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사공부하다가 궁금한점이있는데 잔다르크는 실존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잔 다르크는 실존인물로, 재판기록에 그녀의 답변과 받은 질문들의 대해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는 것을 보면 실존인물임을 확실하게 알수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사는 새끼때는 독이 약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사는 새끼일 때도 독성이 강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독니에는 관니, 홈니, 뒷니 3가지가 있으며 독사의 독성은 주로 신경에 작용하는 것과 혈액조직을 파괴하는 것으로 , 홈니나 뒷니의 독액은 대체로 신경독, 관리는 주로 출혈독이며 이들 2종류의 독을 함께 가지고 있는 뱀도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모차르트는 왜 일찍 죽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차르트는 병에 걸린지 15일만에 사망하는데 주치의는 모차르트가 죽을 당시의 상태만 가볍게 기록하고 부검은 하지 않아 그의 죽음은 미스테리로 남고 추측만 무성했으나 사인은 열과 발진, 사지통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는 설날에 떡국을 먹는 문화가 있는데 언제부터 어떤의미로 먹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월은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 때로 흰 가래떡을 얇게 썰어 장국에 넣어 끓이는데 병탕이라고도 하는 떡국을 즐겼습니다.새해 아침에 먹는 절식으로 묵은 해가 가고 천지만물이 갱생부활하는 날은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 종교적 의미에서 비롯되며, 떡국을 먹는 풍습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 따르면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은 매우 오래되었으며 상고시대 이래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음식에서 유래된 것이라 전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서 상속은 어떠한 기준으로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전기는 남녀 차별없는 재산 상속 원칙을 고려시대부터 사용했는데, 고려시대에는 출가 여부를 불문하고 아들과 딸이 부모에게 재산을 똑같이 상속받는 남녀균분상속원칙이었습니다.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사회가 혼란해지고 신분제 질서가 흔들리며 조선 후기 17~18세기 무렵 재산 상속제도에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사회변화에 위협을 느낀 양반 사대부들이 성리학 중심의 엄격한 사회 질서를 강조, 남녀 차별 현상이 두드러지며 이후 유교적 이념인 본처가 낳은 맏아들인 적장자를 제사와 상족의 중심으로 삼는 종법제가 보편적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 민족의 노래 아리랑의 어원이나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랑의 어원이나 의미를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가사 구절에서 연관된 의미를 찾자면 아리다 , 쓰리다 와 연관지어 아리다의 원래 어형인 알히다 는 앓다에 -이- 접사가 붙은 형용사형이며 뒤에 붙는 -앙/엉, -랑/렁은 동사 어간뒤에 붙어 의태어를 만드는 접사일 가능성으로, 가슴이 아릿하다를 가슴이 아리랑하다 라고 말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풍림화산은 무슨 뜻인가요? 링위에 그에게는 어떤 틈도 보이지 않았다 마피 풍림화산과도 같은 무도가의 진면목 여기서 풍림화산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람처럼 빠르게, 숲처럼 고요하게, 불길처럼 맹렬하게 , 산처럼 묵직하게 라는 뜻으로 병법에서 상황에 따라 군사를 적절하게 운용해야 승리를 거둘수 있다는 말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태산북두는 무슨 뚯인가요? 그는 한국 언어학계의 태산북두로서 오랫동안 학계의 후배들에게 추앙 받아왔다 여기서 태산북두는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산과 북두칠성이라는 뜻으로 모든 사람들이 존경하는 뛰어난 인물을 비유하는 말이며 말 또는 학문이나 예술 분야의 권위자 , 대가를 비유하는 말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김좌진 장군이 세운 업적이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로군의정서의 독립군을 이끌고 청산리, 갑산 등지에서 5만의 일본군을 3번에 걸쳐 반격해 이겼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반구대 암각화는 어떻게 생긴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당시의 생활상을 지속적으로 새겨진 것으로 추정하며 학계에서는 이 암각화가 문자가 없던 시절인 석기~청동기 시대 포경 교육을 목적으로 그린 것으로 추정합니다.
5665675685695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