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주민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주민욱 전문가입니다.

주민욱 전문가
내과
내과 이미지
Q.  부정맥 방치하면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부정맥의 증상은 부정맥의 종류나 심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데,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로부터 실신이나 심장 돌연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심방세동은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보는 부정맥의 한 종류로 일반 인구의 1-2% 에서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많아져 85세 이상에서는 20% 이상에서 심방 세동을 가지게 됩니다.심방 세동에서는 심방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않고 미세하게 떨고 있는 상태로, 좌심방 안에 와류가 생기고 피가 굳어 혈전(피떡)이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만들어진 혈전은 갑자기 떨어져나가 좌심실과 대동맥을 거쳐 뇌혈관이나 다른 장기 혈관으로 흘러가면 혈관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위험합니다. 이렇게 피의 흐름이 갑자기 중단되면 그 부위 장기가 상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뇌혈관이 막히면 뇌졸중 (중풍, 뇌경색) 이 발생합니다. 일반인에 비해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5배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지 마비와 같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응급치료나 수술을 요할 수 있습니다.가까운 내과에 가서 심전도와 심초음파, 24시간 심전도 검사를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알콜성치매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알코올성치매는 다른 치매와 달리 환자가 술을 끊고 6개월이 지나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단 알코올성치매가 이미 많이 진행된 상태일 경우 회복되는 데도 한계가 있어, 조기검진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손가락이 칼에 베였는데 에려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물에 닿지 않게 하고 1,2일 마다 마데카솔 연고등을 바르고 벤드를 붙여주시는게 좋습니다.음식을 조리하느라 매일 물에 닿는다면, 골무 형태의 고무 골무를 사서 손가락에 끼워주는것이 좋습니다.
비뇨의학과
비뇨의학과 이미지
Q.  건강한 자위 횟수라는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자위는 너무 많이 해도 문제고 너무 안 해도 문제입니다. 중간, 적당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적당함의 기준은 다시 말씀드리지만 본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입니다.그래도 몇 번이라는 수치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여러 조사 기관에서 조사한 데이터의 평균을 말씀드리자면 1주에 20대 3번, 30대 2번, 40대 1번 정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뇨의학과
비뇨의학과 이미지
Q.  자위를 많이 하면 근손실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한 번 사정할 때 배출되는 정액의 양은 2~4g 정도이며, 이중 80%는 물이고 단백질은 약 150mg 입니다.칼로리 소모량 또한 0.7 칼로리로 매우 적습니다.자위행위로 근육 및 골격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테스토스테론이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호르몬 변화량이 크지 않지 때문에 이로 인한 근손실은 무시해도 무방할 정도 입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담석은 왜 생기며 증상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담석이 만들어지는 원인은 아직 확실치 않지만 담즙의 성분 변화, 담즙 정체, 감염으로 인한 결석 형성, 유전적인 요인 등으로 보고 있습니다. 증상은 심한 복통이나 소화불량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장 심한 증상으로는 담낭염에 의한 것으로 열과 오한이 동반된 복통이 있습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자궁경부암예방접종하면 자궁암 안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예방율을 90%가량으로 보고 있으며, 어린 나이에 맞을 수록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보통 6개월 동안 총 3회(0,1,6개월) 어깨의 삼각근 부위에 근육내 주사합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유방암, 가족력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대부분의 유방암과 난소암은 후천적으로 발생하지만 약 5~10%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에 의해 발생한다. 이런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진 여성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56~87%, 난소암은 27~44%에 이릅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대장 용종 제거한 사람은 계속 생길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제거후에도 다른 부위에 생길 수 있습니다. 대장용종의 경우 20% 정도의 유전적 요인과 80% 정도의 식생활 습관에서 발생되고 있습니다. 식생활 습관으로는 육류, 당분, 지방을 많이 섭취하는 것과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위험인자입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대장을 전부 드러내면 대장의 역할은 뭐가 해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제거후에 대체할 만한 기관이 없어서 식이조절을 해야합니다.장수술 후에는 일반적으로 소화 흡수능력이 떨어지고 특히 대장 절제 후에는 수분 흡수능력이 저하되는데,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설사나 묽은 변이 되기 때문에 지나친 섭취를 피해야합니다.식이섬유는 장내에서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피하고, 대장 수술의 경우 분변량을 줄이기 위해서도 소화가 좋고 식이섬유가 적은 식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