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7월 1일 작성 됨
Q.
러브버그때문에 난리인데요. 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러브버그는 붉은등우단털파리라는 종의 곤충으로 2018년에 발견되고 2022년 부터 대발생이 해마다 관찰되었습니다.항구를 통해 해외에서 유입되었을 거라는 예상도 있지만 어디에서 왔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러브버그는 동남아와 중국 일본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자주 발견되는 종이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러브버그의 대발생 원인은 여러가지가 꼽히는데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가 원인이라는 의견이 가장 우세합니다.러브버그는 주로 남쪽의 더운지방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온난화로 인해 국내의 여름 기온도 상승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러브버그가 대발생을 시작하고 2주정도 현상이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러브버그 성체의 수명이 일주일 정도이기 때문에 집단으로 대발생하고 짝짓기를 끝낸 후 모두 죽게됩니다.올해의 대발생도 비슷한 기간동안 지속되다 끝날 것으로 예상합니다.대발생하기 때문에 징그럽고 여러 불편함을 주지만, 러브버그 유충은 썩은 나뭇잎과 곰팡이 등을 먹고 살기 때문에 익충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2024년 7월 1일 작성 됨
Q.
생명과학 항상성 혈당량 조절 인슐린? 글루카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인슐린은 혈당이 높을 때 혈당을 정상 범위로 줄이기 위해서 분비되어 혈당을 체내 세포로 들어가게 하고 세포가 당을 많이 사용하게 합니다. 글루카곤은 반대로 혈당이 낮을 때 분비되어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도록 하여 혈당을 증가시킵니다.그래서 혈당이 80mg/mL 로 낮을 때 많이 분비되는 A가 글루카곤혈당이 높을 때 많이 분비되는 B가 인슐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7월 1일 작성 됨
Q.
베란다에 벌레가 나왔는데 개미보다 작은데 뭘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1mm 이하의 작은 크기라면 먼지다듬이로 추정됩니다.집에서 발견될 수 있는 해충이고 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집을 지을 때 사용한 공사자제에 붙은 알에서 태어날 수도 있고오래된 책이나 종이상자 등에 붙어서 유입될 수 있습니다.방치하면 탈피껍질과 사체가 쌓여서 알레르기 혹은 천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집에 있는 오래된 종이상자나 오래된 책 같은 먼지다듬이가 서식하기 쉬운 물건들은 버리는 것이 좋고곰팡이가 생기는 곳에도 많이 모이기 때문에 곰팡이가 있다면 제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집에 화분이 있다면 화분에도 먼지다듬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파리나 모기잡는 살충제를 사용해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환기가 잘 되는 환경을 만든 후 많이 보이는 곳에 살충제를 사용해줍니다.보일 때 마다 꾸준히 살충하면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다 사라질 것입니다.퇴치후에는 계피나 피톤치드를 사용하여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생명체에게 물은 없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물을 먹지 않고 사는 동물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세포내에서 생명활동이 일어나기 위해서(여러 단백질이 이동하고 기능하기 위해서)는 세포질에 물이 차있어야 하기 때문에 물이 없으면 생명활동도 정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물 자체가 몸에 없는 생물은 없을것이며, 건조된 경우 잠시 생명활동을 정지하고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 다시 생명활동을 시작하는 미생물도 있습니다.물을 마시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동물들도 식물이나 수분함량이 높은 먹이를 먹으면서 수분을 획득합니다. 주로 건조한 기후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체내 수분의 유실을 막는 기작들이 발달하여 이런 방식으로 생존할 수 있습니다.캥거루 쥐의 경우 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나무뿌리같은 먹이를 먹어 수분을 보충합니다.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문신이 몸에 새겨지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문신은 바늘을 이용해 진피에 잉크를 넣어 새기개 됩니다.이 때 대식세포가 잉크를 외부 물질로 판단하여 잉크를 식세포작용으로 잡아먹습니다.하지만 대식세포가 잉크를 먹어도 대식세포에게는 잉크를 분해할 효소나 물질이 없습니다.그래서 잉크를 머금고만 있게됩니다. 오히려 잉크가 다른 곳으로 배출되지 않는 상황이 됩니다.이런 대식세포는 자신이 있던 진피 구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좁은 범위에서만 활동합니다.그래서 문신의 모양이 유지됩니다.대식세포가 죽으면 바로 다른 대식세포가 다가와 잉크를 먹습니다.그리고 같은 상황이 반복됩니다.그렇기 때문에 문신은 새긴 후에 지우는 것이 힘듭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