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치원 마스크 착용 해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하지 말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1월 30일 자정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도 의무가 아닌 선택이 되었습니다. 일부 공간을 제외하고요. 제외 대상에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교육기관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만, 밀폐된 공간(밀폐, 밀접, 밀집)이거나 건강상 위험이 있는 요보호 시설인 경우는 제외입니다. 유치원은 대체로 환기를 자주시키고 청결에 신경쓰는 기관입니다.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선생님들도 아이들의 표정과 감정 등을 살펴서 아이들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시키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이가 열이 있거나 몸이 좋지 않은 날은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Q. 우는 아기 달랠때는 청소기를 틀면 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기 키우는 것이 만만치 않으시지요?무엇때문에 우는지도 모르겠고, 울때마다 어떻게 달래야할지도 모르겠고...tv에서 청소기를 켜서 우는 아기를 달래는 것을 보셨다고 하시는데 신기하네요. 하지만 저는 그 방법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아기의 울음소리보다 더 크고 자극적인 소리를 들려줘서 아기를 자극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아기가 신기하고 깜짝놀라서 울음을 그칠 수는 있지만 반복되면 아기는 다시 적응이 되고 무뎌져서 더 크게 울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부모님은 더 큰 자극이 되는 소리를 찾아야 하고..- 아기는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이 아직 없습니다. 3세가 되지 전에는 보편적으로 조정능력이 없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때의 아기들은 달래주고 안정을 찾도록 안아주고, 먹을 것을 줘보고, 기저귀를 갈아줘보고,,, 등 달래는 모든 방법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사고가 정립되지 않은 아기를 상대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은 이 때문입니다. 우는 아기의 패턴을 잘 파악해서 그때 그때의 울음소리에 맞게 대응하시는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오랜 경험을 통해 부모님의 대응책을 마련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 아이 학교 언제부터 혼자 걸어다닐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군요. 많이 긴장되고 떨리시겠습니다. 1학년 때부터 가능하면 10분 거리 초등학교에 혼자가는 것을 교육시켜 주시면 좋겠습니다. 3월이 되기전에 사전에 부모님과 몇번 오며가며 등하교길 연습을 하면 아이들은 충분히 혼자서 다닐 수 있습니다. 만약, 집근처에 친구가 있어서 초등학교에 같이 갈 수 있다면 친구와 함께 등하교길 연습을 시켜서 같이 다니도록 하시면 더 좋습니다. 등하교길 연습을 하면서 신호등 안전하게 건너기, 문방구 앞에서 시간 보내지 않기, 낯선 사람 따라가지 않기 등을 같이 교육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이 있다면 학교에 도착해서(등교), 학교에서 출발하면서(하교) 부모님께 전화하도록 습관을 만드는 것도 안전교육에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