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는게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느정도 놀이 시간이 필요한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일반적으로 학교에 가면 많이 놀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학교 생활에도 규칙이 있기에 마음껏 놀 수는 없다고 봅니다.40분 수업에 10분 정도 쉬는 시간은 놀이 시간보다는 화장실 가기, 물 마시기, 다음시간을 위한 준비물 챙기기 같은 잠깐 동안의 시간 활용시간입니다. 그나마 놀이 시간이 있다면 점심 식사 후 20~30분 정도인데 우리 아이가 음식을 먹는 속도에 따라 그 시간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귀가 후에도 아이들이 수행해야 할 과제가 많을거라고 봅니다. 지금의 우리 아이들은 과거의 아이들처럼 부모님이 부를 때까지 맘껏 놀수 있는 시간이 없다고 봅니다.제가 권하고 싶은 것은 과제 수행 이외의 시간은 마음껏 놀이를 하고 진짜 즐기는 시간을 갖도록 배려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놀이는 그냥 노는 것이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한 놀이을 통해1. 협동심을 배우고체력증진을 할 수 있고두뇌의 회전 능력도 빨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잘 놀 줄 아이가 무엇이든 적극적이며 긍정적이라는 것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Q. 만3세살 정도 되면 어느정도수준의 대화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단순한 대화나 의사소통정도 가능한가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요즘 우리 아이들의 언어 수준은 일반적으로 학자들이 말한 언어 수준을 이미 뛰어 넘은 것 같습니다. 만 2세가 지나면 어른들이 하는 모든 단어를 따라하게 되고 만 3세가 되면 문장과 문장 연결 뿐 아니라쉬운 문법의 사용 능력까지 가능합니다.물론 언어는 두뇌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태교부터 출산 후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성장하면서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 책과 문화, 놀이 컨텐츠 등을 통해 사회성을 확대하는 언어능력이 길러지게 됩니다. 우리의 생각 보다 더 빠른 습득을 하기도 합니다.우리 아이의 언어 수준을 눈높이 대화를 통해서재미 있고 즐거운 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많이 질문하고 많이 놀아 주고 많은 책을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한 가지 책을 5~6번 읽어 달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미루지 마시고 인내를 가지고 읽어 주면서책 속의 이야기도 끌어내시면 아주 즐거운 대화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