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제주도에서 태어나면 출륙금지를 하였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세기에 이르러 조선 정부의 중앙 집권화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제주에 대한 중앙 정치의 간섭도 강력해졌는데 중앙 정부의 지나친 행정적, 경제적 간섭은 제주도민들을 유민으로 내몰았고 제주 유민들은 전라도, 경상도 해안과 중국의 해랑도 지역까지 떠돌게 됩니다.당시 제주 유민들에게는 특별한 명칭이 따랐는데 한라산의 별칭인 두독야지, 두모악으로 불리기도했고 주로 해산물을 채취해 생활한다하여 포작인 등으로 불렸습니다.제주도민이 제주를 떠나야 했던 원인은 중앙 관리와 지방 토호의 이중 수탈, 왜구의 빈번한 침입, 지나친 진상과 그에 따른 부역의 증대 등이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주 유민의 수가 증가하고 제주 인구는 감소하게됩니다.조선 정부의 입장은 당시 제주는 지정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무시하지 못할 효용 가치가 있었습니다. 지정학적으로 일본과 중국을 잇는 거점 지역으로 방위 전략상 중요하며 경제적으로 명과의 말 무역에 있어 말의 생산지이자 제주 지역 특산물 또한 중요 자원이었습니다.제주도민들이 떠나자 제주 인구가 감소되어 특산물의 진상, 군액의 축소 등이 심각한 과제가 되었으므로 1629년 8월 13일 조선 정부는 제주도민이 육지로 나가는 것을 금하는 정책을 실시하게 됩니다.
Q. 조선시대의 형벌에는 어떤것들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태형, 장형, 도형, 유형, 사형을 구분되었습니다.태형은 아주 약한 경범죄를 저지른 죄인에게 내리는 것으로 회초리로 종아리나 등을 때리는 형벌장형은 태형보다 중한 죄를 저지른 죄인에게 주는 것으로 넓적한 큰 회초리로 엉덩이를 때리는 형벌도형은 노역을 하는 형벌유형은 귀양 , 유배를 말합니다.마지막으로 사형은 교형, 참형, 능지처사가 있었습니다.
Q. 오늘날 사찰음식이 건강식으로 주목받는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대인들의 식습관이 영양과잉, 편식, 단음식 등이 몸에 아주 안좋은 결과가 나타나자 사찰음식에 주목하게 되었고, 사찰음식이 주로 밥, 국, 김치나 나물등이고 가끔 특별한 날 두부나 버섯류를 먹게 되는데 음식이 소화가 잘되고 비만이나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음식이 아닌 비교적 청정무공해의 음식이다보니 현대인들에게 어필되었습니다.또 공공단체나 사찰에서 사찰 음식의 가치와 효능을 인정하게 되며 국민 건강차원에서 장려하는 식단으로 발전키시면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Q. 절에서는 연꽃을 왜 부처님에 비유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꽃이 불교의 사상과 일맥상통하는 의미와 상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연꽃은 진흙속에서 자라면서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여겨지는데, 진흙속에서 깨끗한 꽆이 피는 군자의 꽃이라 불리는 꽃말은 당신은 참 아름답습니다 , 청정, 순결, 신성을 의미합니다.불교는 이러한 꽃이 진리와 불성을 상징하고 있는데 부처님이 연꽃한송이를 들어 가르침을 전한 염화미소처럼 불교는 마음과 마음으로 세월을 이어갔습니다.더러운 곳에 있어도 항상 깨끗한 연꽃은 탐진치 삼독에 물든 중생들이 사바세계에서도 깨달음의 향기를 잃지 않는 연꽃의미는 불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 됩니다.
Q. 차례상에 대추, 밤, 배, 감 등 조율이시를 진설하게 된 특별한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율이시는 대추와 밤 , 배와 감을 말하며 우리나라 제사상에 놓는 기본 과일입니다.대추는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 밤은 한 송이에 3톨이 들어있어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3정승, 배는 씨가 6개 있어 6조 판서인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판서를, 감은 씨가 8개이므로 우리나라 8도를 각각 상징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