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 위촉오시기에 종회는 동성애자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회의 게이설이 제기되는데, 근거가 제법 뚜렷합니다.일단 중년의 나이에 처자를 뒀다는 기록이 없는데 종회는 역모죄로 죽었으니 보통 사람 같으면 삼족을 멸했다는 일반인에게도 상당히 친숙한 서술이 뒤에 붙어야 하나 종회는 맡아 기르던 조카들에 대한 처분만이 거론됩니다. 서술이 아예 없으면 그냥 일족을 멸했는데 안적었구나 할 법하나 조카들에 대한 처분은 적으면서 처자에 대한 기록이 없어 진짜 자식과 처가 없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또한 당시는 원한다면 어디 오랑캐 진영에 쳐들어가 여자 하나 잡아다 결혼해도 되는 시대였습니다.종회가 꽃미남이면서 여장 취향을 가진 하안과 어울리기도 했지만 세설신어에 따르면 당시 종회는 옥에 갇힌 하후현에게 압 하려했다고 하는데 압은 허물없이 친하게 지낸다는 뜻이지만 희롱한다는 뜻도 있으므로 , 원해 하후현과 아무 교분도 없고 16세나 연하였던 종회가 이제 사형을 눈 앞에 둔 그를 상대로 갑자기 집적거렸다는 이야기 입니다. 하후현은 내가 비록 형장의 길로 가는 사람이지만 그대의 말을 들어줄 수가 없다고 종회의 제안을 거절, 만약 순수하게 하후현을 존경해 교분을 갖고자 한 것이라면 내가 비록 죽을 사람이지만 이라는 표현으로 거절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즉 희롱했다는 의미 쪽이 맥락에 더 맞습니다.촉 종벌 이후 반란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행보도 강유한테 반해서 그랬다고 하면 말이 되는데, 이때 강유는 60대 노인이라 종회와 최소 20년은 나이 차가 발생, 하후현도 종회에게는 상당히 연상인 점, 종회가 늦둥이라는 점으로 무의식중에 아버지의 빈 자리를 채워 줄 다른 남자를 갈구한 것일수도 있습니다.다만, 단순히 인성이 덜 되고 성격이 좋지 않아 결혼을 못했을 수 도 있고, 하후현을 희롱했다는 것도 출처가 세설신어라 신빙성이 높지는 않습니다.또 당시 이미 종회가 게이였다는 소문이 퍼져 그런 이야기가 나왔을 수 도 있으나,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Q. 문종으로 인해 군사적으로 발전한 것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종은 왕세자 시절에 진법을 편찬했을 만큼 국방에 관심이 많아 병력 증대를 통해 병법의 정비와 국방의 안정을 꾀하려 하며 태종 때 만들었던 화차를 새롭게 개발해 혹시나 있을 전쟁과 국방에 대비하고자 했습니다.재위 2년동안 병력의 조직과 인원, 군법, 용병술, 군대 휘장과 표시 등 군사에 관한 모든 분야를 총체적으로 적은 오위진법을 편찬, 12사 체제의 중앙군사제도를 5사 체제로 바꿔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군사제도를 만들었습니다.
Q. 정조시대에 설치된 규장각의 역사 및 설치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 즉위 후 1776년 11월 5일 청덕궁 금원의 북쪽에 규장각을 세우고 제학, 직제학, 직각, 대교, 검서관 등의 관리를 두었으며 규장은 임금의 시문이나 글을 가리키는 말로 이때 규장각은 그 이름대로 역대 왕의 글과 책을 수집 , 보관하기 위한 왕실 도서관의 역할이었습니다.정조가 규장각을 설치한 목적은 당시 왕권을 위협하던 척리, 환관의 음모와 횡포를 누르고 학문이 깊은 신하들을 모아 경사를 토론케 하여 정치의 득실과 백성의 질고 등을 살피며, 문교를 진흥시키고 타락한 당시의 풍습을 순화시키려는 목적이었습니다.정조 사후 조선이 급격히 무너지면서 세도 가문인 안동김씨, 풍양 조씨, 여흥 민씨들이 출세하는 중앙 통로가 되버려 갑신정변 때 폐지를 주장, 1894년 갑오개혁으로 인해 궁내부에 소속, 1895년 규장원으로 개칭되나 1897년 다시 규장각으로 개칭, 결국 1910년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멸망하면서 폐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