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늘뉴스보니 그린암모니아 연간100톤 생산한다던데 그린암모니아가 뭔지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 태양 등 재생에너지원과 수전해를 통해 얻은 ‘그린 수소’를 질소와 합성하여 생산한 암모니아를 말한다. 기존 암모니아의 생산 공정인 하버-보슈법(Haber-bosch process)과 비교해 낮은 에너지로 생산이 가능하며,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하버-보슈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온고압 조건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출처:두산백과
Q. 과학잡지보니 과학연구에서 공정성과 윤리가중요하다던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연구 윤리에서는 인간과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의 설계와 이행, 연구 부정행위(위조, 자료의 날조, 복제), 내부고발, 그리고 연구 규제 등을 다룹니다. 과학연구 윤리는 의학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이 발달되어 있고, 한편 사회 과학 분야의 연구는 의학 연구 분야와는 다른 종류의 윤리적 쟁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과학적 연구에는 윤리적으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많은 쟁점들이 있다. 사회(과)학자들은 피실험자들의 자발적인 허락을 받아야 하며 그들의 이익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사회학자들은 연구를 통해 발견된 정보를 오용해서는 안 되고, 참여자들에 대한 일정한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한다. 그들에게는 연구에 참여하는 사람들 개인의 사생활이나 민감한 부분들 뿐 아니라 그들의 권리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관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비밀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그들의 익명성과 사생활 역시 보장되어야 한다.이 모든 윤리 조항들은 불법행위나 테러행위 등 밝혀야 할 더 중요한 이유가 없다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