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혜경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경 전문가입니다.
최혜경 전문가
라이브정보통신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6월 16일 작성 됨
Q.
조기 교육의 장단점에 대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조기교육의 중요성은 특히 언어교육에 있어서 매우 강조되고 있는데 특히 외국어 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수 개념은 아이가 숫자를 깨우칠 수 있는 시기에 이야기처럼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좋으며 외국어 교육은 아이가 한국어를 익힐 수 있는 나이에 동시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이런 일반론적인 담화는 개개인의 특성마다 다르고 차이가 있으므로 개별론적인 접근과 더불어 고려되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5년 6월 16일 작성 됨
Q.
갑자기 공격적인 말투로 어른에게 명령조로 말하는 7세 여아아이어 행동에는 어떻게 대응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면저 아이의 내면의 불안한 심리의 원인을 잘 발견해서 적절한 치료대책을 세워 교정해주고 아이가 어떤 상황에서 그러한 언행을 보이는지 평소 유심히 관찰해서 체크해둡니다. 그리고 여아이가 그러한 모습을 보일 때는 주위 사람 모두가 갑자기 다른 곳으로 관심을 돌려 무관심해하고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말며 그러한 것이 없었던 듯 싹 무시해버리면 여아이가 이러한 행실은 사회에서 먹히지 않고 인정을 받지 못하는구나 생각하고 차츰 그러한 것을 할 엄두를 내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놀이
2025년 6월 14일 작성 됨
Q.
요즘 아이들은 제기차기같은거 하면서노나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요즘은 아이들이 밖에 나가서 놀지를 않죠. 몇 년 전부터 아이들이 또래와 놀려고 학원에 다닌다고 하잖아요. 최근에는 주로 원격으로 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놀죠. 어른들이 원격으로 고스톱이나 카드놀이를 하듯이 말이에요.
양육·훈육
2025년 6월 13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자녀의 발표력을 길러주기 위한 일상 속 훈련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아이의 발표력을 길러주려면 아이가 책을 소리내서 읽게 하거나 웅변학원이나 스피치 학원을 보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또는 아이에게 평소 매일 매일 일기장을 쓰도록 하여 자신의 감정을 잘 알아차리고 인지하는 것을 연습시켜 그것을 말로 표현해 보도록 지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6월 12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저학년 아이 스마트폰 어떻게 관리해줘야하는지 고민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먼저 아이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집에 돌아오면 무엇을 먼저 한 다음 하루에 얼마동안 언제 어떤 자세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시청콘텐츠는 주로 무엇무엇으로 제한하며 이것을 어길 시는 어떤 벌칙을 받기로 한다는 식으로 정한 후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6월 11일 작성 됨
Q.
육아를 하다가 어른들이 지치게 되면 그런 스트레스나 피로는 어떻게 풀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양육자는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쌓이기 마련인데 그 때는 운동이나 취미생활로 푸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혹은 평소에 자기가 하고 싶었던 일이나 공부 등 무엇이든지 기분이 좋아지고 풀어질만한 일을 찾아 스트레스를 바로바로 푸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 어렸을때 포경수술을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예전에는 아이가 어렸을 때 포경수술을 해줘야 좋다고 해서 일찍 많이들 하였는데 최근에는 아이가 어렸을 때 포경수술을 하면 여러 가지 심리적, 신체적 등으로 오히려 좋지 않다고 하여 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양육·훈육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의 세계에 들어간다는건 어떤 의미일까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아이의 세계에 들어간다는 것은 아이의 마음으로 사회를 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같은 경험이라도 사람이 다르면 지각과 느낌이 다르듯이 아이의 세계에 들어간다는 것은 그 아이만의 시선으로 사회를 보고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육·훈육
2025년 6월 8일 작성 됨
Q.
틀리면 스트레스 받는 아이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는 잘못이나 실수를 하면 자기탓을 하며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는 그건 아이의 잘못이 아니며 기회는 또 온다는 것을 인지시켜 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또 그런 잘못이나 실수를 저질러 자존감이 낮아지거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실패의 원인을 아이와 함께 분석하여 또 그런 일이 발생할 때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올바른 대처방법을 찾아줍니다.
양육·훈육
2025년 6월 7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기질이나 성격은 어떤 계기로 변화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혜경 심리상담사입니다. 아이들의 타고난 기질이나 성격은 변하지 않습니다. 간혹 취향이나 태도는 변할 수 있어도 타고난 기질이나 성격은 변하기 어렵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