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호랑나비 애벌레가 먹는 나무는 무엇인가요?
호랑나비 애벌래도 호랑나비 종류나 사는 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운향과 식물인 황벽나무, 산초나무, 귤나무, 유자나무, 탱자나무 등에 산란하여 그 잎을 먹는다고 합니다. 같은 속에 속하는 산호랑나비는 이와 다르게 애벌레가 당근,미나리, 파슬리 같은 것을 주식으로 한다고 합니다.
Q. 바이러스는 의지가 있는 거대지성생물체 인가요?
바이러스의 구조는 단백질캡슐+유전물질로 생물의 세포에 비해 굉장히 단순한 구조를 가집니다.또한 바이러스는 '독립적으로 자신을 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생명체로 보지 않습니다.언제나 다른 세포에 침입을 해야 복제가 가능합니다.그리고 새로운 버전의 바이러스가 자꾸 나오는 이유는바이러스가 가진 유전물질이 돌연변이가 굉장히 잘 일어나기 때문입니다.물론 돌연변이가 일어난 바이러스가 항상 굉장히 위험한 바이러스 인 것은 아닙니다.그냥 비슷한 증상의 다른 바이러스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등장할 확률이 낮더라도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는 언젠가 나타납니다.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변하면서 평소 만나지 못하는 종이 서로 만나는 경우가 늘어나고 또 인간의 서식지도 넓어지고 야생동물과의 접촉이 늘어났습니다. 이는 새로운 바이러스 등장을 가속화 합니다. 결국 바이러스가 지성이 있어서 백신에 대항해 몇걸음 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계속해서 돌연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언젠가 치명적인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는 것일 뿐입니다.또한 백신은 한 종류의 바이러스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백신을 새로 개발해야하며, 백신은 임상실험을 통과해야 상용화되기 때문에 보통 10년이상 걸립니다.그렇기 때문에 백신개발은 느릴 수밖에 없고,지난 코로나 사태 때 이에 대항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빠른 제조가 가능한 백신이 등장했습니다.당시 급박한 상황으로 임상을 건너뛰었기 때문에 부작용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논란이 있었지만이렇게 새로운 기술의 개발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인간도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덧붙여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백신을 만들지 않습니다.예시로 감기바이러스는 종류가 너무 많아서 일일이 백신을 만들어 접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다만 대부분의 감기 바이러스는 인간의 면역체계가 이겨낼수 있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백신을 만들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다시 말하자면 이미 굉장히 많은 바이러스가 존재해 왔으며 새로운 바이러스가 계속해서 등장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바이러스 등장은 인간의 활동과 지구 온난화 등으로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종종 사람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생깁니다. 그리고 사람은 바이러스에 대해 해결책을 만듭니다. 새로운 바이러스의 등장은 자연스러운 현상의 일부입니다.
Q. 정자의 성별은 어떤 요인에서 정해지나요?
정자는 성 염색체중 X염색체를 가진 정자와, Y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있습니다.인간 남성의 성 염색체 구성은 XY 입니다. 정자는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감수분열을 진행하면 서로 짝이 맞는 염색체들이 반씩 정자에 남습니다. 때문에 XY도 갈려서 성염색체 X만 가진 정자, Y만 가진 정자 이렇게 두가지의 정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리고 하나의 세포의 염색체들이 반반 씩 나누어진 경우이기 때문에 X를 가진 정자와 Y를 가진 정자의 비율은 1:1 입니다.여성의 경우 성 염색체 구성은 XX 이기 때문에 난자는 성염색체 X만을 가집니다.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하면 염색체 수가 다시 2배수(서로 짝이 맞는)가 되는데 이 때 난자에 X를 가진 정자가 수정하면 성 염색체 구성이 XX가 되므로 여성난자에 Y를 가진 정자가 수정하면 XY가 되므로 남성이 됩니다.