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디아스포라가 정확하게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디아스포라는 특정 민족이 자의적이나 타의적으로 기존에 살던 땅을 떠나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집단을 일컫습니다.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 단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립운동가 지청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관 충주 , 호 백산, 본명 대형 , 일명 이청천 입니다.1888년 1월 5일 서울 출생이며 1908년 정부 유학생으로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를 졸업, 191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보병중위로 있다 1919년 만주로 망명합니다.신흥무관학교 교성대장이 되어 독립군 간부 양성에 전력, 1920년 서로군정서가 조직되자 그 간부에 취임합니다.청산리 전투 후 일본군의 대대적인 보복을 피해 신흥무관학교를 폐쇄, 병력을 이끌고 간도 안도현 밀림으로 이동 , 서일과 김좌진 등과 대한독립군단을 조직, 여단장으로 있다가 만주를 벗어나 헤이룽장성 자유시에 집결, 1921년 흑하사변이 발발하자 다시 이르쿠츠크로 이동, 그 곳에서 고려혁명군관학교의 교장직을 맡으며 이듬해 군관학교의 방침과 소련 당국의 규정이 대립되어 체포되었다가 임시정부의 노력으로 석방됩니다.1925년 양기탁, 오동진 등과 정의부를 조직, 군사위원장 겸 사령장이 되고 그해 군민의회가 설치되자 군무위원에 선출,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 군사위원장이 되며 별도로 한국독립군을 만들어 총사령관이 되고 1932년 동아혈성동맹의 간부로서 각지의 항일단체를 규합하는데 힘썼습니다.1933년 치치하얼에 잠입해 할일지하운동을 지휘, 한,중연합군의 총참모장이 되나 중국공산당의 압력을 받아 무장해제당한 후 그 해 재만독립군을 산하이관으로 이동시키고 뤄양군관학교에 한국인특별반을 설치, 그 총책임자가 됩니다.1940년 충칭로 옮긴 임시정부의 광복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항일전을 수행하다 1945년 광복 후 귀국, 대동청년단을 창설, 1948년 제헌국회의원, 정부수립 후 초대 무임소장관을 역임, 제2대 국회의원, 민주국민당 최고위원을 지냈으며 1962년 건국 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나라 후기 원숭환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만력 47년 35세에 과거 합격, 진사에 급제했으며 복건 소무현 지현 재임 시절부터 군사에 대해 토론을 좋아했으며 관직에 오를때부터 군사에 관심이 있었습니다.그가 진사에 급제한 해는 후금의 군대에 맞서 양호가 이끄는 명나라의 군대가 사르후 전투에서 대패한 때이며 이후 명나라의 요동과 요서에서의 영향력은 급격히 약화, 1620년 만력제가 죽고 태창제가 즉위하나 9월 26일 재위 29일만에 태창제는 신하에게 독살당해 천계제가 즉위합니다.천계 2년 소무현지현에서 병무 직방청리사주사로 임명, 이때 위장을 하고 혼자 적의 진영에 가 정보를 수집하며 영원성 개축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하게 느꼈고 귀국 후 여진과 접해있는 요동의 방위를 위해 지원, 산해관의 외곽으로 영원성을 축성했습니다. 이 성은 성벽의 높이는 10.2m, 성벽의 두께는 기저부에 약 9.6m, 상단에 약 7.7m이며 거의 사각형이며 4개의 문을 가지고 있었고 그곳에 군신의 반대를 무릅쓰고 네덜란드에서 수입한 신식대포인 홍이포를 성에 설피해 총병 만계, 참장 조대수의 보좌를 받아 병사를 훈련시켰습니다.천계 6년 1월, 누르하치가 이끄는 후금의 군대에 맞서 싸운 영원성 전투에서 승전, 누르하지를 전사시켰고, 그 공적으로 병부시랑 요동순무 주지관외 군사로 임명, 천계 7년 영원성과 금주성에서 홍타이지를 격퇴했습니다.숭정원년 , 병부상서 겸 우부도어사 독사계료등래천진이 되며 동시에 조선 가도를 거점으로 부정부패를 자행하고 있던 명의 수군 과도독 모문룡을 해적질, 가도 양민 학살, 갖은 행패, 명군 농락의 이유로 참형에 처하나 모문룡의 부하들이 청나라에 투항, 홍타이지는 장성을 우회하여 북경을 공격하기로 방침을 바꾸며 명나라에 간자를 보내 내시를 매수해 원숭환이 모반을 꾀하고있다는 소문을 흘리게 됩니다.시기심이 강한 숭정제는 쉽게 그 소문을 믿었고 당시 엄당의 잔당의 부활을 노리고 동림당 계열을 제거할 음모를 주도한 온체인과 왕영광도 이를 이용, 온체인은 모문룡과 같은 고향인 절강 출신으로 위충현을 찬양하는 송가를 짓는 등 엄당의 앞잡이 노릇을 한 온체인은 모문룡을 살해한 원숭환에 대해 반감이 있었고 이부상서 왕영광 또한 위충현의 잔당으로 동림당에 대한 보복을 늘 생각했습니다.