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수나라 멸망 이유가 살수대첩이라고 하는데, 정말 전쟁 한번의 패배로 수나라가 망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차례의 고구려원정에서 모두 패배한 수나라는 많은 병력과 물자를 잃었는데 자치통감에는 수나라의 군대가 처음 요하에 이르렀을 때는 30만 5,000의 병력이었으나 요동성으로 돌아온 자는 오직 2,700명이라 하였다. 30만 2,300명이 원정 한 번에 증발한 것이다. 전투병 30만이 증발하는 것은 지금도 뒷감당이 안 되는 손실인데 전근대에 대규모 원정을 갔다가 얻은 것 하나 없이 저런 참패를 당했으니 수나라의 손실과 피해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컸다. 결국 수나라는 민심이 바닥을 쳤고 나중에가면 양제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여 온 나라에서 반란이 일어나기 시작했다.당시 수나라의 민심은 연이은 대규모 원정실패와 그에 따른 인명이나 물자손실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매우 높았다. 심지어 양제가 직접 고구려를 공격하는 도중에 군량보급을 담당하던 예부상서 양현감이 대규모로 반란을 일으켰고, 양제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철군할 수밖에 없었던 적도 있다. 거기에는 훗날 당 태종이 되는 이세민도 끼어 있었다. 수문제가 경제력을 키워놨고 수나라의 인구가 5,000만 명을 웃도는 수준이라 이 정도 선에서 그친 것이지, 수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가 이 정도의 피해를 입었으면 반란 정도가 아니라 나라가 그 즉시 망해버린다.수양제는 강도로 피난을 갔지만 결국 618년, 우문화급의 반란군이 양제를 교살하여 처형했다. 이후 당국공 이연에게 옹립되어 양제의 뒤를 이은 공제가 당고조 이연에게 선양하면서, 남북조를 통일한 첫 왕조로 위세를 떨쳤던 수나라는 건국 이래 고작 40년도 버티지 못하고 허무하게 멸망한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오케스트라 지휘자의 왼손 오른손 의미하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먼저 오른손의 역할은 정확한 박자를 젓는 것입니다. 마치 메트로놈처럼 정확한 박자와 템포를 알려주는 역할을 바로 오른손이 합니다. 거기에 손가락 끝부터 손목, 팔꿈치를 거쳐 어깨까지 있는 관절을 사용하여 셈여림이나 다른 음악적 표현을 더하게 됩니다. 왼손도 가끔은 오른손과 함께 박자젓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오론손과 왼손이 따로 움직이기는 여간 힘든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왼손은 박자를 젓는 것이 아니라 큐(cue)를 주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또한 오른손만으로 부족한 셈여림이나 프레이즈 등 기타 음악적 표현도 왼손으로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커피는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왔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커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우리나라 최초 미국 유생인 유길준이 쓴 ‘서유견문’(1895년)에서 찾을 수 있는데 유길준은 ‘우리가 숭늉을 마시듯 서양 사람들도 커피를 마신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당시 한국인 최초의 커피 애호가였던 고종의 커피 사랑도 유명한 이야기이며 고종에게 자주 커피를 대접했던 독일 여인 손탁이 1902년 손탁호텔 안에 세운 ‘정동구락부’라는 곳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커피를 판매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지역별 특색있는 문화가 잘 발달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북으로 긴 지형적 특징을 가진 일본은 지역마다 기후와 풍토에 큰 차이가 있으며 국토의 약 70%가 산지로 이뤄져 있어 높은 산맥과 거친 강줄기 등으로 다른 지역과 교류가 차단된 곳도 많았기 때문에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지역이 많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지역주민의 가치관과 생활습관, 먹거리 등에 큰 영향을 주었고 자연스레 지역마다 특색있는 문화가 잘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서울 남산타워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N서울타워 즉 남산타워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2가 남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전파 송출 및 관광용 타워이다. 1969년에 착공하여 1975년 7월 30일 완공되었다. 높이는 236.7m, 해발 479.7m이다. 수도권의 지상파 방송사들이 이 타워를 이용하여 전파를 송출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와 조선시대 전쟁 시 진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말부터 병학의 원리에 입각한 체계적인 진법을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그렇게 만들어진 진법이 오위진법이다.오위진법은 대규모 부대와 소규모 부대의 전술을 함께 운용할 수 있는 전술 체계다. 가장 특이할 점은 기병과 보병을 동일한 비중으로 편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각 부에 반드시 기병 2통과 보병 2통을 두도록 하여, 기병을 절반 이상으로 편성하도록 하였다. 이는 보병 못지않게 기병을 중요한 전투력으로 삼아 그 비중이 상당히 높았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준다. 조선초기 야인 정벌에 참여한 조선군은 대다수가 기병으로 편제되어 있었다는 것도 이를 반증한다. 