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독도가 우리나라로 인식되기 시작한 때는 언제부터 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도가 간접 언급된 첫 문헌으로 추정되는 것은 한국 측의 삼국사기(1145년)로 지증왕 13년에 있었던 이사부의 우산국(于山國) 정벌을 다룬 내용이 독도가 편입된 첫 시기로 추정된다. 이는 동국문헌비고, 만기요람, 증보문헌비고 등에서 "울릉과 우산은 모두 우산국이다"라는 문구에 기초한 것이다.삼국사기에서 우산국에 관음도, 죽도, 독도 등의 부속섬이 포함되었다는 직접 기록은 찾을 수 없지만, 18세기 편찬된 동국문헌비고에 "여지지에 이르기를 울릉도와 우산도는 우산국의 땅인데 우산도는 왜인들이 말하는 송도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점에 비추어 그 영유 인식이 문헌상 인과적으로 확인된다.
Q.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이라는 작품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피가로의 결혼(이탈리아어: Le nozze di Figaro)》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보마르셰의 희극 《피가로의 결혼(Le mariage de Figaro, 1784년)》에 기초한 로렌초 다 폰테의 대본으로 1786년에 작곡한 오페라 부파(희가극)이다. 보마르셰의 희극은 상류 계층에 대한 조롱 때문에 빈에서 곧바로 금지되었지만, 모차르트의 오페라는 그의 가장 성공적인 작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오늘날 이 작품은 표준적인 오페라 레파토리의 초석으로 인정되고 있다.알마비바 백작은 계획적이고, 괴롭힘을 당하는, 바리톤이다. 피가로에게 하인의 우두머리 자리를 준 그는 이제 피가로의 예비신부이자 백작부인의 하녀인 수잔나에게 초야권을 집요하게 행사하려고 한다. 그는 계속 핑계를 대며 바로 이 날을 위해 마련된 두 하인의 결혼식을 지연시킨다. 피가로, 수잔나, 백작부인은 백작의 음모를 폭로하기 위해 음모를 꾸몄다. 수잔나와 백작부인의 교묘한 속임수로 피가로와 수잔나는 마침내 결혼할 수 있게 된다.
Q. 집에 그림이 있는데, 이게 수체화인지 유화인지 구분을 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화와 수채화는 한 눈으로 보아도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유화의 경우는 화면이 불투명하고 붓 자국이 확연히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수채화의 경우는 그림이 투명하면서 붓 자국이 거의 느껴지지 않습니다. 또한 유화의 경우에는 물감이 마르고 나면 다른 색으로 덧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정이 용이한 반면, 수채화는 덧칠을 하면 할수록 색이 탁해지고 어두워지기 때문에 수정이 거의 불가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Q. 청나라의 철학사상이던 고증학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나라 초의 학자들은 양명학의 폐단과 명나라의 멸망에 자극되어 경세(經世)를 위해서 실사(實事)에 기초해서 옳은 것을 구하는 것, 즉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내용으로 하는 실학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그 학문적 배경이 되는 경학(經學)과 사학(史學)에서 송명이학자들의 연구방법을 배척하고, 한 · 당나라의 훈고학(訓詁學)을 계승하여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이처럼 경학과 사학에서의 실증적인 연구방법이 발전하여 청대의 고증학이 되었다.
Q. 해군/수상전에 능한 장군을 보았을때 이순신 장군이 전 세계적으로도 명장 중에 손꼽힐 정도라고 들었는데 그게 맞는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에는 위대한 장수가 있다. 이 장수의 이름은 도고 하이헤치로이다. 이 장군은 일본에서 '군신'으로 불리우는데 러시아를 상대로 일본을 승리로 이끌었기 때문에 '군신'으로 불리운다. 도고 하이에야츠가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고 나서 한 영국 기자가 인터뷰를 하였는데 영국의 넬슨과 도고 하이에야츠 자신과 비교한다면 어떻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던지자 도고 하이에야츠는 "넬슨은 스페인의 무적함대와 비슷한 수준의 함대를 가지고 싸워서 이겼다.(25 대 30 정도) 그러나 나와 나의 함대는 러시아의 발틱함대의 3분의 1 규모로써 이겼다." 라고 말해 자신이 넬슨보다 우위에 있다는 표현을 하였다. 그러자 기자가 , 그렇다면 조선의 이순신 장군과 비교하면 어떻느냐 하자, "이순신 장군에 비하면 나는 일개 하사관에 불과하다. 만일 이순신 장군이 나의 함대를 가지고 있었다면 세계의 바다를 제패했을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영국학자 발라드라는 사람은 "영국 사람으로서 넬슨과 견줄만한 사람이 있다는걸 인정하긴 항상 어렵다. 그러나 그렇게 인정될만한 인물이 있다면, 그 인물은 바로 단 한번도 패한 적이 없는 위대한 동양의 해군 사령관 이순신 장군 뿐이다." 라는 말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