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산타랠리'와 관련 현상은 주가상승이라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는 해마다 크리스마스를 전후한 연말에 각종 보너스가 집중됩니다. 또 가족이나 친지들에게 선물을 하기 위해 소비가 증가하면서 내수가 늘어나고, 관련 기업의 매출도 증대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업의 발전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그 기업의 주식을 매입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러한 경향은 결국 증시 전체의 강세 현상으로 이어지는데, 이 강세 현상이 바로 산타랠리입다.해마다 일정한 시기(월별)에 따라 증시의 흐름이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현상인 캘린더 효과(calendar effect)의 하나로, 보통 연말장 종료 5일 전부터 이듬해 2일까지를 가리킵니다.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나타나는 까닭에 '산타'란 이름이 붙었습니다.미국에서 생긴 용어이지만, 산타랠리 현상은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그대로 적용됩다. 그러나 국제적인 분쟁이나 유가상승, 장기적인 경기침체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산타랠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타랠리에 이어 이듬해 1월, 새해를 맞아 주식 분석가들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 주가 상승률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주식시장에서는 1월효과(january effect)라고 합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명목GDP가 나타내는 경제지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GDP를 구하는 해의 생산물에 당해연도 가격을 곱하여 구한 GDP로, 생산량 및 가격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물가상승 시 명목GDP는 증가합니다. 경제규모나 산업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더블딥' 현상이 무엇을 의미하고 왜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두번이라는 뜻의 'double'과 급강하하다라는 뜻의 'dip'의 합성어입니다. 불황에 빠져있던 경기가 일시적으로 회복되었다가 다시 침체되는 경제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경제성장률의 진행 모습이 알파벳 W자를 닮았다고 하여 'W자형 경기 침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기침체기 후반에 실업의 누적으로 소득이 감소하면서 소비가 생산을 뒷받침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다시 불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우리말로 「이중 침체」, 「이중 하락」 등으로 번역되는데, 미국 경제가 몇 차례의 더블딥을 겪은 이후,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의 스테판 로치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며 이 표현을 사용하며 다시 주목받았습니다.경기 침체 시 위축된 경기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금리를 낮추는 등 완화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이 경우 유동성 증가로 경기는 활성화되지만 물가는 오르고 거품이 생기는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경기회복의 조짐이 보이면 출구전략으로서 국가의 재정지출을 축소하고 세수를 늘리는 등의 통화긴축정책을 쓰게 되는데 이때 총수요와 소비가 줄면서 다시 침체로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더블딥을 우려하여 긴축정책을 쓰지 않으면 스테그플레이션(경기침체+물가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미국은 몇 차례의 더블딥을 겪었는데, 첫 번째는 대공황 시기를 포함하는 경기 침체로 1929∼41년까지 진행됐으며, 두 번째 경기 침체보다 다소 그 정도가 약해 '레이지(lazy) 더블딥'이라고도 부릅니다. 두 번째 더블딥은 1979∼82년까지 2차 오일쇼크 기간에 나타났으며 대공황 때와 달리 침체 폭과 기간이 크기 때문에 '에너제틱(energetic) 더블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시 2001년과 2002년에 걸쳐 더블딥을 경험하였습니다. 최근에는 2007년 서브프라임모기지론에서 촉발된 금융위기와 그에 이은 경기불황이 2009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자 더블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 역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 시장에서 '선물 거래' 중에서 선물의 의미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선물(futures)거래란 장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할 것을 현재 시점에서 약정하는 거래로, 미래의 가치를 사고 파는 것입니다. 선물의 가치가 현물시장에서 운용되는 기초자산(채권, 외환, 주식 등)의 가격 변동에 의해 파생적으로 결정되는 파생상품(derivatives) 거래의 일종입니다.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를 약속한 것이기 때문에 가격변동 위험의 회피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위험회피를 목적으로 출발하였으나, 고도의 첨단금융기법을 이용, 위험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오히려 고수익 · 고위험 투자상품으로 발전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6년 5월 주가지수 선물시장을 개설한 데 이어 1999년 4월 23일 선물거래소가 부산에서 개장되었습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대표적인 역진세에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소득의 액수가 커지면 더 높은 세율을 적용받는 누진세와 반대 개념입니다. 사실상 한국의 조세제도에서는 거의 실효성이 없지만,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큰 비례세의 경우에는 역진세의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정액세나 생활필수품에 대한 간접세는 소득이 높거나 낮거나 똑같은 세액을 부담하므로, 소득액이 높아질수록 과세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역진적 성격을 가집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