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들 스스로 학습은 언제부터할수 있을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스스로 공부도 숙제도 할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은 모든 부모님의 바람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인도 그렇듯이 하고싶은 것을 먼저 하고 싶고 하기 싫은 것은 미루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람은 마음입니다. 특히 아이들은 아직 목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계획적인 생활목표를 실행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부모님께서 아이가 규칙적인 생활패턴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가 싫지만 해야하는 활동(책보기, 과제하기, 학원숙제 등)의 리스트와 아이가 좋아하고 하고 싶은 리스트(게임, tv보기, 바깥놀이... )를 만듭니다. 이때 아이와 상의해서 결정하시면 좋습니다. - 매일매일의 생활계획표(생활패턴 규칙)를 만들도록 합니다. 예) 책보기 1시간 - 방학 과제하기 1시간 - (완료) 게임하기 1시간 이런 식으로 해야하는 과제를 완료하면 보상(강화)으로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을 상으로 주는 것입니다. 매일의 일과를 잘 수행하면 더 큰 칭찬(일주일에 한번 용돈 더주기 등)을 해주시는 것으로 보상해주시면 좋습니다. ** 아이가 자신이 해야할 일을 완료하면 보상이 주어져서 좋아하도록 규칙을 상의해서 만드시고 실천하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Q. 아이 운동은 언제부터 시키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몇살인지 모르겠습니다.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서 근력운동을 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전반적인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서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이 적절하게 합쳐진 운동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몸 전체를 사용하거나 팔다리 등 큰 근육을 활용하는 것이 대근육 운동입니다. 축구하기, 달리기..- 몸 전체를 사용하거나 팔다리 등 큰 근육을 활용하기 보다 미세한 손가락, 발가락 등 근육을 활용하는 것이 소근육 운동입니다. 종이접기, 실뜨기, 그리기, 발도장찍기... ** 큰근육 운동을 하면서 작은 근육까지도 활용하는 놀이가 가장 적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