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앞다리가 나온 올챙이는 어디에 방생 해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개구리는 습윤한 환경에서 잘 서식하기 때문에 근처 산의 습지나, 계곡 혹은 하천주변의 풀이 많은 곳 혹은 논 등에 방생하면 됩니다.물 밖으로 나오고 싶을 때 스스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변에 풀이 많은 물에 방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 중에 노린재도 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노린재는 수액이나 동물의 체액을 빨아먹으며, 침같이 뾰족한 입을 가집니다.노린재는 이런 침같은 주둥이로 사람을 찌르기도 합니다.침에 쏘이면 노린재의 소화액이 들어와서 굉장히 아플수 있습니다.(특히 물에사는 노린재목의 곤충 중 하나인 장구애비에게 물리면 정말로 코통스럽다고 합니다.)다행히 독은 아니기 때문에 치명적인 경우는 적으며붓기가 심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이 온다면 병원에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미생물 배지에 항생제를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미생물배지에 항생제를 넣는 이유는,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만 특정하여 배양하기 위해서입니다.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이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다면 항생제를 처리해도 죽지 않고, 항생제 내성이 없는 다른 미생물들은 죽기 때문에,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만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몸속 피가 흐르는 동맥과 정맥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우리 몸의 혈관은 심장을 기준으로 순환하고 있습니다.동맥은 심장에서 피가 밖으로 나가는 혈관이며 정맥은 심장으로 피가 들어가는 혈관입니다.혈관계는 심장-동맥-모세혈관-정맥-심장 으로 순환하고 있습니다. 동맥의 경우 심장의 숙축에 따라 내뿜어지는 혈액이 들어오기 때문에 혈압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이런 강한 압력을 버티도록 혈관이 유연하고 두꺼우며 탄력이 있습니다. 또한 손상되면 위험하기 때문에 주로 몸의 내부에 위치합니다.정맥의 경우 순환 구조상 심장이 혈액을 뿜는 곳과 멀어 압력이 낮기 때문에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판막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맥보다는 혈관이 얇은편입니다. 압력이 낮아 손상되어도 동맥보다는 덜 위험하여 바깥쪽으로 위치하는 편이고 피부 아래로 보이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바나기후의 건기와 우기에 강수량차이는 왜 나타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사바나는 열대 기후의 한 종류로.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것이 특징입니다.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나뉘는 이유는비가 많이 오는 적도의 저기압 지대(열대수렴대)와 비가 적게 내리는 아열대의 고기압지대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쉽게 사바나는 열대우림과 사막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열대우림의 기후가 사바나에 작용하면 많은 비가, 사막기후가 사바나에 작용하면 건기가 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열대 수렴대는 적도부근에 위치하고 기압에따라 위치가 변합니다.열대 수렴대가 남쪽으로 이동하여 사바나에 영향을 미치면 사바나에는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가 시작되고,반대로 북쪽으로 이동하면 사바나에 건기가 찾아옵니다.사바나 기후는 건기에는 보통 강수량이 한달동안 60mm 이하이고,우기에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한달 동안 적은곳은 100이상 많은 곳은200~400mm 정도의 비가 내립니다.비가 많이 오는 우기를 가지지만 열대 우림 기후나 열대 몬순 기후보다는 강수량이 적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의 두 눈이 한쪽으로만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눈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카멜레온은 굉장히 특별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동물이 양 눈으로 한 곳을 보는 이유는 양쪽눈의 시야가 겹치는 부분에서 대상과의 거리감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카멜레온도 사냥을 할 때는 거리를 재기위해 양쪽 눈으로 같은 곳을 응시하는데요.안구가 돌출된 카멜레온과 달리 대다수의 동물은 안구가 두개골 안쪽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눈을 굴리더라도 뒤를 볼 수는 없습니다.카멜레온은 안구가 다른 동물에 비해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뒤쪽으로 안구를 돌릴 수 있어 사실상 눈을 굴려 360의 범위를 볼 수 있습니다. 많은 동물들은 눈의 가동범위가 한정되어 있습니다.초식동물의 경우 초점으로 거리를 재는 것 보다 넓은 시야를 보는 것이 중요한데, 그래서 눈이 보통 얼굴의 양 옆에 가깝게 위치합니다. 이러면 겹치는 시야각은 줄어서 거리감을 알 수 있는 시야가 좁아지지만 넓은 범위를 보고 포식동물의 접근 감지하기 쉽습니다.육식동물은 눈이 얼굴 앞쪽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사냥감과의 거리를 재고 사냥감에 포커스를 맞춰 집중하기 위해서 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는 몇도의 온도까지 살수 있나요??
안녕하세요.모기는 보통 영상 15도~35도 사이에서 생존할 수 있고, 종에따라 최적온도가 조금씩 다릅니다. 보통 24~27도일 때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오히려 32도 이상 높아지면 활동을 줄인다고 하네요.옛날에는 겨울에 영상 15도 이상을 유지하는 공간이 많지 않았지만요즘은 아파트의 정화조나 지하실 등이 있어 무사히 월동하고 다음해에 활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기온이 체온보다 낮음에도 덥다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사람의 세포에서 흡수한 영양분으로 에너지를 만들 때 열이 발생합니다.발생하는 열을 확산과 땀의 증발을 이용해 방출하며 체온이 평균 36.5도가 유지되도록 합니다.주변 온도가 높아지면, (온도가 36.5도보다 낮더라도) 체내에서 생성된 열의 방출 속도가 느려집니다. 그래서 땀을 더 흘리고 피부의 혈관을 확장시켜 열의 방출이 더 빠르게 합니다.만약 습도가 높은 날씨라면 땀의 증발이 잘 되지않고 더 덥게 느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이 걸을 때 손을 앞뒤로 흔드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사람은 양팔을 흔들지 않아도 걸을 수 있지만, 걸을 때 양팔을 흔드는 것은 몸의 균형에 안정성을 줍니다.앞으로 내딛는 반대편 팔이 앞으로 나가면서 무게중심이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합니다.그래서 걷는 효율을 높히고 넘어질 가능성을 줄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렁이는 알을 낳나요? 새끼를 낳나요?
안녕하세요.지렁이가 빛을 싫어하여 알을 낳는 장면은 우리가 흔히 볼 수는 없지만 지렁이는 알을 낳습니다.지렁이는 자웅동체생물이지만 두 개체가 만나 짝짓기를 하는데요.짝짓기 이후 약 일주일이 지나면 알을 산란하게됩니다.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