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최고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아동전문가 황정애입니다.
최고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아동전문가 황정애입니다.
황정애 전문가
책 읽어주는 문화봉사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조심성이 많은 아이는 어떻게 키우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우리 아이의 조심성이 성품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생활 속에서 어떤 트라우마로 인한 것인지그 성향이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 알면 접근 하기가 좀더 나을 것 같습니다. 우선 신뢰감을 형성하고 점진적 접근법을 통해 자신감을 키워 주는 것이 좋습니다.첫째 작은 성과 내지는 선한 일에도 칭찬을 아끼지 마세요둘째 작은 일이라도 목표를 달성하거나 착한 일을 했을 때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세요세째 대화자( 부모, 선생님) 와 신뢰감을 돈독히 하세요 어떤 상황에도 주저 없이 이야기하고 혹시 실수를 해도 그 실수를 통해서 더 잘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독려 하세요네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서두르지 마시고 천천히 스스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자율성을 독려하고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다섯째 자신감에 관한 책을 찾아 읽히시면 도움이 됩니다책 "안녕, 나야 " " 난 괜찮아" " 잘 하고 있어" 등등 을 권합니다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애기용품들은 물려써도 상관없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아기 용품들의 가격이 만만치 않죠?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면 물려 받거나 대여를 해서 사용해도 괜찮다고 봅니다.지역 육아지원센터에서 온갖 장난감이나 모빌, 카시트까지도 대여해서 사용하는 가정들이 많습니다.육아지원센터에서나 또는 대여점에서는 손세척과 빛을 이용한 세척을 2중 3중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봅니다.그럼에도 안전성에 대해 불안하시면 가정에서 한번 더 사용 용품의 사용법에 주의해서 다시 한 번 더 세척해서 사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사시는 지역의 육아지원센터를 적극 활용하시면다양하면서도 경제적 부담 없이 충분히 놀이체험이 가능합니다.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정말 잘못했을떄 어떻게 혼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때리는 행동은 일종의 폭력적 행동으로 즉각적 또는 단호하게 멈추도록 해야합니다.동시에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화가 많이 났겠구나 '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줘 주고 "그래도 폭력은 절대 안된다" 는 일관성을 가지고 지도하셔야 합니다.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잘못에 대해 야단을 맞을까봐 혹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가지려고 또는 상상력과 현실과의 구분성이 아직 잘 발달하지 못해서라고 봅니다.이러한 일련의 행동은 무엇보다 먼저왜? 무엇 때문에 발생했는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비난이나 책망보다는 대화로서 이야기를 끌어 내야합니다. 우리 아이의 고백에 절대 안정적으로 답을 주셔야합니다." 네가 그렇게 밀해줘서 고맙다." 로 시작해서 상황에 맞는 해결책을 함께 풀어가시면 좋습니다.해결을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늑대와 소년, 피노키오" 등 우리 아이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서 자주 읽혀 주는 것을 권합니다.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문장으로말하는개월수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언어발달은유아의 갠의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를 수가 있습니다.1~2세의 유아는12~18개월정도가 되면 10~50단어정도 사용 가능하고 18~24개월 정도가 되면 두 단어 문장 조합이 가능합니다2~3세의 유아는단어는 약 9백에서 1천 단어를 사용하고3~4단어 조합 문장이 가능합니다.3~4세의 유아는단어는 약 1500개 이상 사용 가능합니다이 때쯤이면 우리 아이는 문장을 사용하여 언어구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물론 개개인의 발달 단계에 따라 언어 발달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촘스키나 스키너 같은 학자들의 이론에서도 설파하고 있읍니다.일반적으로 30개월 이후면 충분히 문장언어가 가능합니다.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28개월 아기 말하기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그러한 질문들은 그냥 가벼운 인사치레일 수도 있고 우리 아이에 대한 진심어린 관심일 수도 있다고 봅니다.일련의 질문이 어떠한 상황이든 부모의 확신과 의지로 이야기를 전개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아이들의 발달과정이 똑같지 않기 때문에보편적으로 30개월 전후면 일상 언어가 소통 가능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일찍 말이 트여도 산발적 언어유희를 발화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조금 늦어도 더 유창하고 조리있게 언어를 습득하는 아이도 있습니다.한가지 우리 아이와 소통은 적극적이면서반복적으로 주고 받는 연습이 필요합니다.예를 들면,"이거 색연필이야.이거 뭐라고 했지?' 색연필 '엄마가 색연필이라고 말했구나참 잘했어요 색연필 맞아요"이와같이 한 단어가 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여러 번 발화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이끌어 가면 좀더 빠른 언어습득이 가능할 것입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