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박혁거세가 죽은 뒤 시신이 5부분으로 분리 되었는데 하나로 수습하지 못해 왕릉을 5개를 만들었다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릉은 신라 초대 국왕 혁거세 거서간과 알영부인, 2대 국왕 남해 차차웅, 3대 유리 이사금, 5대 파사 이사금 다섯 명의 능이라 전합니다.삼국유사에 이 다섯 왕릉이 전부 박혁거세의 신체 일부를 따로 묻은 것이라는 설화가 있는데, 이는 설화속에서 시신을 모으기를 방해한 뱀이 어떤 세력을 상징하지 않는가로 해석하기도 합니다.아직까지 실제 발굴조사를 하지 않았으며, 박씨 가문의 성지와 같은 곳으로 여길 발굴조사하기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때문에 시신이 모두 있다는 것은 알수 없습니다.
Q. 우리나라 역사상 토큰과 회수권은 언제 사용을 시작했다 사라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큰은 과거 1970~90년대 사용되었으며,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서울부터 1979년 5월 1일 학생용 토큰이 폐지되며 회수권으로 대체됩니다.그러나 폐지 이후에도 10년정도 유통, 사용되기는 했습니다.버스 회수권은 일제강점기부터 발행, 1928년 10월 16일 경성부영버스에서 처음으로 회수권 발행을 시작했습니다.그러나 일회용이었고, 컬러프린트나 복사기의 등장으로 위조차표에 의한 무임승차가 성행, 회수권이 점차 폐지되며 토큰 사용으로 변경되었다가 교통카드가 생기면서 점차 폐지되는데, 2007년 4월 1일 요금 인상을 하며 폐지되었습니다.
Q.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통된 철도 노선은 어디였으며, 그 후 어떻게 확장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철도는 경인선으로 노량진과 제물포를 잇는 약 33km노선이 개통되었습니다.그러나 주요 간선 노선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열강의 침탈로 1945년까지는 군사적 정치적 목적에 의해 운행되었으며 이후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세운 후 자국적으로 철도를 세울 자금이 없어 미국과 유엔 등 차관을 들여와 일부 간선을 개설하고 철도 차량을 수입했습니다.이때 철도는 대부분 화물 운송을 위한 목적으로 운행되었으며 여행이나 승객을 태우는 것은 드문 일이었으며 1980년대 들어 노후화된 철도와 노후 시설을 대체하게 되었고 화물운송과 본격적으로 승객을 태우는 시대를 맞이했습니다.그후 199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철도 산업이 발전하게 되며 한국철도공사에 의해 국영체제로 운영, 1970년대 서울에 철도를 깔기 시작하며 1980년대 부산, 1990년대 대구와 인천, 2000년대 광주, 대전 등으로 철도가 깔리게 됩니다.
Q. 근대 애국 계몽 운동은 어떤 시기에 일어났으며, 어떤 목표와 원칙을 가지고 전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1904년 한일의정서와 한일협약을 통해 일본의 위협에 더욱 직면,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후 을사늑약으로 국권의 일부를 상실하게 되며 을사늑약은 일본군이 왕궁을 포위한 가운데 고종이 끝내 거부해 정식으로 체결된 적은 없으나 일본의 공작에 의해 통감부설치와 조선의 외교권 박탈이 기정사실화 되었습니다. 이러한 위기에서 1907년 의병이 다시 일어나 무장투쟁의 길로 나서는데 애국계몽운동은 그와 별개로 무장투쟁을 배제하는 지식인 관료 ,개명 유학자 등에 이루어졌습니다.을사늑약을 전후해 학교 설립과 신문, 잡지의 발간, 산업 진흥 등을 통해 경제적, 문화적 실력을 양성함으로 점진적으로 국권을 회복하려는 운동을 전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