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명 문제 풀때 개체 구분하는 방법을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각 그림에서 X염색체만을 제외한 모든 염색체를 표기하였으며문제에서 제시하여 (가)의 경우 A이며 그림에서 작고 검정색으로 존재하는 염색체가 Y염색체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나)는 세포분열을 하기위해 유전자 양이 두배로 복제된 상태입니다.(나)에서 Y염색체가 관촬되지 않으므로 (나)는 암컷 개체로 판단됩니다. (나)가 분열 전의 세포이므로 수컷이려면 Y염색체도 존재해야합니다.(가),(다),(라)의 경우 핵형이 n으로 감수분열 중 나타나는 세포들로 보입니다. (나),(다),(라) 중 두개가 B의 세포라고 했으므로, 우선 (나)의 경우 Y염색체가 없으므로 B라고 유추가 되며, (다),(라) 는 Y염색체의 유무 만으로는 유추할 수 없고(A와 B에서 감수분열 중 모두 나타날 수 있는 형태) 대립유전자를 보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유전자 ㄱ 은 (나)에서 동일한 대립유전자를 가지므로 (나)는 FF혹은 ff입니다. ㄴ과 ㄷ은 각각 G혹은 g 입니다. ㄱ이 F라면 > B는 FF의 대립 유전자를 가지며 (라)가 B일 수 없습니다. >B의 세포는 (나),(다)ㄱ이 f라면 > B는 ff의 대립 유전자를 가지며 (다)가 B일 수 없습니다. > B의 세포는 (나),(라)ㄴ이 G라면 B는 E와 G가 연관되어 있고 EeGg의 유전자를 가집니다. 이 경우 ㄷ이 g이며 (라)는 B가 될 수 없습니다. > B의 세포는 (나),(다)ㄴ이 g라면 나에서 B가 e와g가 연관된 염색체 하나와 E와 g가 연관된 염색체를 가지는데 이 경우 ㄷ이G이며 (다),(라)는 B의 세포가 될 수 없습니다. >성립되지 않으므로 결국 ㄴ은 G입니다. 결과적으로 (나),(다)가 B의 세포(가),(라)가 A의 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가 A의 세포이므로 A는 EeGgFf의 유전형을 B는 EeGgFF의 유전형을 가지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