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기억력이 짧은 사람들에게 금붕어냐고 그러는데 실제로 금붕어가 기억력이 짧은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금붕어는 같은 자리에서 빙빙 도는 행동에 의해 기억력이 3초다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기억력이 꽤 오래 지속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밝혀졌습니다.레버를 밀면 먹이가 나오는 시스템으로 관찰, 종을 치고 먹이를 주는 등의 실험 결과 금붕어는 레버를 밀어서 먹이를 얻거나, 종을치면 몰려드는 점 등의 행동이 관찰되었고이로인해 생각보다 지능이 높고 기억력은 3개월~6개월 지속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Q.  화장실에서 발견한 벌레 무슨벌레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이 흐려서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화장실에서 발견된 점과 여러개의 마디, 꼬리끝의 뾰족한 돌기로 보아서 쥐며느리로 추측됩니다. 낙엽아래, 화단, 배수로, 쓰레기더미 등의 습한 곳에 무리지어 살고 죽은 식물과 낙엽 등을 먹고 삽니다.사람에게 특별히 해를 가하지는 않지만 서식처 특성상 청결하다고 볼 수는 없기에 집에서 발견된다면 방역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이거 무슨 벌인가요 ??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형태와 무늬를 보아 말벌로 추측됩니다.보통 군집은 여왕벌, 일벌, 숫벌로 구성되고 여왕벌과 숫벌이 일벌보다 크기가 큽니다. 장수말벌은 땅에 집을 지으므로, 지붕안에 집을 지었다면 좀말벌이나 털보말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이 벌들은 장수말벌보다는 독이 약한 편입니다.쏘이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고,지붕 안쪽에 집을 지었다면 전문가를 통해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식물의 체관은 영양분을 이동시킨다고 하는데요. 이 때 영양분은 어디서 생긴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체관을 통해 이동하는 영양분은 광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산물입니다.대부분의 식물이 광합성으로 합성한 당을 설탕형태로 체관을 통해 이동시킵니다.물 속에서 사는 식물도 관다발식물에 속하는 종들은 모두 체관부를 가집니다.관다발 식물은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처럼 우리가 주변에서 보는 많은 식물들이 포함됩니다.관다발이 없는 식물에 선태식물이 속합니다.우리가 흔히 이끼라고 부르는 식물들입니다. 여기에 속하는 식물들은 관다발이 없어 체관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프로탁 기술과 표적단백질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표적단백질은 말씀하신대로 제거하고자 하는 특정 단백질을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으로 단백질을 분해하기 위해서 표적 단백질의 유비퀴틴화가 필요합니다.표적단백질에 유비퀴틴이 여러개 이어붙는 유비퀴틴화가 일어나면 프로테아좀이 유비퀴틴화된 표적단백질을 분해합니다.유비퀴틴화에는 E1 E2 E3 단백질이 차례대로 필요합니다.E1 단백질은 ATP를 사용하여 유비퀴틴을 활성화하는 효소이고,활성화된 유비퀴틴은 E2 효소에 붙게됩니다.활성화된 유비퀴틴이 붙은 E2 단백질은 E3 Ligase와 결합합니다.E2는 E3에 결합한 후 E3에 붙은 표적단백질에 E2에 붙어있던 활성화된 유비퀴틴이 옮겨저 붙게됩니다.위 과정이 반복되면서 표적단백질에 여려개의 유비퀴틴이 사슬모양으로 부착됩니다.프로팍은 E3효소가 원래 결합하는 단백질 부위와, 표적단백질과 결합하는 단백질 부위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E3 효소와 표적단백질이 서로 가까이 연결되고 표적단백질에 유비퀴틴화가 일어납니다. 적절한 수의 유비퀴틴이 붙으면 표적단백질은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됩니다.
1311321331341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