숭정 3년 9월 22일 북경 방위를 위해 급히 달려온 원숭환은 모반 혐의로 능지형에 처해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의열단 김원봉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8년 경남 밀양에서 출생, 호는 약산 입니다.1918년 난징의 진링 대학에 입학, 1919년 12월 의열단을 조직해 국내의 일제 수탈기관 파괴, 요인암살 등 무정부주의적 투쟁을 했으며 1925년 황푸군관학교를 졸럽,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을 지도하며 중국 관내지역 민족해방운동을 주도, 중국국민당의 동의를 얻어 조선의용대라는 군사조직을 편성했습니다.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을 지냈고 8.15 광복 후 귀국합니다.1948년 남북협상 때 월북해 그 해 8월 북한 최고인민위원회의 제 1기 대의원, 9월 국가검열상에 오르며, 1952년 5월 노동상, 1956년 조선인민공화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 1957년 9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 1958년 11월 김일성 비판을 제기한 연안파 제거 작업 때 숙청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나폴레옹의 사과 관련 에피소드는 창작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원복의 만화 사랑의 학교에 등장해 유명해진 내용으로 돈이 없어 학교 앞에서 파는 사과 한조각 사먹기 힘들었는데 사과 파는 아줌마가 오죽 불쌍했으면 나폴레옹이 지나갈때마다 공짜로 사과를 하나씩 주었고, 훗날 나폴레옹이 황제가 됐을 때 조용히 돌아와 아줌마에게 그동안의 감사의 표시로 금화를 가득 전달해주고 사과 파는 아줌마는 금화에 새겨져있는 황제의 얼굴을 보고 깜짝 놀랐다는 이야기이나, 이는 국내에서 만들어진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한신의 일화를 돌려쓴 듯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막장드라마, 또는 인생 막장이라는 표현에서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막장은 갱도의 끝이므로 막다른 곳에 이름을 뜻한다는 해석, 막장에서 채굴 작업을 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고되어 당최 다른 살아갈 방도가 없을 때 어쩔 수 없이 다다르는 막다른 길을 뜻한다는 해석이 있으며, 파장 직전의 시장, 거의 막판에 와서 무질서한 시장을 빗댄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전통회화의 표현 방법중 삼묵법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묵화를 그리는 필묵법의 하나로 물을 많이 섞지 않은 짙은 먹색의 농묵, 중간 먹색의 중묵, 옅은 먹색의 담묵으로 농담 단계를 한 붓에 표현한 기법입니다.삼묵이 된 붓을 측필로 해 그리면 농묵은 중묵과 , 중묵은 담묵과 섞이면서 농담의 조화를 풍부하게 만들어지게 됩니다.작품으로는 박종회 작가의 작품들이 대표적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일 화채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의 음식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채는 우리나라 전통음료에 속합니다.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으로 불교문화의 쇠퇴와 함께 차 문화가 쇠퇴하면서 대세가 된 음료로 계절에 관계없이 화채를 마실수있는 다양한 조리법이 있었고, 얼음이 귀해 자주 먹지는 못했지만 강가에 채소를 담아 시원하게 먹는 방법을 이용, 과일이 나지 않는 겨울에는 말린 오미자를 우려 먹었으며 화채가 처음 기록된 문헌은 진찬의궤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양반들은 한글창제를 반대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실록에서 자문을 받기 위해 신하들을 불렀다가 격렬한 반발을 받고 참다 참다 분노한 세종이 반대한 신하들을 전부 의금부에 가두고 한 명은 파직시켰을 정도로 당시 기득권층의 반발이 매우 심했습니다.1444년 2월 최만리, 신석조, 김문, 하위지, 정창손 등 집현전 내 훈민정음 반포에 반대하는 학자들은 6가지 이유를 들며 반대 상소를 올리기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 시대에는 정말 추노꾼이 존재하였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추노에 대한 기록은 숙종, 경종, 영조실록에 주로 기록되어있으며 나라에 기근이 들었을때마다 금지했지만 관리들이 이를 어기고 도적을 잡는다는 핑계로 사사로이 이들을 붙잡아 사고 파는 행위로 돈을 벌었고, 이 과정에서 관리들끼리 결탁해 노비가 아니라 민가의 백성들을 잡아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5665675685695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