니?" 이런 식으로..- 어릴때부터 소통하면서 자신의 의견/생각/요구에 대한 양해를 구하는 것을 습관화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왜 아이들은 떼를 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떼쓰는 아이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죠?아이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어려울때 보통 떼를 쓰거나 자지러지게 웁니다. 자신의 의견, 요구를 말하고 싶은데 통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훈육하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가 떼쓰거나 심하게 울때 " ㅇㅇ야, 떼쓰고 울면 엄마가 아무것도 해주지 않을거야. 너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너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떼쓰지 말고 천천히 말해보렴"..- 아직 어린 아이들은 더더욱 소통에 어려움이 있어서 울음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논리적으로 자신의 요구를 말하기 어려운 아이의 상황을 이해해주시고 아이가 천천히 자신을 말하도록 시간을 주시고 충분히 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Q.  어린이집 이랑 집에서 하는행동이 달라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19개월 아이의 귀여운 모습이 생각나서 웃음짓게 됩니다. 많은 부모님들께서 이와 비슷한 말씀을 하시거나 유치원/학교에서의 모습을 말씀드리면 깜짝 놀라십니다. 집에서 하는 행동과 전혀다르다고...저도 어릴적 생각해보면 그랬던 것 같습니다. 유치원/학교에서 얌전하고 말잘듣는 아이였는데 집에오면 숙제도 안하고...방정리도 안하고...- 유치원 선생님과 소통을 하실 일이 있을때 아이에 대해서 칭찬하는 말씀을 선생님께서 하시도록 부탁드려보세요. - 아이가 듣도록 설정하시면서 예)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어머니, 00가 유치원에서 정리도 잘하고 너무 착해요. 집에서도 유치원에서처럼 정리도 잘하고, 밥도 잘먹고 그러죠. 특히 더 주변 정리 잘하는 날이 있으면 저에게도 알려주세요. 저도 더 많이 칭찬해줄게요' 이런 식의 대화를 아이가 듣도록 설정해서 하시면 아이가 조금 달라질 것입니다. ** 아이들은 칭찬을 먹고 살거든요. 화이팅입니다
Q.  요즘 부쩍 아이가 짜증이 늘어났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요즘은 아이들도 세상사는 것이 쉽지 않은가 봅니다. 어른들이 매일이 힘든것처럼 아이들도 같을 수 있다는 이해를 해주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아이들도 아이들 나름의 문제들이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라고 생각하는 눈높이가 어른들과 다르지만 아이들 눈으로 볼때는 세상 가장 어려운 문제로 보일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들이 "하지마.", "싫어" 처럼 부정적인 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는 긍정적인 표현과 생각을 하도록 교육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하지마, 싫어 등의 부정적인 용어를 사용한다면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원인을 말하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 내가 지금 졸려요. 그래서 지금은 밥먹기 싫어요, 나중에 먹을래요.... 처럼 싫은 이유, 하기싫은 이유 등을 넣어서 자신의 감정을 말하도록 교육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이의 입장에서 싫고 하기싫은 이유를 존중하는 것으로 짜증을 부리듯 말하는 것이 아닌 상황을 표현하도록 하는 훈육입니다.
Q.  아이가 다른 친구들에 비해서 키가 작은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키가 작은 아이때문에 걱정이 많으신가봅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부모님께서 모두 키가 크신것 같으니 자라면서 쑥쑥 클 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너무 조급해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럼에도 매일매일 키크는 스트레칭과 운동을 하도록 지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막 태어난 아기 기저귀 갈때 쭉쭉이 하듯히 팔과 다리를 쭉쭉 늘려주는 것처럼 스트레칭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 맨손체조, 등- 키 크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줄념기, 트렘폴린 등 위로 아래로 뛰는 것은 뼈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 칼슘을 많이 먹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유, 생선 등- 많이 걱정이 되신다면 성장판 종합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큰병원이나 요즘은 한의원에서도 하는 병원이 더러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성장판을 검사하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지만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부담이 되지 않으시다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 아이가 건강하고 잘먹고 잘놀고 정서적으로 편안하다면 큰 걱정하지 않고 잘 자라도록 편하게 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됩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