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CT 로 못찾는 병을 MRI 로 찾을수있게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CT는 횡단면만 찍을 수 있으며, MRI는 가로 세로 정면의 단면을 찍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영상을 정밀한 3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각 기기는 장단점이 있는데, CT는 검사시간이 빠르며, MRI보다 골절같은 뼈관련 질환은 MRI 보다 잘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응급환자나, 뼈 관련 질환은 주로 CT촬영은 먼저합니다.MRI는 CT검사시 발견하지 못한 병변을 정밀하게 검사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CT검사는 X선을 사용하므로 임산부와 같은 환자에게 잘 사용하지 않으며 MRI는 자기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지만 자석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심장박동기나 체내 금속 삽입물이 있을 경우 사용이 제한됩니다.
Q. 지구상 산소포화도가 가장 높을때에 생물의 크기가 가장컸다고 하던데 그이유는?
세포가 생존하고 분열하기 위해 에너지를 생성하려면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는 몸 구석구석의 세포들에게도 마찬가지이며, 몸의 부피가 크면 모든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물론 산소가 모든 생물의 크기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폐와 심장의 성능에 따라 체내 산소 공급에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습니다.산소농도에 따른 크기변화는 곤충에서 굉장히 잘 관찰되는데, 곤충의 순환계는 척추동물의 순환계에 비해 산소를 잘 전달 할 수 없어 주변 산소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됩니다.다만 산소 농도가 크기를 결정짓는 단 하나의 원인은 아닙니다. 중력의 영향으로 일정이상 크기의 생물은 생존할 수 없으며, 온도에 따른 크기변화가 주요하게 작용하는 종도 있습니다.
Q. 사람이 눈을 뜨고 잠을 잘 수 있는게 과학적으로 가능한 것인가요?
안구가 다른사람들 보다 좀 더 돌출된 형태의 얼굴이나, 혹은 눈 크기가 큰 경우 눈꺼풀이 눈 전체를 덮지 못해 눈을 뜨고 자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과도한 피로도 눈끄도 자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노화로인해 눈주변 근육이 약해지면 눈을 뜨고 잘 수도 있습니다. 쌍꺼풀 수술의 부작용으로도 눈뜨고 자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는 보통 눈이 살짝 떠져있는 경우가 많고, 눈을 심하게 뜨고 잔다면 안면마비나, 종양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의도적으로 눈을 뜨고 자는 경우는 잘 없으며, 눈을 뜨고자면 안구가 건조해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Q. 호랑나비 애벌레가 먹는 나무는 무엇인가요?
호랑나비 애벌래도 호랑나비 종류나 사는 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운향과 식물인 황벽나무, 산초나무, 귤나무, 유자나무, 탱자나무 등에 산란하여 그 잎을 먹는다고 합니다. 같은 속에 속하는 산호랑나비는 이와 다르게 애벌레가 당근,미나리, 파슬리 같은 것을 주식으로 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