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호주는 어떻게 영국으로부터 독립한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은 영국 영토였지만 영국 본토에서 너무 멀었고, 이민자들이 몰려들면서 사회적 혼란이 심화되고 폭동이 종종 있었습니다. 주 원인은 영국이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에 청나라 출신 중국인 계약 노동자들을 데려온 것으로 중국인 계약 노동자들은 성비가 매우 불균형했는데 1860년 대 당시 기준으로 중국인 이민자 4만여 명 중 여성은 12명 정도에 불과했습닏나. 호주에서는 중국인 쿨리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차례 폭동이 빈발하게 되며, 중국인 , 인도네시아인 노동자 포함 아시아인 노동자 유입에 대한 반발은 결국 호주의 독립으로 이어지게 됩니다.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현지인들의 반발로 이후 호주 자치령에서는 백호주의 정책을 시행하면서 아시아인들의 호주 이민을 제한, 독일 제국이 북마리아나 제도를 스페인에서 사들여 태평양으로 진출하는 등 타국의 위협도 생기며 이에 따라 현지 사정을 잘 아는 현지인들에게 외교권과 국방권을 제외한 내정을 위임할 필요가 있었고 그래서 캐나다 자치령의 선례를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지정되어있던 6개 식민지를 통합해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라는 자치령으로 지정, 독자적인 헌법을 제정한 것이 1901년으로 사실상의 호주의 독립 및 건국이었습니다.
Q. 조선시대 풍자시조는 어떤 주제들을 다루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조는 시적 형식이 고려 후기에 성립되며 조선시대에는 새로운 지도 이념으로 자리잡은 성리학을 기반으로 더욱 융성하게 됩니다.시조는 음악과 결부되어 창으로 노래하며 시조의 시적 형식은 초장, 중장, 종이라는 3장으로 구성되는 3행시 형식의 단순한 구조를 가집니다.시조는 각 장이 3~4음절로 된 싯구사 4구씩 이어지며 4음보격의 일정한 리듬을 형성, 이러한 형식의 단순성에도 시적 정서의 표현과 그 미적인 완결성을 유지할수 있기 때문에 시조는 사대부층, 서민층까지 널리 애호하는 문학 형식이었습니다.조선 후기 사설시조가 발전되어 평민들의 꾸밈없는 감정을 소박하게 형상화하는 그릇이 되며 사설시조는 일반적인 평시조의 3장 형식에서 중장, 종장이 정제된 4구의 형식을 벗어나 장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사설시조는 평시조의 절제된 형식을 파괴하며 자유분방한 시 형식에 서민층의 삶의 애환, 현실에 대한 풍자와 해학 등을 담아냈습니다.
Q. 개인운동인 골프의 국가대항전은 어떻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에서 2년마다 개최되는 미국과 유럽의 남자 골프대회로 1926년 전영오픈골프선수권대회를 하기 전 미국과 영국 선수들이 친선경기를 한데서 유래되었습니다. 1927년 이 대회는 2차 세계대전 때 6년동안 중단된 적이 있을 뿐 2년마다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빠짐없이 열렸고 대회 명칭은 영국인 사업가 새뮤얼 라이더가 순금제 트로피를 기증함으로써 그 이름을 따 붙였습니다.경기는 매치 플레이방식으로 진행되며 3일동안 총 28점까지 얻을수 있습니다.첫째, 둘째날은 두명으로 이루어진 팀이 오전에 두명씩 조를 이루어 공 한개를 가지고 번갈아 샷을 하는 포섬 방식, 오후에는 두 선수가 각각 자기 공을 가지고 경기한 뒤 좋은 성적으로 승패를 가리는 포볼 방식으로 운영됩니다.하루 8번씩 이틀동안 16번의 개별 매치가 벌어지고 마지막 날 두 팀은 각각 12번의 싱글매치를 벌이며 이기면 승점 1점, 비기면 0.5점을 얻게 되며 총점 14.5점 이상을 얻는 팀이 우승합니다.
Q. 고려, 조선시대에도 고아원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생원은 조선 초 서민들의 질병 치료를 위해 만들어진 기관으로 의료, 의약, 향약의 수납, 보급과 의학교육 및 편찬 사업을 맡은 곳입니다.제생원에 대한 기록을 보면 세종실록 1418년 8월 19일 기사에 경성은 인구가 조밀하여 어린아이가 집을 나와 몇 집만 지나쳐도 제집을 찾아가기 어려워 마침내는 집을 잃게 됩니다. 집 잃은 아이를 얻은 사람도 또한 그 아이의 사는 곳을 알지 못하여 찾아주지 못하며 혹 간악한 무리가 몰래 숨겨두고 밥먹여 길러서 노비로 삼는자가 있게 되오니 금후로는 모든 집 잃은 어린아이를 얻은자는 모두 제생원에 보내도록하고 호조에서 양식을 대어 주어서 기르도록하며 어린아이 잃은 부모 또한 제생원에 가서 찾도록 하고, 관에서는 그 부모로부터 저화 30장을 받아들여 어린아이를 얻은 자에게 주도록하고 만일 숨겨두고 고하지 않은 자가 있으면 이내의 관령과 오가를 아울러 논죄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라고 기록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이는 고아원의 역할을 했건 것을 알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