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숭이 두창은 정확히 어떤 질병과 유사하며 어떤 특징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원숭이 두창(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주로 설치류(쥐, 다람쥐 등), 영장류를 포함한 야생동물에게서 감염될 수 있음원숭이 두창이라는 이름 때문에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도 걸리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단지 엠폭스가 1958년에 연구실 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사람에게 감염된 첫 사례는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최근에 확산세를 보여서 많이 알려지기는 했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중앙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의 농촌 열대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풍토병으로 존재해왔습니다.사람의 경우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물리거나, 긁히거나, 밀접한 피부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고,피부 병변, 분비물, 해당 병변으로 오염된 침구, 수건 등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밀접 접촉(주로 피부를 통한)으로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주의를 요하는데,꼭 성접촉만을 통해 전염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엠폭스 바이러스도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종류에 따라 주된 감염경로는 차이가 있음)가장 비슷한 질병은 천연두(스몰폭스)가 있습니다. 천연두와 유사한 증상이 일어납니다.엠폭스는 초기에 급성 발열, 오한, 두통, 호흡기 증상 등이 일어나고 1~3일 후 발진 등의 증상이 일어납니다.천연두 백신으로 어느정도 예방효과가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3세대 두창백신으로 고위험군에게 예방접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위험 국가 체류자, 의료진 등, 혹은 역학조사 결과 엠폭스 바이러스 노출 후 14일 이내인 접촉자 )항바이러스제 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Q. 헤어리베치 레그 헤모글로빈 보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뿌리혹에 들어있는 레그헤모글로빈을 관찰하려 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레그헤모글로빈은 단백질이라 크기가 너무 작아서, 일반적인 광학현미경으로 레그헤모글로빈 자체를 볼 수는 없습니다. 레그헤모글로빈이 들어있는 뿌리혹의 구조는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이 때 시료를 최대한 얇게 잘라야하고, 구조 관찰을 위해 적절한 염색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미경 접안렌즈에 휴대폰을 대고 찍고계시다면,핸드폰과 접안렌즈 사이로 주변의 빛이 최대한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Q. 괴혈병은 어떤 병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괴혈병은 비타민C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입니다.비타민C는 사람의 몸에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비타민C가 들어있는 식품을 섭취하여 보충해야 합니다. 그래서 과일이나 채소 등의 섭취가 부족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비타민 C는 여러가지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데, 결핍될 경우 콜라겐과 같은 구조 단백질 합성에도 문제가 생깁니다.초기에는 피로한 느낌으로 시작하는데, 결핍이 지속될 경우 피부건조, 면역력 감소, 잇몸 등의 출혈, 내출혈 등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