이전보다 기병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진 것에서 이 진법이 기본적으로 북방의 여진 기마병에 대응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또한 오위진법에서는 기병과 보병을 각각 동일하게 편성하되 각 병종의 구성은 상당히 다양하게 편성하였다. 기병의 경우에는 전체 인원의 5분의 3은 사수(射手), 5분의 2는 창수(槍手)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보병의 경우에는 궁수(弓手), 총통수(銃筒手), 창수와 검수(劒手) 그리고 팽배수(彭排手)를 갖추되 총통수와 방패수의 인원수는 반드시 정해진 수를 따르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병은 사수가 중심이며, 보병의 경우에도 궁수, 총통수 등 다양한 병종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북방 기병이 주로 창과 궁시로 무장하고 소규모로 산개하여 공격하는 전법을 구사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기병은 기사(騎射) 무예로서 대응하고 보병의 경우에도 궁수, 총통수와 같은 장병기로 무장한 병종을 중심으로 대응하는 전술을 채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오위진법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대규모 부대의 지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다량의 깃발과 징, 북[形名]을 구비하도록 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대규모 부대 운용으로 인해 일사불란한 지휘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진형은 이전과 같이 방진, 원진, 곡진, 직진, 예진의 다섯 가지가 제시되어 있지만, 부대의 규모에 따라 오위독진(五衛獨陣), 오위연진(五衛連陣), 합진(合陣)의 진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병세의 규모와 지형에 따라 다섯 진형뿐만 아니라 장사진(長蛇陣), 학익진(鶴翼陣), 언월진(偃月陣), 어린진(魚鱗陣), 조운진(鳥雲陣) 등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진형이 활용될 수 있는 것은 당시 기병의 비중이 높아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진형을 변경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불교는 인도에서 시작되어 전세계로 퍼졌다는데 왜 나라마다 불교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승 불교는 북방 경로를 통해서 중앙아시아에 전해졌는데 이는 도시 상인 계급의 불교 선호 및 브라만교,카스트 제도에 대한 유목민들의 반발과 거부감에서 비롯되었다. 상인들의 호응을 받는 종교였던 불교는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동북아시아로 전파되었다. 서역(西域)을 거쳐 중국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여러 인도인, 토하라인, 중국인들의 노력을 통해 불교 경전이 한어로 번역되었다. 이후 중국에서 한국으로, 한국에서 일본으로 전래가 이루어져 세계적 종교로서 자리를 굳혔다. 베트남 역시 한자문화권으로 중국을 통해 대승 불교가 전파되어 주류가 되었다. 이 밖에도 대승 불교는 남방 경로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도 전해져 성행하였다. 스리위자야는 대승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크메르 제국도 대승 불교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베트남을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대승 불교는 이슬람과 상좌부 불교의 팽창으로 소멸하였다. 현재 대승 불교는 한자문화권이나 동북아시아 이주민들이 많은 지역에서만 강세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학교역사에서 교복자율화는 몇년도에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교복자율화(校服自律化)는 1983년 당시 문교부(현 교육부)가 중고등학생들이 교복 대신 자유롭고 간편한 복장을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두발 자율화(1982년)와 함께 시행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소설이라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홍길동전이 최초 한글소설이란 평가는 1948년 출간된 이명선의 ‘조선문학사’에 등장한다. 그것도 ‘광해조에 이르러 허균의 홍길동전이 나와, 이것이 조선말로 된 최초의 소설이라고 한다’는 전언 형식으로 돼 있다. 실제 홍길동전 필사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 1850년대를 넘지 못한다. 그 판본에는 허균이 죽고 난 후 출현한 광대 출신의 도적 장길산이 거명된다. 이 때문에 홍길동전은 허균의 작품이 아니거나, 허균이 지었다 해도 한문으로 쓴 것을 후세 한글로 번역하면서 가감이 이뤄졌을 개연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홍길동전보다 100년가량 앞서 한글로 기록된 소설이 있다. 이복규 교수는 1996년 성주이씨 가문이 소장한 묵재 이문건(1494~1567)의 ‘묵재일기’를 탈초(초서로 쓴 한자를 정자로 바꾸는 작업)하다 제3책(1545~1546년의 일기)의 이면에서 한글로 된 13장 분량의 ‘설공찬전’을 발견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2차 대전 태평양 전쟁에 있었던 가미카제의 원래 정확한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미카제는 신풍(神風, 신푸) 즉 '(일본을 지켜 주는) 신의 바람', '신이 일으킨 바람'이라는 뜻이다. 1274년 쿠빌라이 칸이 주도한 원나라의 일본 원정에서 몽골 제국군과 고려군이 바다를 건너오던 중 두 차례나 태풍을 만나 좌절한 것을 두고 "신령이 일본에 가호를 내려 준 것"이라 생각하여 '신풍'이라 이름 붙인 것에서 유래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