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도서관에서 만화책만 빌려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리 아이는 집중력과 관찰력, 사고력, 심미력 등이많이 확장된 아이같습니다.만화를 통해서 배우는 것들이 상당히 많은 것 아시죠?오히려 이 기회를 통해 학습과 연계된 만화책을 구하러아이의 손을 잡고 서점 나들이를 가보시면 어떨까요?충분히 돌아 보고, 찾아 보고, 스스로 선택해서 구매한 책은 더욱 애착력을 가지고 잘 보게됩니다.독서량이 확장될 것입니다.미리 걱정하지 마시기바랍니다.
Q. 자존감,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좋아하는 것 또는 잘 하는 것을 막연하게 잘한다고 말하기 보다는구체적으로 칭찬을 해 주시면 좋습니다.부모님과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해 우리 아이에게는 직접적이고도 강력한모델링이 되기도 합니다. 축구, 베드민턴 등 활동적인 것이나종이접기, 책읽기 등 정적인 놀이를 통해서 작은 변화가 있을 때마다 어떤 것이든 즉시 칭찬해 주세요.혹시 실수를 하거나 잘 하지 못했을 경우에도그 부분을 지적하기 보다는 잘 한 쪽을 강조해 주세요.이렇게 매일 칭찬을 먹고 자란 우리 아이는어느 순간 자신감은 물론 자존감까지단단해 지는 것을 느끼고 보실 수 있을것입니다.
Q. 공부에 취미가없는지 않합니다 어떻게 해야 공부하는 재미를 느끼게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른 아이 할것 없이 공부라는 단어가 들어가면왠지 거부감 먼저 느끼게 되죠.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지만 일반적인 공부에 대한 반응을 말하는 겁니다.공부는 꼭 해야만 하는 것이지만 어감상 공부라는 단어가 학습자에게 덜 효과적이고 때로는 부정적 반응으로 드러내기도합니다.그래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라는 개념이 생겼습니다.학습에는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것은 없습니다.우리 아이의 성향에 따라 적절한 안내만 해 주면우리 아이는 스스로 터득해 갈 것입니다.가령 우리 아이가 듣기를 좋아한다면다양한 흥미로운 책을 선택하셔서 읽어 주시거나말하기를 좋아한다면 혹시 글을 읽을 줄 모른다면 그림이나 상황을 통해 이야기를 끌어내도록 합니다.읽기나 쓰기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흥미를 이끌어 내는 것이 우선입니다.어떤 고정관념과 순서를 맞추기보다는우리 아이가 더 좋아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시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